친환경농업은 이제 굳이 강조하지 않아도 우리농업의 미래가 되었다. 안전웰빙 농산식품생산으로 소비자의 건강을 증진하고 국내농산물 경쟁력 제고로 수입을 억제하여 생산자의 소득을 보장하며 생물다양성, 생물순환, 토양생물활동 촉진으로 자연생태계를 보전하는 일석삼조의 효과가 있는 미래지향적인 농업이다.
1. 우리나라 친환경 유기농업 어디까지 왔나? 손정수(농촌진흥청장)
● 친환경 유기농업의 중요성
우리농업은 그간 좁은 국토에서 많은 인구를 부양하기 위해 화학비료, 농약에 지나치게 의존해온 결과 농업환경이 악화되고 농산물안전성이 위협을 받고 있다. 화학비료 과다사용으로 인한 염류집적으로 토양이화학성이 악화되고 있으며 농약위주의 병해충 방제로 천적이 감소되고 농산물 중 농약잔류가 문제가 되고 있다. 요즘 건강에 대한 관심 등으로 농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 증대와 소비패턴이 변화하고 있다. 식품선택의 기준이 가격에서 품질? 안전성 주심으로 전환되어 건강식품, 기호식품의 소비가 늘고 외식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유해물질이나 미생물로 인한 중독사고 발생으로 식품의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 요구가 크게 증대하고 있다. 이제는 소비자가 신뢰할 수 있는 품질관리와 인증체제가 절실히 필요하다.
● 국제 유기농업 동향과 대응방안 산업혁명이후 도시화와 공업화로 인한 환경공해 및 자연파괴 방지를 위한 대안으로 1904년 영국의 알버트하워드(Albert G. Howard) 경이 그의 저서 ‘농업성전’에서 세계최초로 유기농업의 필요성과 이론체계를 정립한 이래 유럽에서는 자연환경보전과 농산물생산조정 차원에서 시작되었고 쿠바는 화학비료, 농약 및 사료원조 중단에 따른 국민식량자급을 위하여 소규모 텃밭농법으로 유기농업이 출발하였다. 1972년 민간기구로 국제유기농업운동연명(IFOAM) 창립과 유기농산물의 국제간 무역을 위한 국제보증시스템인 IOAS 운영을 시작하였다.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에서 ‘유기식품의 생산?가공?표시 및 유통에 관한 지침’을 채택(2001)한 이후 유럽연합(EU)을 비롯한 각국은 이애 대한 대응방안을 마련 중이다. 앞으로 유기농산물도 국제규격에 적합한 품질위주로 교역 될 것으로 예상된다. 유럽연합(EU)은 2010년 유기농산물 시장이 전체의 15%에 달할 것으로 예측한다. 중국 또한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각국의 유기농산물 시장 진출을 위하여 정부차원에서 적극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유기농업 실천 농가의 어려움을 우선 감안하여 친환경농업육성법을 국제유기농업 기준에 맞게 개정(2001)하여 친환경농산물의 표시 및 품질 인증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농산물 중 국제적 규제대상 유해물질의 안전관리 기준의 설정 및 안전성 종합평가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국제기준에 적합한 한국형 유기농업 생산기술 모델제시를 위한 국제공동 협력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우리나라의 친환경 유기농업 추진현황 1970년대 민간환경농업단체를 중심으로 유기농업실천운동이 시작되어 1977년 환경농업 육성법을 제정하여 정부차원의 친환경농업을 육성 지원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도 친환경농산물의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다. 다음은 국내 친환경농산물 생산현황이다. 저농약재배는 56%, 무농약 재배는 36%, 유기재배는 8% 수준이다.
구분 2001 2002 2003 2004 인증농가수(호) 4,678 11,892 23,301 28,951 재배면적(ha) 4,554 11,239 22,238 28,218 생산량(톤) 87,278 200,374 365,203 460,735 표 1. 국내 친환경농산물 생산현황
유기농산물 유통은 생산자 주도형, 소비자 주도형, 생산? 소비자 공동참여형, 전문업체 주도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가 신뢰를 얻을 수 있는 품질 인증제도 등 유통시스템 강화가 필요하다. 현재의 유기농업은 병해충방제 등 어려움이 있고 고가의 유기농자재 등 실천상 애로사항이 많으므로 이의 해결을 위한 보완연구가 시급하다. 실제로 유기농 실천농가의 애로사항을 살펴보면 병해충 방제가 31%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정부는 친환경농업육성과 농산물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친환경 농산물 비중을 2010년 까지 10%로 높이고, 농약?화학비료 사용량을 2013년까지 각각 40% 감축하기 위한 각종 지원 정책을 수립 추진 중에 있다. 친환경농업 직접 지불제도를 실시, 밭의 경우 올해 69억 원을 지원하기로 하였다. 친환경농산물 유기농산물의 유통활성화와 소비촉진을 위하여 교육홍보강화, 안정적 공급을 위한 대량수요처 발굴, 전문판매코너 설치 확대 및 직거래 자금지원 등 각종시책을 추진하고 있다. 앞으로도 식품안전 및 환경에 대한 국민의 관심과 중용성이 증대됨에 따라 친환경농업육성을 위한 정책지원은 확대될 것이다. 친환경농업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병해충 방제로 쓰이는 천적과 유기퇴비제조이다. 농촌진흥청에서는 농약대체용 병해충 방제기술인 천적과 미생물제를 개발하여 농가에서 실용화할 수 있도록 보급을 하고 있다. 천적의 경우 응애류 방제용 칠레이리응애 등 9종을 보급하고 있다. 공장형축분사용금지에 따른 유기퇴비제조기술을 개발보급 하였으며 친환경농자재의 특성검정 및 사용기준설정과 농가실천 유기농법의 효과 검증 등 친환경유기농업기술을 체계화 하고 있다. 유기농업에 의한 작물생산성은 벼의 경우 85%, 엽채류의 경우는 56~87%, 과채류는 21~51%까지 생산이 가능하다. 혐기성 발효법을 이용 전기생산 시스템을 개발하여 Bio에너지를 생산, 잔여 분뇨는 양질의 퇴비 및 액비로 활용하고 있다.
청정생산기반 조성 안전농산물생산기술 개발 토양의 건전성 유기 증진 친환경농자재 사용 유기자원 활용, 순환 병해충 종합관리 농업용수 오염 관리 양분 최적 관리 유해 물질 유입 차단 농약 사용 경감
농산물 안전성 평가 신속분석 기술 개발 유해물질 관리기준 설정 유해물질 위해성 평가 농산물 안전성 종합평가 그림 1. 농작물에 대한 안전성 평가 시스템
● 친환경 유기농업 발전을 위한 제언 친환경 유기농업은 생산농업인의 소득 보장과 소비자 건강증진 및 자연환경 보전을 위한 국인차원에서 농?소?정이 함께 하는 공감대를 형성해야 한다. 친환경 유기농업 생산기술, 품질인증, 유통가공 관련 전문가의 양성은 더욱이 꼭 필요하다. 한국형 유기농업 기술체계확립을 위한 민?관?산?학 의 역할분담 및 협력강화를 위해 유기경종과 축산이 연계된 유기자연순환 농법을 개발 보급해야 하며, 지역특성에 맞는 적지적작의 유기농업 기술체계를 정립해야 한다. 친환경 유기농업에 대한 교육 홍보 강화를 위해 생산자에게는 유기농산물 생산기술에 대한 교육을, 소비자에게는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올바른 인식 및 소비촉진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유기농업은 사회, 경제, 환경적 측면에서 일석삼조의 효과가 있는 앞으로 우리가 추구해야 할 미래지향적인 농업형태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