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개방화 대응, 고품질 원예산물 생산 위한 원예 산업기술 개발에 노력

날마다좋은날 2005. 12. 22. 18:42
인터뷰 / 원예연구소 강상헌 신임소장
 

개방화 대응, 고품질 원예산물 생산 위한 원예 산업기술 개발에 노력





원예연구소 강상헌 신임소장



FTA, DDA에 대응하여 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고품질 안전 원예산물 생산 기술, 친환경농업의 실용화 기술 및 부가가치 향상을 위한 수확후 품질관리 기술 개발에 노력하고 있는 원예연구소의 강상헌 신임소장을 찾았다. 강상헌 소장은 안전성이 확보된 고품질 원예산물을 생산할 수 있는 세계 최고수준의 원예 산업기술 개발로 원예 농업인의 소득 2만불 시대 조기 달성에 기여할 것을 다짐했다.


농업부문 연구의 핵심키워드를 쥐고있는 원예연구소의 2004년 핵심 사업방향은 무엇입니까?


원예연구소는 원예농가의 소득과 직결되는 작목과 기술을 중점 개발하고 농장에서 소비자의 식탁까지 안전성이 확보된 고품질 원예산물을 생산할 수 있는 세계 최고수준의 원예 산업기술을 개발하여 원예 농업인의 소득 2만불 시대 조기 달성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사업방향을 설정하였습니다.
개방화에 대응한 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고품질 안전 원예산물 생산기술, 친환경농업의 실용화기술 및 부가가치 향상을 위한 수확후 품질관리기술을 개발하겠습니다.
세계최고 수준의 원예 산업기술을 견인할 미래전략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농진청 10대 전략과제를 집중추진하고, 새로운 수출작목 및 성장 잠재력 확충기술을 개발하며, BT/IT 기술을 이용한 기능성 신품종 육성 및 실용화에 매진하겠습니다.
또한 산·학·관·연 네트워크 구축 및 협동연구 강화를 위하여 원예연구소, 대학, 기술원, 기술센터 및 선도농가 기술지원을 통한 지역농업 활성화를 추진하며, 지역 특화작목을 개발하고 보급하겠으며, 현장애로기술과 수출작목 문제해결에 총력을 기울이겠습니다.


사업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농촌진흥청에서 추진하고 있는 10대 핵심 전략과제 중 다음 과제를 중점 추진하도록 하겠습니다.
1. 생산에서 소비까지 단계별 고품질 관리기술 체계화
2. 수출전략품목 공정생산기술 실용화
3. 선진국형 친환경 농업기술 체계 확립
4. 안전농산물 생산이력체계 실용화 구축


또한 다음의 원예분야 주요 현안과제를 추진하도록 하겠습니다.
1. 수출확대 및 수입대체 원예작물 신품종 개발
2. 시설원예 에너지 절감기술 개발
3. 기간 양념채소 경쟁력 강화 기술 개발
4. 새로운 수출 유망작목 및 애로기술 개발
5. 한·칠레 및 한·일 FTA 등의 시장개방 대응방안
6. 김치재료 연중 안정생산 품종 개발 및 규격화 기술 개발
7. 농업생명공학기술 조기실용화 체계 확립
8. 원예작물 품질향상을 위한 바이러스 진단 및 안전방제기술 개발
9. 화훼 소비확대를 위한 건강기능 및 원예치료 연구
10. IT 기술을 이용 첨단 원예 산업기술 개발


과수, 채소, 화훼 등 신품종 육성사업의 성과 및 향후 중점 육성 방향은 어떻습니까?


지금까지 수출확대 및 수입대체를 위한 원예 품종 육성사업을 실시하여 배추, 무 등 61품종, 사과, 배 등 과수 52품종, 장미, 나리 등 화훼 273품종 등 총 386품종을 육성하였습니다.
육성한 품종 중 2002년도에 육성한 중국산 수입 고추에 대응하여 생산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일시수확형 고추' 품종은 우리나라 고추 산업의 판도를 바꾸리라 기대하고 있습니다. 사과 '홍로' 품종과 같이 2천5백ha 이상에서 재배되어 기존 품종에 비하여 년간 298억원의 부가가치를 올리고 있는 품종도 있습니다. 장미 '핑크레이디' 품종은 대일 수출의 복병인 로얄티 문제를 해결하리라 기대하고 있는 품종입니다.
앞으로 원예연구소에서는 고품질 및 생력재배용 원예품종 육성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작목별 육종 계획을 세웠습니다.
채소분야는 수출확대를 위한 품종 육성의 일환으로 고당도 수송성이 강한 딸기와 토마토 품종, 수박 복합내병성 및 씨적은 품종, 수출김치용 고색소 고추 품종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겠으며, 특히 일시수확형 고추 품종은 조기에 육성 효과를 거양하고자 전국 127 농가에서 시범재배를 실시하도록 하겠습니다.
과수분야는 국제기호성 고품질 생력재배형 품종 육성 일환으로 사과 색깔이 우수하고 밀식재배 적응형 품종, 배 자가결실성 및 껍질 째 먹을 수 있는 수출용 중소과 품종, 항암성분 합성유전자 전환 품종을 육성하겠으며, 항산화물질 함유 유전자원을 탐색하여 기능성 품종 육성 기반을 조성하겠습니다.
또한 화훼분야는 수출 및 수입대체용 국제기호성 품종을 육성하겠으며, 우수 육성 품종이 농가에 성공적으로 정착토록 하기 위하여 시범사업을 확대 실시하겠습니다. UPOV, DDA 등 무한경쟁시대에 우리나라의 품종 주권을 지키기 위하여 모든 노력을 경주하도록 하겠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새농사 2004년 4월호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