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벼 농사에서 종자를 통하여 전염되는 병

날마다좋은날 2009. 7. 11. 16:27

벼 농사에서 종자를 통하여 전염되는 도열병, 키다리병, 깨씨무늬병, 세균성벼알마름병, 벼잎선충 같은 병해충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볍씨 종자의 소독이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종자소독약제를 이용하여 볍씨를 소독할 때는 물 20ℓ(1말)에 프로라츠유제 10㎖를 혼합한 후, 볍씨 10㎏을 담그고 물 온도를 30∼35℃ 유지하여 24∼48시간 소독하면 종자전염병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벼잎선충 피해가 심한 지역에서는 리바이짓트, 다이아톤, 스미치온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볍씨 소독 후 맑은 물로 2∼3회 씻은 다음 침종하면 건전한 묘를 기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친환경 벼 재배 농가에서 이용할 수 있는 볍씨의 온탕소독법은 60℃의 물 100ℓ에 벼 종자 10㎏을 10분간 담갔다가 꺼낸 후 발아기 등을 이용해 싹을 틔운 다음 파종하면 약제처리와 비슷한 소독효과를 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온탕소독기의 온도를 조절할 때 지나치게 높게 하면 종자의 발아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수온을 60~62℃로 유지토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벼 농사에서 볍씨 소독을 제대로 하지 않을 경우, 못자리에서부터 병해충이 발생하기 쉬워 결국에는 본 논에 이앙한 다음에도 병해충이 계속 번져나가 쌀 수량이 줄어드는 피해를 입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농촌진흥청 작물환경과 노재환 박사는 “일부 농가들이 보급종 볍씨가 붉은색으로 물든 것을 종자소독이 된 것으로 잘못 아는 일이 많다“면서, ”볍씨의 소독은 어떤 경우라도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할 풍년농사의 첫 걸음“이라고 말했다.

농촌진흥청 김제규 국립식량과학원장은 “올해도 식량작물은 국민의 먹을거리 해결 차원에서 병해충 피해가 없는 풍년 농사를 반드시 이룩해야 한다”면서, 이를 위해 농가에서 볍씨를 철저히 소독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문의] 농촌진흥청 작물환경과 노재환 031-290-67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