굶주림과 추위에 시달릴 정도로 가난한 살림 속에서도 깊은 만족을 느낄 경우가 있다. 그러나 그러한 만족은 대개 일시적인 것이며, 지겹도록 가난한 속에서 삶 전체에 대한 지속적인 만족을 느낀다는 것은 지극히 어려운 일이다. 통 속의 철인으로 알려진 디오게네스의 이야기는 하나의 예외적인 일화일 뿐이며,돈이 없이는 하루도 살기 어려운 현대 산업 사회에 있어서 일반인에게 두루 적합한 교훈이 될 수는 없다. 우리네 보통 사람들에게 기본 생활의 안정은 행복을 위한 필수 조건이다. 그러나 기본생활의 안정만으로 삶 전체에 대하여 지속적인 만족을 느끼기는 어렵다 가난하던 시절이 끝나고 모처럼 의식주가 안정을 얻게 되었을 때, 우리는 큰 만족을 경험한다. 그러나 그와 같은 기쁨은 고통으로부터 해방되었을 때 일시적으로 경험하는 기쁨이며, 기본 생활의 안정만으로 삶 전체가 지속적으로 만족스러울 수는 없다. 다시 말하면 경제적 안정을 바탕으로 삼고 그 위에서 어떤 보람 있는 그 무엇이 창출되었을 때, 우리는 인간으로서의 깊은 만족을 느끼게 되며, 단순히 물질 생활에 어려움이 없다는 것만으로는 지속적인 만족을 느끼기 어렵다. 인간은 육체적인 욕구의 충족만으로 만족을 느끼는 일반 동물과는 달라서, 어떤 정신적 성취가 이루어졌을 때 비로소 깊고 지속적인 만족을 경험한다. 건강에 대해서도 우리는 같은 말을 할 수가 있을 것이다. (중략)건강이 나쁜 상태에서는 만족스러운 삶을 갖기가 매우 힘들다. 그러나 건강한 것만으로 삶이 전체적으로 그리고 지속적으로 만족스럽기는 어렵다. 비록 심신이 건강하더라도 하는 일이 아무것도 없거나 사랑을 주고 받는 상대가 전혀 없는 사람은 자기의 삶에 대해서 전폭적인 만족을 느끼기 어렵다. 건강도 경제적 안정과 마찬가지로 행복을 위해서 매우 중요한 필수 조건이기는 하나, 그 충분 조건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경제 생활의 안정과 심신의 건강은 행복을 위한 소극적 필요 조건이다. 다시 말해서, 경제 생활이 안정을 얻지 못하거나, 심신의 건강이 좋지 못할 경우에는 불행을 면하기가 어렵다.그러나 물질 생활이 안정과 건강만으로 행복이 실현되는 것은 아니다. 그 위에 무엇인가 더 보태져야 한 인간으로서 깊은 만족을 얻을 수가 있다. 물질 생활의 안정과 건강 위에 또 보태져야 할 그 무엇이란 어떠한 것일까? 첫째로, 우리는 정신적으로 또는 육체적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의식할 때 인간으로서의 만족,즉 행복을 느낀다. 자기의 능력이나 기량 또는 신망 등이 점차 향상된다는 것을 의식할 때, 우리는 삶 전체에 대하여 깊은 만족을 느낀다. 모든 사람들이 추구하는 궁극 목적은 행복이라고 언명한 아리스토텔레스가 '행복이 무엇이냐.'는 물음에 대해서 얻은 결론은'자아의 실현'이었다.다시 말해서,사람이면 누구나 타고난 이성의 소질을 충분히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행복이 실현된다고 그는 보았던 것이다. 이성만을 특별히 강조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아 실현설에 대해서는 이론의 여지가 있을 것이나, 어쨌든 자아 실현의 한 측면이라고 볼 수 있는 '자아의 성장'을 의식할 때 우리가 인간적 만족을 느낀다는 것은 일반적 현상으로서 인정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로, 우리는 자기가 속해 있는 공동체나 집단을 위해서 떳떳한 구실을 하는 필요한 존재라는 것을 스스로 인정할 때 인간으로서의 행복을 느낀다. 사람은 누구나 어떤 집단에 속하도록 마련되어 있거니와, 그가 속해 있는 집단을 위해서 뭔가 떳떳한 구실을 해야 자기의 존재에 대해서 가치를 인정할 수 있고, 또 자신의 삶에 대해서 만족을 느낄 수가 있다. 자기가 몸을 담고 있는 집단을 위해서 별로 하는 일이 없거나, 남의 짐밖에 되지 않는 삶은 자기의 삶에 대해서 만족을 느끼기 어렵다. 셋째로, 우리는 자기와 교섭을 가진 사람들과의 인간 관계가 원만할 때 인간으로서의 깊은 만족을 경험한다. 인간을 본래 사회적 존재이기 때문에 여러 사람들과 직접 또는 간접으로 교섭을 갖게 마련이다. 이 때 대인 관계가 원만하냐 그렇지 못하냐 하는 것은 사회 전체의 질서와 번영에도 직결되고, 개개인의 행복과 불행에도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관점에서 나는 원만한 대인관계, 즉 인화를,행복을 위한 또 하나의 객관적 조건으로서 추가하고자 한다. 위에서 말한 세 가지 조건들 사이에는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자아의 성장이나 실현에 있어서 높은 경지에 이른 사람일수록 공동체를 위해서 떳떳한 구실을 하기에 유리한 위치에 서게 되고, 대인 관계가 원만한 사람일수록 공동체를 위해서 필요한 사람으로서의 대접을 받기가 용이하다. 또, 대인 관계에 있어서 두루 원만하다는 것은, 그 자체가 인격적으로 크게 성장한 삶의 징표 이기도하다. <김태길,행복에 대하여'> 다음은 현대 사회에서의 행복의 의미를 고찰한 한 철학자의 글이다. 이 글을 참고로 하여, 현대 사회에 있어서 행복의 진정한 의미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밝히는 글을 쓰라.
|
'자유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기능성 소재로 주목받는 우리 배 (0) | 2005.12.22 |
---|---|
월간 새농사 홈페이지 (0) | 2005.12.22 |
홍대용, 의산문답 2 (0) | 2005.12.21 |
홍대용의 '의산 문답' (0) | 2005.12.21 |
작은 것이 아름답다 (0) | 2005.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