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홍대용의 '의산 문답'

날마다좋은날 2005. 12. 21. 18:47

홍대용의 '의산 문답'


'의신문답'은 가상 인물인 실옹과 허자가 펼치는 대담이다. 홍대용 자신을 대변하는 실옹과 전통에 매몰되어 진정한 진리를 보지 못하는 당시의 조선 지식인을 모델로 한 허자가 나누는 대화를 통해 자신의 철학적 입장과 실학정신, 과학사상 등을 서술하고 있다. 제목에 나오는 의산은 의무려산의 준말로, 그가 북경 방문 길에 그가 보고들은 신세계의 경험이 이 책의 저술에 크게 기여한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의산문답'의 핵심 내용

30년 간의 독서를 통해 당시의 유학을 통달했다고 자처하는 조선의 유학자인 허자는, 60일 동안 중국의 여러 학자들과 고유하면서 그들의 학문이 형편없음에 실망하게 된다. 그는 더 이상 이 세상에 자신과 참된 진리를 논할 상대가 없음을 한탄하고 세상을 버리고 은둔하고자 만주 지역의 명산이 의무려산에 숨어든다.

그러나 뜻밖의 의무려산에서 실옹을 만나 자신이 지금껏 자부해 왔던 학문이 헛되고 오류 투성이 라는 것을 하나하나 깨우쳐 가게 된다. 실옹은 허자에게 지구설, 지구 회전설, 우주 모학론 등을 설파하여, 전통적인 우주관과는 판이하게 다른 새로운 우주관을 제시한다. 허자는 처음에 너무도 생소하고 혁명적인 주장에 경악하지만, 차츰 명쾌한 논리로 굴복시키는 실옹의 설명에 이끌려 새로운 우주관을 자연스럽게 수용하게 된다.

1. '땅은 둥글다.-지구설

실옹은 먼저 '땅은 둥글다.'는 '지구설'로 허자가 지녀 온 전통적인 우주관을

깨뜨린다. 허자는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지다.'는 전통적인 우주관에 따라 직육면체 모양의 땅이 물 위에 떠 있는 우주의 모습을 생각하고 있었다. 이런 우주관을 바탕으로 허자는 땅의 위쪽 면에서는 사람이 똑바로 서 있을 수 있지만, 옆면에서는 가로로 누울 수밖에 없다고 실옹의 지구설을 의심한다. 또한 땅은 아래로 떨어지지 않기 위해 반드시 물위에 떠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실옹은 먼저 허자가 지닌 기존의 상식을 모두 버릴 것을 주문한다. 편협한 경험에 의존하는 사고를 버리고 우주를 무한한 공간으로 생각하라는 것이다. 모든 천체가 우주 공간상에 떠 있다고 하면 상하의 구별이 없어지고, 땅덩어리가 아래로 떨어질 것이라는 걱정도 필요 없는 것이었다. 실옹은

허고에 상하가 없는 것은 그 자체로 보아 분명한데, 세상 사람들은 평소의 속된 생각에 젖어 그 까닭을 찾아 내려 하지 않는다. 진실로 그 까닭을 찾아낸다면, 땅이 떨어지지 않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고 하며, 아래서 받쳐 주는 물이 없으면 땅덩어리가 '아래로 떨어진다.'는 허자의 생각이 무의미한 것임을 일깨운다.

그러나 허자는 여전히 "만일 땅이 둥글다면 지구의 반대편에 서 있는 사람은 거꾸로 서 있어야 할 것인데, 어떻게 그럴 수 있는가?" 하고 의심한다. 실옹은 지구상의 물체는 모두 중심을 향하는 성질이 있어서 지구의 반대편에서도 아무 어려움 없이 서 있을 수 있다고 허자를 설득한다.

또한 실옹은

중국은 서양에 대해서 경도 차이가 180도인데, 중국 사람들은 중국을 바로 선 세계로 삼고, 서양을 거꾸로 선 세계로 여긴다. 이에 대하여, 서양 사람들은 서양을 똑바로 선 세계로 삼고 중국을 거꾸로 선 세계로 삼는다. 그러나 사실상 하늘을 이고 땅을 밟은 사람이면 기준을 어디로 한들 모두 마찬가지다. 옆으로 선 것도 없고 거꾸로 선 것도 없으니 모두가 똑바로 선 것이다.

고 하며 둥근 지구에서는 모든 곳이 공간적으로 동등하고 똑바로 선 세계라고 주장한다. 이처럼 지구상의 모든 곳이 공간적으로 동등하다는 인식은 홍대용이 당시의 어느 지식인보다도 앞서, 그리고 편견 없이 서양 문물을 수용하고 정당하게 평가할 수 있게 한 기반이었다. 허자는 서양의 문물은 변방 오랑캐의 것이라고 이것을 적극적으로 배워야 한다고 주장한다. 실옹은 서양의 관점에서 보면 서양이 변두리에 해당한다면 교만한 중화 사상을 버릴 것을 주문한다.

