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유기농업

[품종과 육종]

날마다좋은날 2005. 11. 17. 16:10
Subject  
   3. [품종과 육종]
  
[품종]
1. 품종의 개념과 저항성 품종
2. 품종의 유지

[육종]
1. 육종의 개요
2. 작물육종의 목표
3. 작물육종 방법 및 과정
4. 특성검정
5. 종자의 증식과 보급

===========================
1. 품종
1) 품종이란? 다른 것과 구별되는 특성을 가지고, 그 특성이 재배, 이용상 지장이 없을 정도로 균일하며 세대가 진전되어도 균일한 특성이 변화하지 않는 개체군을 가리킨다.
2) 계통이란? 품종을 육성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만든 잡종 집단에서 특성이 다른 개체를 선발하여 증식한 개체군을 가리킨다.
3) 품종을 구별하는 특징을 특성이라 하고, 특성의 대상을 형질이라고 한다.
4) 신품종의 구비조건 : 구별성ㆍ균일성ㆍ안정성
5) 신품종의 품종보호요건 : 신규성ㆍ구별성ㆍ균일성ㆍ안정성ㆍ고유한 품종명칭

2. 품종의 선택
1) 품종이 작물의 생산성 증대에 기여하는 정도 : 50% 내외
2) 품종이 변천해온 이유
① 화학비료가 대량공급 됨에 따라 기존 품종들은 다비 다수성 품종으로 교체되었다.
② 품종의 병해충 저항성은 일정기간이 지나면 다시 붕괴되며 환경스트레스 저항성도 환경 변화에 따라 달라진다.
③ 시장과 소비자의 기존 변화에 부응하여 다양한 품질의 품종들이 새롭게 등장한다.
④ 육종방법의 변화도 품종변천의 중요한 이유가 된다.

3. 육종
1) 육종과정
(1) 재배식물의 육종과정은 육종목표설정→육종재료 및 육종방법 결정→변이작성→유망계통 육성→신품종 결정 및 등록→증식 및 보급 등의 단계를 거친다.
(2) 육종목표는 분명하고 구체적이어야 한다. 육종목표를 설정할 때는 사회·경제적 여건과 생산환경 및 생산양식의 변화 등을 충분히 고려하며, 또한 대상지역의 자연 조건과 농업사정, 농업기술, 사회정세 등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3) 목표형질은 생산성, 품질, 저항성, 적응성 등으로 구분되며, 육종의 우선순위와 형질의 중요도는 재배식물 종류와 재배지역 및 시대에 따라 달라진다.
(4) 육종재료는 목표형질에 가까운 특성을 많이가진 것을 선정한다. 교배친을 고를 때는 특성조사 성적, 교배친으로 사용한 실적, 유전분석 결과, 조합능력 검정결과 등을 검토하며, 한쪽 친은 대상지역의 주요품종(또는 재래품종)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육종방법은 대상식물의 생식방법과 변이작성 및 선발방법 등에 따라 교배육종, 돌연변이육종, 배수성육종, 형질전환육종, 하이브리드육종, 영양계개량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육종방법을 결정할때는 육종목 표, 면적, 시설, 인력, 경비, 육종연한 및 육종가의 능력 등을 충분히 고려한다.
(6) 육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육종조직이 필요하다.

2) 육종방법
① 자식성작물 : 벼, 보리, 밀 콩
- 순계선발 : 교배육종 (조합육종과 초월육종)
- 교배육종 : 계통육종, 집단육종, 파생계통육종, 1개체 1계통
- 여교잡육종 : 우량품종에 한두가지 결점이 있을때 이를 보완하는데 효과적인 육종방법이다.
② 타식성 작물 : 자식약세, 잡종강세
- 집단선발
- 순환선발 : 단순순환선발(일반조합 능력 개량)
  상호순환선발(일반조합능력검정과  특정조합능력 함께 개량)
- 합성품종 : A/B//C///D/4/E
- 1대 잡종육종 : 잡종강세가 큰 교배조합의 1대 잡종

