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식품과학] 식품의 omega-3 지방산과 건강

날마다좋은날 2005. 11. 15. 10:29
제     목
[식품과학] 식품의 omega-3 지방산과 건강
내     용
omega-3 PUFAs의 섭취 저하를 악화시키는 것은 콩과 카놀라유에 존재하는 주요 불포화지방산(PUFAs)인 omega-6 PUFA linoleic acid의 소비가 높기 때문이다. linoleic acid의 섭취는 omega-3의 10배로, 혹 사람에 따라 25배 높게 나타난다. Omega-6 와 omega-3 지방산은 같은 대사 효소를 공유하고, 일반적으로 상대적인 생물학적 효과를 나타낸다.

omega-6 PUFAs의 과다섭취는 혈전증, 염증, 암을 유발 할 수 있다. 권장하고 있는 omega-3 의 급원은 long chain omega-3인 EPA와 DHA 함유량이 높은 어류이다. 이 물질은 건강에 좋은 omega-3 PUFAs로서 미국내 어류 소비는 육류 단백질중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omega-3 PUFAs에 대한 소비자 요구가 증가한다 할지라도, 이 물질이 강화된 새로운 제품과 식품 보조제가 어류로부터 만들어 질 가능성은 없다. 왜냐하면 이러한 지방산의 대체 식품 급원이 상대적으로 적고 어류의 수가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식물 생물공학의 빠른 발전으로 long chain을 형성하는 alpha-linolenic acid의 변환에 첫 번째 중간생성물인, stearidonic acid를 포함하는 콩과 카놀라가 개발되었다. Stearidonic acid 는 체내에 DHA가 없다면, EPA로 빠르게 전환되는 메카니즘을 갖는다.

연구팀은 비동물성 조직이 DHA를 합성할 수 있다는 것으로부터 식물이 다양한 유전자를 변형 시킬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해왔다. 이러한 보고는 새로운 식품 개발에 이용할 수 있는 omega-3 PUFAs의 충분한 양을 공급할 수 있는 종유 작물이 언젠가 상업화로 개발될 수 있다는 것을 예고 하는 것이다.

*본글은 농생명과학연구정보센터 IP 제공 번역물로,
농생명과학연구정보센터의 승인없이 무단전제나 복제를 금합니다.
출     처
Food Technology Vol.59(9) p120 2005/11/14
관련URL
http://members.ift.org/IFT/Pubs/FoodTechnology/Archives/ft_0905.htm
관련기사
식품DB 및 식이 모델링 [2005-11-07]
비가열 최소가공 식품을 위한 포장기술 [2005-11-04]
클로닝과 식품 안전 [2005-11-01]
유럽 식품 연구기관의 식품내 유해물질 PAHs의 연구 [2005-10-28]
뉴트라슈티컬(기능성식품)의 종류 [2005-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