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유기농업

정원과 화단

날마다좋은날 2005. 11. 7. 10:09
 庭園과 花壇

1. 庭園(landscape garden

 1) 庭園의 美的 要素

정원에서 식물을 이용할 때 다른 미적 구성이나 예술작업에서 흔히 적용되는 미의 기본원리를 적용해야 한다. 이들 원리는 색채(color), 선(line), 질감(texture), 형태(form) 등의 다양한 디자인 요소의 응용으로 구성된다.

 ① 色(color)

색채(color)는 가장 강력한 호소력을 가지며, 또 가장 큰 반응을 일으키는 요소이다. 식물의 색채는 반사된 빛의 파장으로 좌우되는 시각적 성질이다. 정원에 색을 고려하여 식물을 심을 때 이용되는 색채의 종류는 기본적으로 2가지이다. 첫째는 바탕색(background) 즉 기본색(basic color)인데 경관으로 나타난 조망(view)과 잘 어울리도록 하기 위해 이용한다. 둘째는 강조색인데 식재구성 중에 어떠한 특질(feature)을 강조하기 위해 쓴다.

식물 특히 花卉類나 관상식물은 꽃, 葉, 줄기 및 열매 등을 통해서 너무나도 다양한 色을 나타낸다. 적색, 황색 및 청색을 제1차색(또는 單純色)이라 하고, 제 1차색의 두 빛깔을 같은 비율로 혼합한 것을 제 2차색(등색, 자색)이라 하며, 제 2차색과 제 1차색을 같은 비율로 혼합한 것을 제 3차색 주홍색(朱紅色), 적자색(赤紫色)이라 한다.

사람과 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赤色은 정열의 색이라고 하며 따뜻함을 느끼게 한다. 그러나 진할 경우에는 초조와 공포를 느끼게 하고 더운 느낌을 준다. 꽃으로는 장미와 칸나(canna)를 연상케 한다. 황색(黃色)은 환희와 쾌활 및 희망의 색이라고 하며, 진할 경우에는 이별과 불안 및 질투 등을 느끼게 하고 역시 더운 느낌을 준다. 꽃으로는 국화와 마리골드가 있다. 청색은 자연의 식물색으로서 항상 안정감을 주며 신비를 느끼게 하는 빛깔이고 진할 경우에는 우울과 의심을 느끼게 한다. 꽃으로는 사루비아(Salvia), 토레니아(Torenia), 델휘니움(Delphinium) 등이 있다. 백색은 꽃에서 많이 볼수 있는 색으로써 순결과 정절을 의미하며 또한 신성(神聖)을 나타내기도 한다. 꽃으로서는 백합, 안개초, 백색의 베고니아, 백색의 아프리카봉선화(Impatiens) 등이 있다.

② 선미(線美)

선(線)은 미적 표현의 골격을 이루며, 꽃과 식물을 관상할 경우 시각이 이동할 때 생기는 자취이다. 높은 나무는 수직, 그것을 완충하는 낮은 나무는 직선과 곡선을 넣어 선미를 나타낸다. 대체로 직선은 강직하고 힘이 있어 남성미를 나타내고, 곡선은 유연하고 섬세한 느낌으로 여성미를 연상케 한다.

③ 질감(質感)

여기에서 質(texture)은 식물의 표면이 곱거나 거친 느낌을 주는 시각적 성질을 의미한다. 즉, 질감(texture)은 보거나 느낄 수 있는 어떤 식물재료의 표면의 질을 의미한다. 질감의 정도는 식물체 표면의 질의 시각적 특성과 촉감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즉, 줄기, 잎, 가지 그리고 눈은 식물의 질감을 결정하는 물리적 특성이다. 기본적으로 질감은 거친 것이나 고운 것, 껄껄한 것이나 매끄러운 것 등으로 설명될 수 있다. 질감은 식물간의 비교에 의해서 결정된다. 단풍나무는 플라타나스와 비교할 때 더 고운 질감(fin texture)이라고 할 수 있다. 잔디밭 포장도로, 작은 자갈이 깔린 길 등은 고운 질감의 예이다.