4. 품종보호
1) 육종가가 신품종에 대하여 국립종자공급소에 품종보호권을 설정·등록하면, 종자 산업법에 의해 육성자의 권리를 20년간(과수와 임목은 25년) 보장받는다.
2) 우리나라의 법적 보호대상식물은 103개(2002년 7월 1일 현재)이나 2009년까지는 모든 식물로 확대된다.
3) 법적 보호를 받는 품종을 보호품종이라 하며, 신품종이 보호품종으로 되려면 신규성·구별성·균일성·안정성·고유한 품종명칭 등 다섯 가지의 품종보호요건을 구비해야 한다. 구별성·균일성·안정성을 신품종의 3대 구비조건이라고 한다.
4) 종자증식은 기본식물 양성→원원종 생산→원종 생산→보급종 생산의 기본체계를 따른다.  주요농작물의 기본식물 양성은 국립시험장에서, 원원종은 각 도 농업기술원에서, 원종은  각도 농산물 원종장에서, 보급종은 국립종자공급소와 시·군 및 농업단체 등에서 생산한다.
5) 종자증식을 위한 채종재배는 유전적으로 순수하고 충실한 종자를 얻는 것이 목적이므로 재배지의 입지선정에 유의하고 박파, 다비, 소비재배 등 효율적인 증식방법으로 증식률을 높이며 수확적기에 채종해야 한다. 화곡류의 채종적기는 황숙기이고, 채소류는 갈숙기가 적기이다.
6) 신품종을 보급할 때에는 적지적품종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하고, 각종재해에 대한 위험분산과 시장성 및 재배의 안정성 등에 대하여 충분히 고려하여야 한다.
7) 품종퇴화는 이형유전자형의 분리·자연교잡·돌연변이·이형종자의 기계적 혼입 등에 의한 유전적 퇴화, 기상 및 생리적 원인에 의한 생리적 퇴화, 그리고 이병종자 등에 의한 병리적 퇴화등이 있다.
8) 품종의 특성유지방법으로는 개체집단선발, 계통집단선발, 주보존, 격리재배 등이 있다. 타식성 식물의 채종재배와 품종특성 유지를 위해서는 격리재배를 해야한다.
9) 우량품종의 순도 유지와 품종퇴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일정기간마다 유전적으로 순수하고 우량한 종자로 종자갱신을 할 필요가 있다. 자식성 식물의 종자갱신 연한은 4년 1기이다.
10) 국제 식물신품종 보호연맹(UPOV)의 회원국은 국제적으로 육성자의 권리를 보호받는다. 우리 나라는 2002년 1월 7일에 가입하였다.

<연습문제>
1. 속명(generic name)과 종명(species name)을 가지고 생물의 학명(scientific name)을 명명하는 이명법(bionmial nomenclature)을 제창한 사람은? 2
① Johannsen                                ② Linne
③ Morgan                                        ④ Darwin

▶ 벼의 학명은 Oryza sativa L. 인데 Oryza는 속명, sativa는 종명이 된다.

2. 종 이하의 작은 분류단위를 알맞게 표시한 것은? 1
① 종 - 아종 - 변종 - 품종 - 계통                ② 종 - 아종 - 품종 - 계통 - 변종
③ 종 - 변종 - 계통 - 아종 - 품종                ④ 종 - 변종 - 아종 - 품종 - 계통

▶ 생물의 최종 분류단위는 종인데, 유전적 배경의 차이점에 따라서 아종 변종, 품종, 계통으로 세분화 한다.

3. 신품종이 구비하여야 할 조건으로 합당하지 않은 것은? 4
① 구별성                ② 균일성                ③ 안정성                ④ 변이성  

▶신품종은 기존의 재배되고 있는 품종보다 유전적으로 구별이 가능해야 하고 그 우수한 특성이 개체간에 균등해야 하며, 또한 그 특성이 안정성이어야 한다. 통일벼는 일반벼에 비해 단간, 내도복성이 우수한데 이는 유전적 차이에 의해 나타나는 특성으로서 통일벼 품종 내 모든 개체가 균등하게 단간, 내도복성을 나타내고 몇 년이 경과하더라도 이 특성은 변화하지 않는다.