학자들에 따르면 이러한 지리적, 문학적 상대주의는 홍대용의 철학 사상 전반을 지배하는 주요한 사유 방식과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의산문답'에서 인간과 모든 생물들은 본질적으로 동등하다.'는 주장을 펼 정도로 생태학적 시각이 강하게 견지되고 있다.

실옹은 자연의 모든 생물은 지, 각, 혜의 유무에 따라 식물, 동물, 인간으로 구분되기는 하지만, 이들이 모두 질, 정, 혈의 교감으로 이루어진 것이라는 점에서 차별이 없다고 주장한다.

생물의 종류에는 셋이 있는데, 사람과 금수와 초목이 그것이다. 초목은 거꾸로 서서 살아가는 까닭에 지는 있어도 각이 없고, 금수는 옆으로 서서 사는 까닭에 각은 있어도 지가 없다. 이 세 생물의 종류는 한없이 엉크러져 서로 망하게도 하고 흥하게도 하는데, 거기에 귀천의 차등이 있겠느냐?

결국 모든 생명체가 궁극적으로 자연계 안에서 상호 작용을 하고 있으므로, 어는 것을 중심에 놓기보다 모두 동등한 관점에서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인성과 물성이 같으냐 다르냐.'하는 당시의 철학적인 논쟁에서 홍대용이 인성과 물성이 동등하다는 입장을 취한 것으로, 철학사적인 의미에서도 상당한 주목을 끄는 주장이다. 또한 홍대용의 이러한 주장은 오늘날의 인간 중심주의적인 자연관 때문에 빚어지는 생태계 파괴의 문제에도 커다란 시사점을 던져 주고 있다. 인간 중심주의적인 사고는 인간이 자연을 이용하고 변형하는 것만을 정당화하면서 자칫 인간과 자연이 동등한 주체로서 상호 작용한다는 사실을 잊게 하는 것이다.

2. 지구 회전설

실옹은 허자의 박약한 우주관과 생명관을 교정한 후 본격적으로 자신의 주장을 전개해 나간다. '의산문답' 전체가 홍대용의 새로운 우주관으로 채워져 있지만, 그 중에서도 과학사적으로 가장 획기적인 주장은 지구 회전설(지전설)일 것이다. 이는 코페루니쿠스의 지동설이 중국과 조선에 정식으로 소개되기 이전에 조선의 지식인이 독자적으로 주창한 학설이라는 점에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홍대용의 선배인 김석문은 서양에서 주장된 상대 운동의 개념과 동양 전통의 천체 이론을 결합해, 지구가 중심에서 돌고 태양과 달 등 천체들은 지구의 운동에 의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보일 뿐이라는 지구 회전설을 주장했다. 아마도 '의산문답'에서 제시된 홍대용의 지전설은 김석문의 지전설을 계승한 것으로 보인다.

처음에 허자는 "지구가 돌면 지구 표면의 생물체가 어떻게 쓰러지지 않을 수 있느냐."며 지전설을 믿으려 하지 않았다. 이에 실옹은 대기층이 지구를 감싸고 지구와 함께 돌아가기 때문에 지구가 돌더라도 지구 표면의 생물이 넘어지지 않는다고 설명한다. 이는 마치 물 속에서 물고기가 헤엄칠 물 전체가 움직여도 물고기는 아무런 영향 없이 헤엄칠 수 있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실옹은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마치 나는 새가 공중을 빙빙 돌고, 구름이 하늘에서 피어났다 흩어지고, 물고기와 용이 물에서 놀고, 쥐가 땅을 기어다니듯이, 고여 있는 기 속에서 헤엄치는 것들은 넘어지거나 쓰러질 염려가 없거늘, 하물며 지면에 붙어 있는 사람과 만물에 있어서랴!

3. 우주 무한론

자신의 세계관이 여지없이 깨지는 것을 목도하며, 허자는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라는 자신의 믿음만이라도 지키고 싶어한다. 허자는 지구가 중심에서 돌더라도 천체들이 지구 주위에 있다면 어쨌든 지구는 우주의 중심이 아닌가 하며 실옹을 물고 늘어진다.

그러나 허자의 믿음은 우주의 공간은 무한하고 우주에는 지구와 가튼 천체들이 무한히 많이 있다는 실옹의 우주 무한론에 또다시 의미 없는 고집이 되고 만다. 실옹은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 아니며 우주의 한 부분일 뿐이라고 주장한다. 그리고 허자를 더욱 경악시킨 것은 지구는 우리가 살아가는 하나의 세계일 뿐이며, 우주에는 지구와 같은 세계가 수많이 있을 수 있다는 실옹의 다세계설이었다. 실옹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하늘에는 가득 찬 별들이 모두 각의 세계이다. 별들의 세계로부터 본다면 지구의 세계도 또한 하나의 별일뿐이다. 한량없는 세계가 하늘에 흩어져 있는데, 오직 이 지구의 세계만이 우주의 중심에 있다고 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지구설에 바탕해 지구상의 어느 곳이나 공간적으로 동등하다는 것만으로도 당시로서는 가히 혁명적인 주장이지만, 우주 공간이 무한하고 지구 외에도 생명체가 있을 것이라는 실옹의 주장을 보면 홍대용이 상상한 우주의 크기와 사고의 범위가 얼마나 넓고 혁명적인 것이었는지를 짐작할 수 있다.

