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 록 |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research trends concerning landscape architecture(LA). The research scope was limited to the articles listed in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KILA). I reviewed the 1978 articles from the journal 1973 to 2004. The articles were classified by such 11 criteria as the type of articles(history of landscape architecture, landscape/aesthetics, planning/design, construction/management, materials(plant/non-plant), environmental ecological restoration, GIS/RS, tourist, indoor landscape, etc) The main findings from the review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t is on the decrease that history of landscape architecture, landscape and aesthetics which belong to the theoretical research of LA. Based on the findings, it was suggested that to find the various theme of these fields and stimulate harder to research are necessary in the future. 2. Environmental ecology restoration field should be studied about various case study area such as artificial ground and damaged area. Both theoretical and case-directed research should be performed in order to enhance research applicable real state and need to perform the study on the wild animals as well as plants.
본 연구는 지난 30여년간 많은 발전과 변화를 해온 조경분야의 연구경향을 살펴보기 한국조경학회지 게재논문을 분석함으로서 현재까지의 연구성과 및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조경분야의 바람직한 연구방향을 모색하는 기초자료로서 활용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1973년부터 2004년까지 한국조경학회지에 실린 978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하며 해당 논문을 조경사/문화, 경관/미학, 조경계획/설계, 시공관리(공법개발, 기타). 조경구조공학, 조경재료(식물재료/비식물재료), 환경생태/복원(생태, 생태계획, 비오톱조성 등), 조경전산기법(GIS/RS), 관광, 실내조경, 기타조경학으로 구분하였다. 검토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경의 이론적인 연구에 속하는 조경사나 경관 및 미학분야에 대한 연구는 감소추세에 있다. 향후에는 이에 대한 좀더 심도 있고 다양한 연구가 활성화됨으로서 조경분야의 영역을 확고히 할 필요가 있다. 2. 환경생태복원분야는 향후에도 계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현장조사와 이론적인 연구가 병행되어 좀더 현실 적용가능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식물뿐만 아니라 야생동물에 대한 연구가 거의 전무하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3. 연구대상지별로는 전통적으로 조경의 대상이 되어온 공원과 지구/단지계획, 건물외부공간조경이 주된 대상지가 되어 온 것을 알 수 있으며 근래 들어 경기장/골프장, 하천 및 수공간, 도로비탈면, 인공지반 등이 새로운 조경의 연구대상지가 되었다. 향후에는 광역조경과 국토차원의 연구에도 조경연구인력의 계속적인 참여로 그 영역을 넓혀나가야 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