4. 품종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3
① 품종은 순계이다.
② 품종은 유전자형이 타집단과 구별되거나 타집단과 유전자 빈도를 달리하는 개체군이다.
③ 1대 잡종 F1은 유전적으로 hetero한 상태이므로 품종이 될 수 없다.
④ 품종을 구별하는 특징을 특성이라 하는데 특성의 대상을 형질이라고 한다.

▶ 품종이라 함은 작물의 재배 또는 이용상 동일한 특성을 나타내며 동일한 단위로 취급되는 것이 편의상 좋은 개체군에 대하여 주어진 명칭이다. 따라서 F1의 유전조성이 완전 hetero라 하더라도 그 유전조성이 균일한 특성을 인위적으로 영속시킬 수 있으므로 농학에서는 품종으로 취급된다. ①은 자식성 작물에서의 품종을 말하고, ②는 타식성 작물에서의 품종을 말한다.

5. 통일벼의 교배조합은? 3
① Peta x Yukara                                     ② (1R8 x Taichung Native 1)x진흥
③ 1R8 x (Yukara x Taichung Native 1)           ④ (1R8 x 진흥) x Yukara

▶ 1R8은 국제미작연구소에서 육성된 소위 기적의 볍씨이고 Tachung Native 1(TN1)은 대만품종이며, Yukara는 복해도의 품종이다. 통일품종이 가지는 다수성 초형은 TN 1에서 유래된 것이다.

6. 내비성을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① 질소비료를 많이 주면 줄수록 수량성이 높아지는 특성
② 질소비료를 많이 주면 줄수록 수량성이 낮아지는 특성
③ 질소비료를 적게 주면 줄수록 수량성이 높아지는 특성
④ 시비량에 관계없이 수량성이 높은 특성

▶ 내비성은 비료, 특히 질소비료를 많이 주어도 아무 탈 없이 이를 많이 흡수, 동화하여 안전한 생육을 하는 특성이며, 수량을 높이는데 기본적으로 중요한 특성이다. 통일벼는 일반벼보다 내비성이 크다.

7. 다음 분리육종법 중 자가수정작물에서 주로 사용하는 육종법은? 4
① 순계분리법                                ② 집단선발법
③ 성군선발법                                ④ 계통집단 선발법

▶ 자가수정 작물에서는 분리되고 있는 기본 집단에서 개체선발을 하여 순계를 골라내는 데 타가수정 작물에서는 자식약세가 나타나는 성질이 있어서 순계로 되는 것이 불리하기 때문에 계통분리법을 쓰게 된다. 계통분리법에는 집단선발법, 성군집단선발법, 계통집단선발법 등이 있다.

8. 다음 중 여교배(backcross)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2
① A x B                                        ② (A x B) x A
③ (A x B) x C                                ④ (A x B) x (C x D)

▶ A x B = 단교배, (A x B) x A 또는 (A x B) x B = 여교배, (A x B) x C = 삼원교배, (A x B) x (C x D) = 복교배, 여교배는 F1을 양친 중 어느 한쪽친과 교배하는 것이고,  삼원교잡은 F1을 양친이 아닌 제 3의 친과 교배하는 것이다.

9. 계통 육종법과 집단 육종법의 가장 큰 차이는? 2
① F2 세대를 집단으로 재배하는 것
② F3~6을 집단으로 재배하는 것
③ 계통 내에서 집단으로 재배하는 것
④ 원원종을 집단으로 재배하는 것

▶계통 육종법에서는 F3부터 계통재배를 하지만, 집단 육종법에서는 F3~6까지 집단으로 재배한 후 우량개체를 선발하여 계통재배를 한다.

10. 집단 육종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못한 것은? 4
① 유용 유전자의 확보가 유리하다.
② 많은 면적이 요구된다.
③ 품종육성에 장기간이 요구된다.
④ 자연도태를 이용하므로 선발한 필요가 없다.

▶ 집단 육종법에서는 초기세대에 집단으로 재배하기 때문에 계통 육종법에 비하여 유용 유전자를 많이 유지할 수 있고. 초기 세대에 선발을 위한 노력은 적게 들지만 많은 면적이 요구되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집단 재배기간 동안 자연도태를 이용한다 하더라도 자연도태에서 살아남은 개체들 중에서 우수한 계통을 인위 선발해야 한다.