홍대용은 이러한 우주론적인 인식을 바탕으로 '의산문답' 후반부에서는 당시 지식인들이 교조로 감고 한번도 의심해 보지 않은 중국 중심의 사대주의를 여지없이 벗어 던진다. 이미 구형인 지구상에서 중심과 주변이란 구별이 무의미하고, 광활한 우주에서 중심과 주변이라는 구별이 무의미할飁, 중궁은 대국이고 조선은 오랑캐라는 사대주의적인 화이관은 일고의 가치도 없는 것이었다.

때문에 실옹의 입을 통한 홍대용의 마지막 주장은 "만약 공자로 하여금 오랑캐 땅에 살게 한다면, 그는 중국의 법과 풍속을 그 곳에 일으켰을 것이고, 그렇게 되면 당연히 그 곳 중심의 춘추(역사)가 있었을 것이다."였다.

허자로 드러난 당시 조선의 지식인들에게 홍대용이 '의산문답'을 통해 진정으로 들려 주고 싶었던 것은, 새로운 세계에 대한 자각과 우리에게도 우리의 역사가 있다는 각성이었다. 그러기에 그는 전통과 권위에 얽매여 경전이나 암송하는 허자의 허학을 버리고 세계의 본지를 정확히 꿰뚫고 실질을 숭상하는 실옹의 실학으로 나아갈수 수 있었던 것이다. 일찍이 역사학자 정인보 선생은 '의산문답'을 평하기를, "진실로 선생의 학설에 따라 미루어 알아 가면, 정덕, 이용, 후생이다 여기에서 벗어나지 않을 것인데, 아깝게도 그 뒤를 이은 사람이 적었다."고 했다. '의산문답'을 읽을 때마다 살아나는 조선의 실학자 홍대용의 면모는 이러했던 것이었다.

조언

1. '의산문답'의 과학사상(지구설, 지구회전설, 우주무한론)이 18세기의 조선 사회에 미쳤을 영향을 생각해보자

2. 이 글에서 나타나는 허자와 실옹이 보여 주는 태도를 비교, 분석하고, 이를 '현대에 요구되는 과학하는 태도'와 관련시켜 생각해 보자.

참고 자료

홍대용

조선 후기의 실학자.

본관 남양(南陽). 자 덕보(德保). 호 담헌(湛軒)·홍지(弘之). 북학파(北學派)의 학자인 박지원(朴趾源)·박제가(朴齊家) 등과 친교를 맺었으며, 학풍은 유학(儒學)보다도 군국(軍國)·경제(經濟)에 전심하였다. 1765년(영조 41) 숙부인 억(檍)이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갈 때 군관(軍官)으로 수행, 베이징[北京]에서 엄성(嚴誠)·반정균(潘庭筠)·육비(陸飛) 등과 사귀어 경의(經義)·성리(性理)·역사 ·풍속 등에 대하여 토론했다. 또 천주당(天主堂)에 가서 서양 문물을 견학하고 독일 사람인 흠천감정(欽天監正) 할레르슈타인[劉松齡], 부감(副監) 고가이슬[鮑友管]과 면담했으며, 관상대(觀象臺)를 견학하여 천문(天文)지식을 넓혔다.

귀국 후 수차 과거에 실패하고 1775년 음보로 선공감(繕工監) 감역이 되었다. 그 후 세손익위사시직(世孫翊衛司侍直)·감찰 ·태인(泰仁)현감 등을 거쳐 1780년(정조 4) 영주(榮州)군수가 되었다. 북학파의 선구자로 지구(地球)의 자전설(自轉說)을 설파하였고, 균전제(均田制)·부병제(府兵制)를 토대로 하는 경제정책의 개혁, 과거제도를 폐지하여 공거제(貢擧制)에 의한 인재 등용, 신분의 차이없이 8세 이상의 모든 아동에게 교육시켜야 한다는 혁신적인 개혁사상을 제창하였다.

저서에 《담헌설총(湛軒說叢)》이 있고, 편서(編書)에 《건정필담(乾淨筆談)》 《주해수용(籌解需用)》 《담헌연기(湛軒燕記)》 《임하경륜(林下經綸)》 《사서문의(四書問疑)》 《항전척독(抗傳尺牘)》 《삼경문변(三經問辨)》 등이 있다.

 

'자유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 사회와 행복의 의미  (0) 2005.12.21
홍대용, 의산문답 2  (0) 2005.12.21
작은 것이 아름답다  (0) 2005.12.21
법정 무소유  (0) 2005.12.21
맹자,[정명론] ·마르크스,[공산당 선언]  (0) 2005.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