④ 입체감(立體感)

형태(form)는 정원설계시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점이다. 형태에는 식물개체나 식물집단의 모양(shape)과 구조(structure) 등이 포함되며 3차원의 특성을 나타낸다. 각종 수목은 다양한 수형을 갖고 있다. 가문비나무는 삼각형, 느티나무는 원형 등 이들 요소를 참작하여 전체적인 均衡과 調和를 살릴 수 있다. 일반적인 식물형태 중에는 원형(rounded)이나 구형(globular), 난형(oval), 원추형(conical) 또는 피라밋형(pylamidal), 직립형(upright), 능수형(weeping), 수평형(horizontal), 부정형(irregular) 등이 있다.

식물의 형태는 잔가지나 굵은가지의 배열, 방향 또는 선에 의해서 결정된다. 그러므로 식재된 경관은 식물의 크기와 그 식물이 위치한 공간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면 늘어지는 것과 드리워진 형태는 시선을 지면으로 모으게 하고 수직적인 형태는 선을 위로 모아 공간의 높이에 제한적인 느낌을 준다. 따라서 수직적인 형태는 드물게 배치함으로써 디자인에 강조를 나타내게 할 수 있다. 또 수평적이고 넓은 형태는 공간의 넓이와 폭을 강조한다. 이러한 형태는 정상적인 시선의 움직임에 따르기 때문에 편안한 느낌을 준다. 정원(庭園)에 식물을 심을 때에는 각 지형에 맞는 식물의 형태를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강조하고자 할 때에는 이와 대비되는 형태를 선정하기도 한다. 또한 단조롭고 허전한 곳, 모퉁이에 작은 관목을 심어 완충적인 질감을 갖게 할 수 있다.

2) 庭園의 종류

① 東洋式 정원(中國式, 韓國式, 日本式 庭園)

동양식 정원은 대체적으로 자연풍경의 지형, 지물을 그대로 이용하여 자연풍경에 순응하는 조경이다. 모두가 신선설과 음양오행설에 입각하여 정원양식이 이루어졌으므로 낭만적이고 공상적이며 감상적 철학을 담고 있다. 아울러 사색을 하면서 즐길 수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中國式 庭園

거대한 면적을 가진 대륙국가인 중국은 정원이 웅장하고 거대한 폭을 지닌 양식으로 발달하였다. 사실주의를 기초로 신선설(神仙設)에 입각한 자연풍경 축경식 조경양식이다. 즉, 국내의 가장 아름답고 진귀한 유명산이나 호수, 계곡, 동굴, 폭포 등의 대풍경을 골라 축경식으로 만들고 여러 가지 진귀한 식물을 재배하거나 아름다운 야생조수(野生鳥獸)를 사육했다. 정원수는 매화 같은 화목류를 이용하였고, 남쪽지방인 경우 죽림이 많고 원로(苑路), 정자, 곡선형의 다리, 누각(樓閣), 조각물을 두었고, 출입구는 원형이나 장타원형, 반원형의 형태로 만들었다.


그림 1. 연못과 정자 그리고 난간 등을 축경식으로 표현한 중국식 정원

이와 같은 정원은 대자연의 아름다운 풍경을 배경을 도입하고 축경적이고 낭만적이며 공상적인 세계를 구상화한 정원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정자나 집의 처마가 공중에 날 듯이 위로 솟는 듯하게 만들어서 정원의 미관을 한층 더 아름답게 해 준다.


·日本式 庭園

작고 길다란 섬나라인 일본은 지리적인 기후와 풍토에 관한 영향, 좁은 국토, 지진 화산, 해풍이 도서적(島嶼的)인 국민성을 형성하였는데 신선사상에 입각한 불교의 영향을 받은 상징적이고도 섬세한 정원양식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역사적으로 볼 때 일본의 정원은 중국에서 한국을 거처 시작되었다. 임천중도식(林泉中島式), 고산수식(枯山水式), 다정(茶庭), 축경식(縮景式) 등이 모두 자연을 토대로 창안한 조경양식이었다. 그 규모는 중국과는 판이하게 아주 작게 표현되었고, 도서성(島嶼性)이 있는 특징적인 경관이었다.

임천중도식 정원은 불교의 영향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이 양식은 연못 가운데 신선이 산다는 봉래산을 만들었다. 섬안에는 축산(築山), 폭포, 흐르는 물 등을 만들고 다리를 놓은 것으로 중국풍의 양식인데 섬이 있는 바다의 풍경을 나타낸 것이다.