11. 종자 증식체계가 바르게 된 것은? 4
① 원원종→원종→기본식물→보급종                ② 원원종→원종→보급종→기본식물
③ 원원종→기본식물→원종→보급종                ④ 기본식물→원원종→원종→보급종

▶ 기본식물-육종가에 의해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과 같은 육종장에서 생산되는 종자.
원원종-도농업기술원에서 생산되는 종자.   원종-도원종장에서 생산되는 종자
보급종-채종포에서 생산되는 종자.  종포는 계약된 독농가 포장

12. 집단 육종법과 계통 육종법을 비교한 항목 중 옳지 않은 것은? 3
① 집단 육종법은 계통 육종법보다 노력이 적게 든다.
② 집단 육종법은 계통 육종법보다 조합당 면적이 더 필요하다.
③ 집단 육종법은 계통 육종법보다 잡종 초기세대 선발이 더 필요하다.
④ 집단 육종법은 계통 육종법보다 육종년한이 늦어진다.

▶ 집단 육종법에서는 F5~6세대까지 집단으로 재배하면서 자연도태를 최대한 이용하고, 잡종 집단의 유전자 조성의 homo화가 이루어진 다음에 선발하기 때문에 잡종 초기세대의 선발이 필요없다.

13. 다음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4
   < Backcross(여교배) 육종법은 계통 육종법에 비하여 >
① 육종년한을 단축시킬 수 있다.
② 목표형질을 정확히 이전시킬 수 있다.
③ 단순형질을 개량하는 데 능률적이다.
④ 다수의 유전자가 관여하는 형질개량에 유리하다.

▶ Backcross 육종법은 비상용품종의 단순유전을 하는 유동형질을 실용품종에 옮겨 넣을 것을 목적으로 비실용품종을 1회친으로 하고 실용품종을 반복친으로 하여 연속적으로 또는 순환적으로 교배, 선발하여 비교적 작은 집단의 크기로 짧은 세대 동안에 품종으로 고정해 가는 육종법이다. Backcross 육종법은 소수의 유전자가 관여하는 내병성이나 내충성을 이전하는 저항성 육종에 유리한 방법이다.

14. 교잡육종법에서 대개 생산력검정이 시작되는 세대는? 2
① F3~4                ② F5~6                        ③ F7~8                        ④ F8~9
▶ 일반적으로 F5~6세대에 생산력 검정이 시작되는데 이 때가 되면 대부분의 형질들이 유전적으로 고정되어지기 때문이다.

15. 한 품종에다 내병성, 내충성, 내냉성, 저온발아성 등 여러 가지의 특성을 조합하려 할 때 많이 이용되는 육종방법은? 4
① 계통육종법                                ② 집단육종법
③ 파샹계통육종법                                ④ 다계교잡법

▶ 여러 가지 특성을 한 품종에다 조합하기 위해서는 양친간 교잡(P1 x P2)후대를 대상으로 하는 것보다 3개 이상의 여러 품종을 교배모본으로 쓰는 다계교잡법이 유리하다.

16. 계통육종법과 집단육종법을 절충한 육종방법은? 2
① 여교잡법                                ② 파생계통 육종법
③ 다계교잡법                                ④ 성군선발법

▶ 파생계통 육종법에서는 F2~3세대에서 질적 형질을 선발하고, F3~5세대는 집단 재배하기 때문에 F2~3세대는 계통 육종법에 따르고, F3~5세대는 집단 육종법에 준하는 육종방법이다.

17. 잡종강세(heterosis)를 이용하는 데 갖추어야 할 조건이 아닌 것은? 1
① 단순유전해야 한다.
② 교배가 쉬워야 한다.
③ 1회의 교배에 의해 많은 종자를 얻을 수 있어야 한다.
④ 단위면적당 재배에 요하는 종자량이 적어야 한다.

▶ 잡종강세 육종에서는 대상형질을 이전하는 것이 아니고, F1의 잡종강세를 이용하는 것이므로 대상형질이 단순 유전하지 않더라도 잡종강세만 크게 표현 될 수 있으면 된다. 수량에는 많은 유전자가 관여하지만 잡종강세를 유리하게 이용하고 있다.

