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일반

밤나무의 주요 병해

날마다좋은날 2016. 8. 2. 17:58

밤나무의 주요 병해


밤나무줄기마름병

⁚ 분 포 : 한국, 중국, 일본, 미국, 유럽

⁚ 기주식물 : 밤나무, 참나무, 단풍나무

⁚ 발생연혁

- 동양의 풍토병으로 1900년대 초 서양으로 침입

- 1940년 미국동부지역 밤나무림 황폐화 시킴

- 1980년이래 밤나무의 노령화로 인해 피해증가 추세임

⁚ 피 해

- 지제부나 접목부위에서 주로 발병하여 밤나무를 고사 시킴

⁚ 병원균 :

- 자낭균류에 속하며 자좌내에 자낭각과 자낭포자를 형성

- 무성세대는 Endothiella로서 분생포자각 내에 분생포자 형성

- 자좌는 수피 밑에 형성되어 갈라진 틈으로 돌출

- 자낭은 타원 또는 곤봉모양으로 자낭 내에 8개의 자낭포자를 포함

- 자낭포자는 타원형이며 무색의 2세포로 중앙부위가 잘록함

⁚ 병징 및 표징

- 줄기와 가지의 상처를 중심으로 병반이 형성

- 발생초기에는 황갈색이나 적갈색으로 변하며 수피가 부풀어 오름

- 감염된 줄기의 수피는 검은색으로 음푹 들어가며 균열이 생기고 수피가 갈라지며

벗겨보면

부채모양의 황색균사 형성되어 있음

- 늦가을에 감염된 가지는 낙엽 되지 않고 마른 잎을 달고 있음

⁚ 감염경로

- 전염원

·전염원은 줄기나 가지에 형성된 분생포자 및 자낭포자

·분생포자는 1년 내내 분생포자각에서, 자낭포자는 3∼10월까지 자낭내에서

형성

- 전염방법

·빗물에 의해 포자가 방출되며 비, 바람, 새, 곤충 등에 의해 전파

·봄부터 가을에 걸쳐 10℃이상의 조건에서 감염이 일어나며 상처부위를 통해

침입

·균 생육의 최적조건이 되는 8∼9월에 병 발생이 심함

- 발병부위

·해충에 의한 피해나 겨울기간의 동해를 받은 줄기나 가지

·가지치기한 부위 및 지제부나 접목부위

⁚ 방제방법

- 밀식을 피하고 수세회복을 위한 적절한 비배 관리

- 상처를 받은 부위는 지오판 도포제를 발라줌

- 동해를 받기 쉬운 곳은 고접묘를 사용하고 질소질 비료의 과용을 피함

- 동해나 피소를 막기 위해 백색의 수성페인트를 발라줌

- 천공성 해충류의 피해가 없도록 살충제를 살포

- 저항성품종의 식재


밤종실 탄저병

⁚ 피 해

과실이나 밤송이 발생하여 과실부패나 밤송이로 조기낙과 됨

⁚ 병징 및 표징

- 밤송이의 가시가 갈변하면서 밤송이 껍질이 흑갈색으로 변함

- 병에 감염된 밤송이는 건전한 밤송이 보다 작음

- 감염 밤송이는 조기낙과 함

- 수확시 병징이 확인되지 않은 것은 저장 중에 발병 부패함

⁚ 감염경로

- 병원균은 눈이나 가지 조직 내에서 균사상태로 월동

- 포자는 빗물에 의하여 전파되고 강우량이 많은 해에 심함


⁚ 방제방법

- 적당한 시비, 전정 등으로 수세를 강화시킴

- 고사된 가지를 제거함

- 밤나무혹벌 발생지에 피해가 심하므로 혹벌에 강함

- 병 발생시는 6월∼8월에 지오판수화제, 벤레이트수화제, 만코지수화제 등 살포함


밤나무역병

⁚ 분 포 : 한국, 일본, 북미, 유럽

⁚ 기주식물 : 밤나무, 가래나무, 호도나무, 단풍나무 등

⁚ 피 해

- 수관이 서로 맞닿게 된 장소에 주로 발생함. 일단 발생하면 병의 진전속도가

빨라 1∼2년 사이에 대부분이 고사함

⁚ 병징·표징

- 보통 장마 후에 급격히 피해가 눈에 띄고 이러한 경우에는 봄부터 나타남

- 주로 지제부의 가까운 줄기에 발생하며, 수피의 균열부위나 피목에 검은색의 즙액이

흘러나와 지저분하게 보이며 알콜 냄새가 남

- 이 부분의 수피를 잘라보면 형성층은 갈색으로 변하고 조직은 물렁물렁함

- 변색부는 점차 농갈색에서 가을까지 계속 나오며 병반이 확대되어 줄기를 한바퀴

돌면 병든 나무는 죽어버림

- 병든 부분은 오래되면 말라서 움푹 들어가고 수피도 갈색으로 변함

⁚ 진단요점

- 생육이 왕성하다가 급격히 위조 고사 될 경우에는 본 병이 의심됨

- 줄기에서 검은 즙액이 점점이 분비되고 알콜 냄새가 남

⁚ 방 제 법

- 밀식, 도장, 상처 등은 본 병의 원인을 유발함

- 발생지역에서는 토양 소독을 실시함