고산수식 정원은 물 대신 모래나 자갈을 사용하여 물을 표현하는 것으로 일본식 조경에서만 볼 수 있는 독특한 양식이다. 선종(禪宗)의 산수화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정원조성기법은 모래를 깔고 갈퀴로 물의 파문을 그려서 나타내기도 하고 폭포를 만들어 그 밑에 모래를 깔아서 물을 상징하기도 했다. 평면에 구상한 평정 고산수식 정원(평정 枯山水式 庭園)과 입체적으로 축산하여 만든 축산 고산수식 정원(築山 枯山水式 庭園)이 있다.



그림 2. 다색(茶色)의 모래와 물결무늬 - 고산수(枯山水) 정원



그림 3. 임천중도식(林泉中島式) 정원.


茶庭은 1450년경에 시작된 일본의 다도(茶道)가 1580년대로 접어들면서 다정(茶庭)이라는 독특한 양식의 창출을 가져왔다. 다정에는 좁은 장소로 문을 들어서면서 차를 마실 수 있는 다실(茶室)과 손을 씻을 수 있는 화분모양의 돌로 만든 세수대, 석등, 비석, 걸터앉을 수 있는 의자 등이 있다. 대부분 음지식물을 사용하였는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모모야마(桃山) 시대의 오모테센가(表千家)의 다정과, 교토의 우라센가(裏千家)의 곤니치암(今日庵)의 다정이 있다.

축경식 정원은 1600년대 후반에 나타난 조경양식으로 자연의 풍경을 그대로 축소시켜 묘사한 것이다. 기암절벽, 폭포, 산, 연못, 절, 탑, 다리 등을 한 눈에 감상할 수 있도록 만든 양식으로 규모는 대단히 작아서 좁은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정원양식이다.

그림 4. 돌 주위에 물결모양의 모래밭을 두어 바다와 섬을 표현한 고산수(枯山水) 정원



그림 5. 철발형(鐵鉢形)을 이용한 장식 준거.

·韓國式 庭園

우리나라는 대륙과 이어진 반도국으로 고대로부터 중국의 영향을 받아 신선설과 음양오행설을 바탕으로 불교와 유교 그리고 풍수지리설에 입각한 풍경식 정원이 발달하였다. 중국식과 일본식정원이 혼성되어 하나의 독특한 造園樣式을 갖게 되었다. 陰陽五行說에 입각한 風水說의 영향에 따라 陽氣 즉 宅地를 택하는 풍습이 성행했기 때문에 地形의 제약을 받아 후원(後苑) 뒤뜰에 힘을 기울이는 경향이 생겨났다. 계단식으로 된 후원을 화계(花階)라고 하는데 이점이 바로 한국에서만 볼 수 있는 특수한 구조의 정원이다. 후원형의 정원은 중국정원의 영향을 받아 풍수설에 의해 뒤쪽은 나무가 많은 산을 배경으로 집앞에는 내가 흐르고 있는 지형을 선택하였고 앞뜰보다는 뒤뜰을 넓게 하는 데 치중했다. 뒤뜰에는 자연풍경과 각 종 식물 기타 정원시설물을 설치하였다. 자연풍경 숲속에 누각을 세우고 연못과 정자, 사괴석으로 쌓아 올린 계단을 형성한 화단과 그 위에는 목단, 작약, 파초, 홍도, 백도 등의 여러 가지 화목을 심었는데 철쭉류와 단풍나무류는 봄과 가을을 장식해 주었다.


그림 7. 창덕궁 후원인 비원의 부용지와 주합루. 계단식 정원인 화계(花階)의 한 예

② 서양식정원(영국식, 이탈리아식, 프랑스식)

서양식 정원은 일반적으로 개방적이고 수치적이며 직선과 규칙적인 곡선, 원 또는 대칭이 되는 타원, 각(角) 등을 이용하여 기하학식 도안으로 설계되었고 조형적인 선과 구조물들이 많았다. 잔디와 자연스런 수목, 점경물, 분수, 일년초화 등을 주로 이용하였다. 색채미에 있어서는 강한 색채의 대비를 가진 즉흥적이고 직선적인 감상의 효과를 가진 표현방법을 이용하였다.