18. 잡종(F1)에서 나타나는 잡종강세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은 것은? 4
① F1의 형질은 양친보다 우수하다.
② 개화와 성숙이 촉진된다.
③ 불량환경 조건에 대한 저항력이 크다.
④ 잡종강세로 표현된 형질은 다음 세대로 유전된다.

▶ F1에서 나타나는 잡종강세는 유전자 조성이 Aa와 같이 hetero한 상태에서 표현되기 때문에 다음 세대로 유전되지 않는다. F2 이후가 되면 유전자 조성이 homo인 AA와 aa가 늘어간다.

19. 게놈(genome)이란? 1
① 1배체 식물이 가지는 염색체의 한 조(set)
② 2배체 식물이 가지는 염색체 조
③ 3배체 식물이 가지는 염색체 조
④ 한개의 세포가 가지는 염색체 조

▶ 게놈이란 생물이 완전한 생활기능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염색체군을 말하며, 이러한 염색체의 한 조에는 상동염색체가 2중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염색체 숫자롤 보면 상동염색체는 2n이고 genome은 n이다. 따라서 상동염색체는 2개의 게놈으로 되어 있다. 벼의 염색체는 2n=24인데 이때 게놈은 n=12가 된다.

20. 일대 교잡종을 많이 이용하는 작물은? 2
① 벼                ② 옥수수                ③ 콩                ④ 보리

▶ F1 교잡종을 이용하려면 교배종자를 많이 얻을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벼, 보리, 콩과 같은 자식성 작물에서 보다는 옥수수와 같은 타식성 작물에서 많이 이용하고 있다.  최근 자식성 작물에서도 웅성불임성을 이용하여 교잡종을 만드는 방법이 적극적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실용화 되고 있다.

21. 다음 중 품종육성의 효과로서 기대하기 어려운 사항은? 2
① 수량성 증가                                ② 지력 증진
③ 품질 개선                                ④ 재배한계의 확대

▶ 지력 증진은 식물체의 특성이 아니라 토양의 특성이므로 품종육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없다.

22. 배수성을 이용하는 육종에 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3
① 자가수정 작물보다 타가수정 작물이 적합하다.
② 잎과 줄기를 이용하는 작물이 종실을 이용하는 작물보다 적합하다.
③ 십자화과 작물보다 화본과 작물에 적합하다.
④ 염색체 수가 많은 작물보다 염색체 수가 적은 작물에 적합하다.

▶ 타가수정 작물은 이종화간의 수분이 용이하고, 염색체 수가 적은 작물은 염색체 배가가 용이하므로 배수성이 이용이 유리하다. 또한 배수성이 되면 영양기관의 발육이 증대되는 특성이 있으므로 생식기관인 종자를 이용하는 작물에서 보다 잎이나 뿌리와 같은 영양기관을 이용하는 작물에서 더 유리하다.

23. 돌연변이 육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
① 종래에 없었던 새로운 유전구성을 가진 식물을 얻을 수 있다.
② 돌연변이에 의해 육종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다.
③ 헤테로(hetero)로 되어 있는 영양번식 작물에서 변이를 작성하기 용이하다.
④ 인위 배수체의 임성을 떨어뜨린다.

▶ 동질 배수체 속에 들어 있는 상동 또는 비슷한 염색체를 결실, 역위, 전좌 등과 같은 방법에 의해서 비상동염색체에 분할시켜 줌으로써 감수분열을 정상에 가깝게 하여 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4. 우리 나라에서 벼 품종갱신을 어떻게 하고 있나? 4
① 1년 1기 갱신                                ② 2년 1기 갱신
③ 3년 1기 갱신                                ④ 4년 1기 갱신

▶ 우리 나라에서 벼는 4년 1기 갱신으로 하는 데 전 논면적의 1/4씩 매년 갱신할 만큼 종자를 생산한다.  따라서 4년 후면 전체 농가에 그 우량종이 다 보급되게 된다. 4년에 전부 보급되는 것은 4년 1기 갱신이라 한다.

