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유기농업

친환경유기농업은 도시와 농촌이 함께 사는 현실적인 대안이자 세계적인 추세이다.

날마다좋은날 2005. 11. 29. 08:35
친환경유기농업은 도시와 농촌이 함께 사는 현실적인 대안이자 세계적인 추세이다.


‘선진국’의 新개념



우리나라보다 먼저 유기농에 대해 사회적인 교감을 이룬 선진국에서 다음과 같은 술회를 하고 있다. “우리는 유기농업을 통해 땅의 생명을 살리고, 강물을 깨끗이 하며 공기를 맑게 하여 생태계를 보존하고 지역주민과 도시소비자들의 건강과 생명을 각종 위해 요인으로부터 보호해주는 소명을 실천하고 있다. 그래서 지역주민과 도시소비자들이 우리가족과 농장의 정상적인 운영과 살림살이가 가능하도록 소득 증대 기회를 여러모로 도와주고 있다.” 이는 하늘과 땅과 강과 생명 그리고 소비자의 건강을 살리는 친환경유기농업에 대한 생산자와 소비자의 인식을 대변해 주고 있다.

이러한 긍지와 자부심을 바탕으로 한 서구의 농산어촌 ‘어메니티 운동’은 자연경관과 전통 문화예술 그리고 친환경유기농업 등 각양각색의 요소들을 지역별 농가 별로 한데 묶어 자산화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자산을 도시민의 웰빙 욕구에 접목시켜 “유기농사+유기축산+자가 또는 공동의 식ㆍ음료품 가공판매+민박+정부지원금”으로 심산구곡에서도 유족한 생활을 누리고 있다. 이와 같이 도시와 농촌 어디에서 살든 소득 교육 문화 복지 등 삶의 질에 있어 차이가 없는 나라가 바로 ‘선진국’이라는 새로운 개념이 정착 하고 있다.


친환경농업의 가치
20세기 후반, 약 50여년 기간은 급격한 화학비료와 농약 의존형 농업, 농업기계화에 의한 대형기업농업이 관행화되면서 이른바 녹색혁명이 일어났다. 그러나 이러한 관행농업은 환경 파괴와 농산물의 질적 저하현상을 초래함으로써 ‘녹색혁명’이 ‘흑색혁명’으로 되몰리게 되었다. 이로 인해 경제 발전과 환경보전문제를 통합하는 생태학적 자원순환체제를 강조하는 목소리로 인해 UN은 지구의 “지속가능 한 발전”문제를 공식 제기하기에 이르렀다. 즉 ‘자연과 인간’이 하나됨을 목적으로 하는 친환경 농업은 이제 21C의 현대 주류사조로써 국제적 보편성을 띄기 시작한 것이다.

이렇듯 자원의 재생산과 재활용을 바탕으로 지방의 부존자원과 자연환경을 보전하면서, 새로운 각종 생물학적 물리적 과학기술과 최신 경영기법을 원용하여 일정한 생산력과 수익성을 확보하고, 안전한 식품 생산에 기여코자 하는 농법 체계가 바로 현대적 친환경 유기농업이다.


우리의 친환경농업의 현주


그간 우리나라 친환경농업은 정부의 직접지원은커녕 억압받는 정책 분위기 에서 오로지 신앙적인 신념과 철학을 가진 선구적인 농민들에 의해 묵묵히 실천되어 왔다. 그러나 21C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부응하고 WTO개방체제와 IMF 경제위기에서의 농업이 살길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친환경농업을 지원하고 인증제도를 도입하여 소비자들의 호응과 함께 수요를 불러일으키는 데 일단 성공하였다. 그 결과 1999년에서 2003년 5년 사이 친환경 농업은 인정면적 기준 27배, 인증농가 기준 18배 라는 비약적인 발전을 해 오고 있다.

이와 같은 요원의 들불처럼 증가하는 친환경유기농업은 무한정의 확대보다는 친환경농업에 대한 참 농부의 이상과 農心의 철학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부수적인 결과물이어야 한다는 인식이 필요하다. 따라서 끊임없는 친환경농업인에 대한 대대적인 반복 교육이 필요하다.


친환경농업을 위한 우리의 과제
우선 미국, EU, 호주 등 서구 기준에 의해 제정된 CODEX(국제 식품규격위원회) 기준을 벼농사 중심의 아시아 지역에 맞게 수정 보완되도록 국제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순환농업의 토대가 되는 축산경영을 유기축산으로 전환하여 유기비료를 확보하여야 한다. 셋째, 친환경농산물의 품질관리를 전문 민간기관에 이양하고 수입유기농산물과 가공식품에 대한 검사 및 표시 등의 기준을 통합, 정비하여야 한다. 넷째, 친환경농산물의 유통, 판매, 가공업자와 수입업자에 대한 인증 및 감독관리 규정도 마련해야 한다. 다섯째, 유기농자재와 기술보급을 국가 주도로 개발 보급하기 위한 연구 지원이 절실하다. 이와 같은 친환경 유기농업에 대한 근본적인 정책 목표는 21세기 생명, 환경위기를 극복하고 지속가능 한 발전의 선 순환의 계기가 될 것이다.

출처 - "도(都) 농(農)이 함께 사는 길"- 김성훈 상지대총장(前농림부장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