- 발생우려지역은 지제부 1∼1.5m까지의 수간에 벤레이트, 톱신 등을

5월 상순부터 수회 살포함



병충해 방제(病蟲害 防除) 요령





병 충 해 명

가해부위

발생시기

방 제 법


밤나무 혹벌



5∼7월

·내충성 품종재배, 전정 및 시비철저

어스랭이나방 잎
5∼6월

·디프수화제 1,000배액 살포

혹나방 꽃, 새순


·벌레구멍에 철사를 넣어 찔러 죽이거나 살충제를 넣고 진흙을 바름

박쥐나방 줄기, 가지 5∼8월 ·상처를 칼로 다듬고 발코트나 톱신도포제를 바름
하늘소



·메타시스톡스 1,000배액 살포
왕진딧물 잎
10∼5월

·디프수화제 1,000배액 살포

주머니나방 줄기, 가지
7∼9월

·기계유제나 석회유황합제 25배액 살포, 나뭇가지에 붙은 벌레(깍지)를 문질러 없앰

깍지벌레
밤송이
연 중
·간벌 및 전정철저, 피해가 심한 곳에서는 2∼3월 기계유제, 7∼8월에 파프유제 살포

밤송이진딧물 밤알 7∼8월
·7월 하순∼8월 중순사이 엘산분제 또는 엘산유제, 디프수화제를 10일 간격으로 살포

복숭아명나방 밤알 7∼8월
·8월 중순∼9월 중순사이에 파프유제, 나크수화제, 엘산분제 또는 엘산유제를 10일 간격으로 살포

밤바구미 밤알 8∼9월
·수확한 밤은 인화늄정제 또는 이류화탄소로 훈증

줄기바름병 줄기, 가지 6∼8월

·환부를 칼로 도려내고 발코드(톱신도포제)를 바름, 동해예방 철저






밤나무혹벌 피해 및 방제

발생경위

⁚1958년경 충북 제천에서 최초발견, 1960년대 전국 재래종 밤나무에 만연되어

일본으로부터 내충성이 강한 은기, 유마 등을 도입보급.

⁚1978년 경남북, 전남 등 일부지역의 내충성인 도입품종(은기, 유마 등)에서도 혹벌피해가

발생하였으나 경미하게 진행되어 왔음.

⁚1997년 전남 광양지역에서 발생하여 하동→진주→산청→합천→함양지역으로 계속 확산되고 있음.

※ 밤나무혹벌 발생원인 : 중국, 일본 등에서 주기설(시병)로 보고 있으나 아직 명확히 규명되지 않음.

※ 그 동안 밤나무혹벌이 잠복하고 있다가 기상이변 등으로 해충번식 여건이 좋아짐에 따라 급격한

확산으로 추정됨.



밤나무혹벌 생태

⁚밤나무혹벌 생활사

- 년 1회 발생하며 눈의 조직 내에서 유충으로 월동하며 월동유충은 동아(冬芽)내에 충방을

형성하나 맹아기 이전에는 육안으로 피해를 식별할 수 없음

- 동아속의 유충은 3월 하순부터 5월 상순에 급속히 자라며 충영은 4월 하순∼5월 상순에

팽대 하여져 가지의 생장이 정지되며 노숙한 유충은 6월 하순∼7월 상순에 충영태 충방에서

번데기로 되며 7∼9일간의 번데기 기간을 거쳐 1개월 동안 우화함

⁚밤나무혹벌 가해습성

밤나무 눈에 기생하며 직경 10 ∼ 15mm의 충영이 형성되므로 기생부위에 작은 잎이

총생하여 신초가 자라지 못하고 개화, 결실이 되지 않으며 충영은 성충 탈출 후인 7월 하순부터

말라죽으며 피해목은 고사하는 경우가 많음

 

피해상태

⁚시비, 전정 등 관리상태가 양호한 건전목 보다 관리가 불량한 쇠약목의 수관내부와 하부의

소약지에 피해가 더 심함

⁚유령목(10년이하)이나 장령목(20년 이하)보다 노령목(20년 이상)의 피해가 더 심함

⁚유마나 은기 등 혹벌 내충성 품종에 비하여 재배농민이 선호하여 많이 재배하고 있고 축파에

피해가 더 심함

⁚혹벌 피해목은 혹벌이 결과모지의 밤송이가 맺을 눈에 산란하므로 결과지의 생육불량에

의한 수확량 감소 및 품질이 저하됨


방제대책

(가) 방제법

⁚밤나무혹벌 방제는 간벌, 시비, 전정 등 건전한 나무로 가꾸기 위한 비배관리 철저,

내충성 품종(유마, 은기, 대보, 박미1,2호)으로 갱신하는 방법, 성충 우화 시기 이전에

충영을 제거하는 방법, 천적인 남색긴꼬리좀벌, 노란꼬리좀벌 등 천적을 보호증식하는 방법 등이 있으며

⁚성충우화시기에 약제방제 방법이 있으나 성충의 수명이 약 4일정도로 짧고 우화기간은

6월하순∼7월하순까지 1개월 정도로 사실상 약제방제는 어려운 실정임

(나) 단기대책

⁚시비(화학비료 지향, 퇴비시용), 전지, 전정 등 철저한 비배관리로 건전목 육성

⁚내충성 품종인 유마, 은기 등 권장 식재(노령목 갱신 및 신규 식재시)