25. 품종 퇴화의 원인이 될 수 없는 것은? 1
① 자연교잡의 억제                                ② 유전적 퇴화
③ 생리적 퇴화                                ④ 이형종자의 기계적 혼입

▶ 품종 퇴화는 유전적이 퇴화, 생리적인 퇴화, 병리적인 퇴화로 대별할 수 있는데, 유전적인 퇴화는 이형 유전자의 분리 자연교잡, 돌연변이, 이형종자의 기계적 혼입 등을 들 수 있고, 생리적 퇴화는 감자를 온난한 평지에서 채종할 때 나타나는 것과 같은 기상적 원인에 의한 퇴화, 콩의 채종을 밭에서 하는 것보다 논에서 하는 것이 생산력이 우수한 경우와 같은 토양적인 퇴화들을 들 수 있으며, 병리적인 퇴화로는 감자의 바이러스병에 의한 퇴화, 맥류의 깜부기병에 의한 퇴화 등을 들 수 있다.  자연교잡을 억제하면 이형유전자가 전입될 기회가 적어지기 때문에 품종퇴화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품종순도를 유지하는데 매우 유리하다.

26. 잡종종자의 생산방식과 거리가 먼 것은? 5
① 단교잡                                ② 복교잡                ③ 3계교잡
④ 다계교잡                        ⑤ 이면교잡

27. 여교잡육종법에 대한 옳은 설명으로 짝지어진 것은? 3
ㄱ. 우성인자를 도입하고자 할 때 효과적이다.
ㄴ. 출현하기 힘든 특정형질을 얻으려 할 때 주로 이용한다.
ㄷ. 일회친으로 실용품종을 이용한다.
ㄹ. 반복친으로 우량품종을 이용한다.

① ㄱ,ㄴ                                ② ㄱ,ㄷ                ③ ㄱ,ㄹ
④ ㄴ,ㄹ                                ⑤ ㄴ,ㄹ

28. 다음 세대에 유전분리가 안되어 이형접합상태의 유량유전자형을 유지·증식하는 방법으로 적당한 것은? 1
① 아포믹시스(apomixis)                         ② 돌연변이(mutation)
③ 세포융합(cell fusion)                        ④ 유전자재조합(recombination)

▶ 아포믹시스는 유성생식기관 또는 거기에 부수되는 조직세포가 수정과정을 거치지 않고 배를 만들어 종자를 형성하는 생식방법

29. 타가수분을 주로하며 잡종강세를 많이 이용하는 작물은? 3
① 벼, 보리                        ② 콩, 무                        ③ 옥수수, 배추
④ 밀, 호밀                        ⑤ 토마토, 아마

30. 교배육종의 순서가 옳은 것은? 3
① 모본선발 - 육종목표 설정 - 인공교배 - 분리집단양성 - 선발 및 고정 - 생산력검정 - 품종화
② 모본선발 - 인공교배 - 육종목표 설정 - 분리집단양성 - 선발 및 고정 - 생산력검정 - 품종화
③ 육종목표 설정 - 모본선발 - 인공교배 - 분리집단양성 - 선발 및 고정 - 생산력검정 - 품종화
④ 육종목표 설정 - 모본선발 - 분리집단양성 - 인공교배 - 선발 및 고정 - 생산력검정 - 품종화

▶ 육종과정은 육종목표설정 - 육종재료 및 육종방법 결정 - 변이작성 - 인공교배 - 분리집단양성 - 선발 및 고정임

31. 식물학상의 종과 재배학상의 작물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4
① 식물학상의 종은 이명법으로 표기한다.
② 작물의 이용성, 경제성, 재배성에 따라 구분한다.
③ 동일군에 여러 종이 있을 경우, 동일 목적으로 재배되면 같은 작물로 취급한다.
④ 식물학상 종명이 다르면 다른 작물로 취급한다.