·英國式 정원(사실주의 風景式 정원, 牧歌的 자연풍경식)

해양성 기후로 습하고 안개가 많은 영국은 지형적으로는 국토의 대부분이 완만한 산야를 형성하고 있다. 18세기초부터 영국은 인위적인 형식주의에 대항하여 자연 그대로가 더 아름답다는 주장이 대두되어 정원에 절대적인 영향을 주었다. 영국은 목가적인 풍경을 발전시켜 영국의 풍경식 정원은 일명 자연풍경식 정원이라고도 한다. 중국식 정원을 연상케 하는 自然式 정원으로서 인위적인 처리 없이 자연에 있는 식물과 地形 및 景觀을 그대로 이용. 특히 丘陵的인 地形을 이용하여 잔디밭이 전개되어 있는 것이 중국식 정원에서는 보기 드문 것이다.


그림 8. 영국 Sussex의 Petworth House의 목가적 자연 풍경식 정원.
(정형식 정원을 자연식 정원으로 개조한) Brown의 작품이다.

·이탈리아식 정원(露壇建築式 庭園)

이탈리아는 지형이 우리나라와 같이 산악지로 경사가 심하고 3면이 바다로 둘러쌓인 반도국이다. 여름은 계곡과 평야지대는 매우 덥고 반대로 언덕은 시원하며 물 공급이 충분한 지형으로 되어 있어서 이들 나름대로 르네상스 이후 노단기하학식의 대규모적인 독특한 조경양식을 창안하였다. 르네상스시대에 완성했다고 하며 산의 傾斜에 건설되었기 때문에 테라스狀으로 만들어 진 平面에 못 또는 분수를 설치하며 여기에 階段을 조합시켰으며 풍부한 石材彫刻이 생 겨나게 되었다. 대표적인 예는 17세기 중엽에 만들어진 Isolla Bella로서 10개의 노단(露檀)이 있고, 대리석 난간으로 둘러싸인 노단(露檀)은 큰 꽃병과 조각물이 만발한 꽃밭 속에 어우러저 있다. 또한 이들의 축을 이용한 기하학적인 공법은 후에 프랑스의 평면기하학식 조경을 만드는데 전조가 되었다.





그림 9. 이탈리아 Viterbo근교의 Villa Lante(1573)에 정방형 테라스.
랑떼의 별장으로 산 중턱에 노단식(露檀式) 정원으로 조성하였다.

·프랑스식 정원

프랑스는 지형이 넓고 평탄하며, 구릉과 습지가 많고 남쪽은 만이 지중해에 접하고 있으며 국토의 대부분이 대서양 연안에 있으므로 서늘하고 습한 기후를 조성하고 있다. 반대로 동북쪽은 대륙과 접하여 대륙적인 기질을 내포하고 있기는 하지만 국민성은 전반적으로 신경질적으로 자기를 나타내려고 하는 면이 엿보인다. 기후, 지형, 정치 그리고 모든 입지조건들을 고려하여 풍토에 맞도록 수정한 조경양식을 조성하였다. 세계적인 조경가 르노트르(Le Notre)가 프랑스의 입지조건과 환경에 맞는 조경을 창안하였다. 대표적인 예는 보르비꽁트(Vaux Le Vicomte)와 베르사이유가 있다. 好事家 Louis 14世가 Le Notre라는 천재적 造園師를 시켜서 Versailles宮殿의 조원설계을 위촉하여 완성했다.

평면기하학식 정원의 원칙은 주위와 자연환경의 경관을 일반적인 특징으로부터 되도록 상이하게 대조적이고 이질적인 감이 나게 하고, 부분 상호간에는 강한 대조적인 표현으로 뚜렷이 다르게 나타나도록 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습지를 이용한 호수나 분수, 해자(垓字), 대운하, 침강원(sunken garden), 평면기하학식의 자수화단, 주축선(axis)을 이용한 교차점의 분수나 조각물의 배치, 대리석 조각물, 통경선(vista) 수법, 대병목

'친환경유기농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수 문제  (0) 2005.11.07
생활원예 - 배제대 민병훈  (0) 2005.11.07
양액재배  (0) 2005.11.07
가정채소  (0) 2005.11.07
가정과수  (0) 2005.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