⁚각종 병해충의 전염원이 되고 있는 방치 밤나무림에 대한 이병목 제거 차원에서 정책적 배려 요망

(다) 장기대책

⁚밤나무혹벌에 보다 강한 내충성 품종 육종 확대 보급

⁚밤나무혹벌 천적(남색긴꼬리좀벌 등) 인공사육 방제기술개발

⁚밤나무혹벌(♂)의 성 유인물질에 의한 방제기술개발 등


밤나무종실 해충 피해 및 방제

밤성숙기에 과실을 가해하여 밤의 상품가치를 저하시키는 복숭아명나방과 수확한 밤 속에서

과육을 가해하는 밤바구미의 방제방법은 다음과 같다.


복숭아명나방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등

⁚가해수종 : 밤나무, 복숭아나무, 배나무, 사과나무 등

⁚피해

- 2화기에 구과 피해율이 비교적 높고

- 어린유충은 밤송이 가시를 잘라먹으며 표면에서 생활하고 성장하면 밤송이 속으로 파먹어 들어가

암갈색의 똥을 밖으로 배설하여 밤송이 표면에 거미줄 같은 것으로 붙여 놓음

- 밤을 수확하였을 때 벌레 먹은 밤은 대부분이 복숭아명나방 피해임

- 가해초기에 나타나는 증상은 유충이 잘라 놓은 가시가 말라 밤송이 색이 약간

누렇게 보임

⁚생활사

- 1년에 2∼3회 발생

- 1화기

·수피틈, 빈 밤송이에서 월동, 5월 중순에 번데기

·5월 하순∼7월 상순(최성기 : 6월 중순)에 1화기 성충이 우화

·우화초기는 복숭아 등에 산란하나 말기에는 조생, 중생종에 산란

- 2화기

·7월 하순∼8월 하순(최성기 : 8월상∼중순)에 우화

·2화기는 산란수가 가장 많고 주로 조생종에 산란

·밤송이 가시 사이에 산란하며 난기간은 4∼5일

- 3화기

·성충은 8월 하순∼10월 상순(최성기 : 9월 상순)에 우화

·중생, 만생종과 수확기의 조생종에 산란하며 난기간은 1주일내외

·유충기간은 약 1개월


   

⁚ 방제방법

- 복숭아명나방은 발생년도, 지역에 따라 발생시기가 불규칙하므로 밤나무 집단 재배지별로 유아등과 같은 기구를 이용한 2∼3년 간의 발생시기조사를 통하여 방제적기 파악이 중요함

- 성충우화시기 : 8월 초순부터 8월 하순 사이(최성기 8월중순경)

- 복숭아명나방 방제는 2세대를 대상으로 방제하는 것이 효과적임

- 유충이 밤송이 속으로 파먹고 들어간 후에는 방제효과가 반감되므로 어린 유충기에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임

- 약제살포는 할로스린유제, 파프유제, 파프분제를 발생최성기 7∼10일 전후로 2회 살포


밤바구미

⁚ 분포 : 한국, 일본, 시베리아

⁚ 가해수종 : 밤, 참나무류 종자

⁚ 피해

- 특히 만생종에 피해가 심함

- 유충이 과육을 불규칙하게 식해하고 똥을 밖으로 배출하지 않아 외관상으로는 피해 여부를 알 수 없음

- 유통과정에서 유충이 구멍을 뚫고 탈출할 때 피해 확인 가능

⁚ 생활사

- 주로 년1회 발생하나 1세대가 2∼3년인 개체도 있음

- 지하 3∼9㎝에서 월동한 유충이 7월 하순∼10월 상순에 용화하고 2주후에 우화하여 땅속에 잠복

- 성충의 출현시기는 8월 하순∼10월 하순(최성기 9월 중하순)임

- 성충수명은 약 30일이며, 8월 하순부터 10월 사이(최성기 10월 상순)에 산란

- 암컷 1마리당 산란수는 약 150개이며 밤이 성숙되는 순으로 종피와 과육사이에 산란하는 특성이 있음

- 약 1개월간 과육을 식해한 유충은 구멍을 뚫고 나와 땅속에서 월동




  ⁚ 방제방법

밤바구미 방제는 산란예방을 위해 약제를 살포하는 방법과 산란된 후에 훈증하는 방법이 있음


■ 산란예방법

- 밤바구미 산란기에 할로스린유제, 피레스유제, 델타린유제, 파프분제, 파프유제 등을 9월중에 10일 간격으로 2∼3회 살포

- 산란기는 주로 수확 3주전이므로 이 시기부터 살포하는 것이 효과적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