▶ 식물학상은 종과 재배학상을 작물의 종류와 항상 일치하지 않아서 벼(O. sativa), 밀(T. aestivum)과 같이 작물의 종류가 종분류와 일치하는 것도 있지만 유채(Brassica campestris와 napus)와 같이 한 가지 작물에 두가지 이상의 종이 있는 것도 있고, Beta bulgaris(근대, 꽃근대, 사탕무우, 사료용 사탕무우)와 같이 한 가지 종에 여러 가지 작물이 있을 수도 있다. 이것은 종의 분류의 기준은 주로 식물의 형태와 같은 자연분류를 취하고 있는데 대하여 작물의 분류는 주로 재배상 또는 이용상의 입장에서 되어 있기 때문이다.

32. 육종과정에서 시간과 노력 및 경비가 가장 많이 필요한 단계는? 3
① 육종재료 선정                              ② 변이작성
③ 유망계통 육성                              ④ 종자증식
        
33. 경제적 특성에 속하는 것은? 1
① 수량, 품질                                  ② 수량, 병해충 저항성
③ 품질, 기계화 적응성                         ④ 병해충 저항성, 기계화 적응성

34. 교배친을 선정할 때 한쪽친을 대상지역의 주요품종으로 하면 좋은 점은? 2
① 수량성이 높다.        
② 그 지역에 적응된 유전자를 많이 가지고 있다.
③ 이형접합성이 높다.
④ 동형접합성이 높다.

35. 자식성 식물의 육종방법은? 3
① 집단개량                                    ②순환선발
③순계선발                                    ④영양계개량

▶ 육종방법
     ① 순계선발
     ② 계통육종                                자식성 작물
     ③ 집단육종
     ④ 여교배육종
     ⑤ 하이브리드육종
     ⑥ 집단개량                                    타식성 작물
     ⑦ 집단합성
     ⑧ 순환선발
     ⑨ 영양계개량                                 영양번식작물

36. 옥수수의 주된 육종방법은? 4
① 집단육종                                    ② 계통육종
③ 여교배(backcross)육종                        ④ 하이브리드(hybrid)육종

37. 여교배 육종의 구비조건으로 합당하지 않은 것은? 4
① 만족할 만한 반복친이 있어야 한다.
② 여교배하는 동안 이전형질의 특성이 변하지 말아야 한다.
③ 여교배 후대에 반복친의 유전구성이 회복되어야 한다.
④ 목표형질은 폴리진이 관여하는 양적 형질이 가장 효과적이다.

▶ 여교배 육종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만족할 만한 반복친이 있어야 하고, 여교배과정 중 이전형질(유전자)의 특성이 변하지 말아야 하며, 여러 번 여교배한 후에 반복적인 특성을 충분히 회복해야 한다.

38. 여교배 육종에서 교배방향에 관하여 잘못된 것은? 4
① 반복친을 자방친으로 사용하면 교배의 성공 여부를 확인하는 데 유리하다.
② 반복친을 자방친으로 사용하면 언제든지 교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③ 원연품종간 조합의 여교배에서는 F₁을 자방친으로 하는 것이 유리하다.
④ F₁을 자방친으로 하면 자식을 구별하기는 어려우나 임성회복에는 더 유리하다.

▶ 반복친을 자방친으로 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 1회친의 세포질에 있는 불량유전자의 도입 염려가 없다.
 교배의 성공여부를 판단하기 쉽다.  잡종은 잡종강세가 나타나고 1회친의 특성을 일부 나타내기 때문에 F이 반복친과 똑같으면 자식된 것이다.
 반복친은 꽃피는 시기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F이 개화할 때 언제든지 교배할 수 있다.
 F의 꽃 하나로 여러 개의 교배종자를 얻을 수 있다.  반복친은 많은 개체수를 취급할 수 있으므로 반복친을 자방친으로 하면 소수의 잡종으로 많은 교배종자를 확보할 수 있다.

39. 여교배조합이 바른 것은? 3
① (A×B)×C                           ② C×(A×B)
③〔A×(A×B)〕×A                   ④〔A×(A×B)〕×C

▶ - 단교배:A×B      - 복교배:(A×B)×(C×D)       - 3원교배:(A×B)×C             - 다계교배:〔(A×B)  (C×D)〕xE x F x G

40. 1개체 1계통육종은? 4
① 한 조합당 한 계통씩 선발하는 방법
② 한 조합당 한 개체씩 선발하는 방법
③ 한 조합을 한 계통으로 생각하고 초기세대를 진전시키는 방법
④ 한 개체를 한 계통으로 생각하고 초기세대를 진전시키는 방법

▶ 분리세대에서는 매세대 모든 개체로부터 1립씩 채종하여 집단재배하고, 후기세대에 계통재배하여 순계를 선발하는 육종방법으로서 집단육종과 계통육종을 절충한 방법 이다.

41. 정역교배의 표시가 바른 것은? 1
① A×B, B×A                        ② (A×B)×A, (A×B)×B
③ A×B×C, C×A×B                        ④ (A×B)×(C×D)

▶ A(♀)×B(♂), B(♀)×A(♂) 검정교배 : 여교배 중에서 F1을 양친 중 열성친과 교배하는 경우 검정 교배하면 F1의 유전자형을 알 수 있다.

42. 자식성 식물은? 3
① 옥수수 ․ 밀                        ② 벼 ․ 옥수수
③ 보리 ․ 벼                        ④ 보리 ․ 수박

▶ 자식성 작물은 모두 양성화로써 자웅동숙이며 자가불화합성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자식률이 매우 높다. 벼, 보리, 밀, 콩 등이다.

43. 타식성 식물의 품종특성 유지방법은? 2
① 순계선발                        ② 격리재배
③ 개체집단선발                        ④ 계통집단선발

▶ 타식성식물은 집단 선발로 육성한 품종의 특성유지를 위해서 계속적인 선발이 필요하며, 타식을 위해 격리재배해야 한다.

44. 주요 농작물의 기본식물을 양성하는 기관은? 1
① 국립 육종시험장                        ② 각 도의 농산물원종장
③ 각 도의 농업기술원                ④ 국립종자보급소

45. 잡종강세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것은? 1
① 단교배 1대잡종품종                ② 3원교배 1대잡종품종
③ 복교배 1대잡종품종                ④ 합성품종

46. 잡종강세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4
① 잡종강세는 1대잡종(F1)에서 가장 크게 나타난다.
② 잡종강세는 타식성 식물에서 더 크게 나타난다.
③ 잡종강세는 양친의 유전자 차이가 클수록 현저하다.
④ 잡종강세는 F2가 F1보다 더 크게 나타난다.

47. 1대잡종품종의 농업적 의의로서 가장 중요한 것은? 1
① 수량성이 높다.                        ② 채종이 용이하다.
③ 1대잡종 종자값이 싸다                .④ 열성유전자를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48. 일반조합능력과 특정조합능력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3
① 일반조합능력은 단교배로, 특정조합능력은 톱교배로 검정한다.
② 일반조합능력은 자식계통을 검정친으로 하고, 특정조합능력은 자연수분품종을 검정친으로 한다.
③ 일반조합능력의 원인은 생활에 유리한 우성유전자의 집적에 있고, 특정조합능력은 유전자간 상호작용에서 비롯된다.
④ 특정조합능력은 조기검정하고, 일반조합능력은 후기검정한다.

▶ 조합능력은 일반조합능력과 특정조합능력이 있다.
A계통은 다른 많은 검정용 계통과 교배하였을 때, 그 1대잡종들의 평균잡종강세 정도를 A계통의 일반조합능력이라 한다. 일반조합능력이 높은 것은 ‘우성설’대로 생활에 유리한 우성유전자들을 많이 가졌기 때문이라고 해석한다.
특정조합능력은 A계통이 특정한 C계통과 교배되었을 때만 나타나는 잡종강세로서 A계통과 C계통은 서로 특정조합능력이 높다고 말한다. 특정조합능력의 표현은 ‘초우성설’처럼 유전자 상호작용이 그 원인이라고 본다.

49. 저항성 품종의 가장 큰 장점은? 3
① 천적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② 병원균의 레이스나 해충의 바이오타입 분화를 방지한다.
③ 무농약재배를 할 수 있다.
④ 생산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친환경유기농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양학요점정리  (0) 2005.11.17
토양학 문제  (0) 2005.11.17
친환경농업육성법  (0) 2005.11.17
친환경농업육성법 시행령  (0) 2005.11.17
친환경 웹지원  (0) 2005.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