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고 싶은 일 하다 보니 실력 쌓여”
대구·경북지부 상주시지회 <흥농상회> - 윤기호 회원
상주는 경상북도 서북부에 있는 시로 평야가 넓어 경지면적이 넓고 전체인구 11만 명의 절반에 가까운 수가 농업에 종사하는 전형적인 도농 복합도시이다. 예로부터 삼백(三白:쌀·누에고치·곶감)의 고장으로도 유명하며, 이 농산물은 전국적으로 이름난 특산품으로 특히 곶감은 전국 생산량의 60% 정도를 점유하는 대표적인 특산물이다.
지난 6월 18일 상주시 문화원에서 경상북도 상주의 특산물인 감의 재배방법에 대해 작물보호제판매협회의 회원인 흥농상회의 윤기호 회원이 강의를 한다는 소식이 들려와 윤기호 회원을 직접 만나 이야기를 들어 보았다.
항상 도전하는 삶
상주가 고향인 윤기호 회원은 농약판매업을 한 부모님의 영향으로 어깨너머로 농약에 관해 알게 되었지만 농약에 대해서는 단 1%의 관심도 없었다. 대학에서 원예를 전공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농약판매업을 한다는 생각은 하지 않았고 졸업 후 종묘 관련 회사에서 평범한 샐러리맨 생활을 시작했다. 회사 생활을 하던 중 자신의 위치를 되돌아보게 된 그는 객관적인 시각에서 중간도 미치지 못한다는 스스로의 결론을 내리고 다니던 회사를 과감하게 그만두고 인삼재배학과에 편입해 학업을 시작했다. 인삼재배학과 졸업 후 몇 번의 실패 끝에 건국대학교 대학원에 진학해 수도 육종 개발 연구소에서 일하며, 조교일도 하며 학업을 마쳤다.
그 후 농약판매업을 하시던 아버지가 작고하자 동생들은 아버지가 하시던 농약판매업을 이어서 했고 4남 1녀 중 장남인 자신이 동생들에게 본보기가 되어야 맞겠다는 생각이 들어 고향으로 내려와 동생들에게 4~5년 동안 농약에 대해 배웠다. 그 후 동생들은 다른 곳으로 독립을 하였고 그는 아버지의 농약사를 그대로 이어 어머니와 함께 하고 있다.
생물에 대한 관심이 유기농업으로 이어져
윤기호 회원은 2005년도 유기농업기사 자격시험에서 1회 합격생이다. 현재 한국유기농업기사협회 회장을 맡고 있을 정도로 유기농업에 대해서는 해박한 지식을 자랑하고 있다. 어렸을 적부터 생물을 좋아한 그가 생물에 관련된 자료를 찾다가 우연히 관심을 가지게 된 유기농업은 그에게 또 다른 삶을 가져왔다.
유기농업이 아직은 대중화 되지 않은 시절, 유기농업기사 자격시험이 있기 전부터 그는 유기농업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자료를 모으기 시작했고 시험 직후에는 인터넷 카페까지 개설했다. 제 1회 시험을 치룰 당시 전문적인 서적이나 자료가 없어 애를 먹었던 기억에서였다. 카페를 개설해 후배들은 좀 더 체계적인 공부를 하고, 지식을 얻어가기를 바라는 마음에서였다. 그렇게 시작한 카페가 현재 유기농업관련 커뮤니티에서는 회원수를 가장 많이 보유한 카페로 성장하였다. 이렇게 유기농업에 대해 해박한 지식을 자랑하기 때문에 상주의 특산물인 감의 유기농업 재배에 관한 강의를 하게 된 것이다.
유기농업, 농약판매업이 흡수해 함께 가야
농약판매업을 하면서 친환경 유기농법에 대한 관심을 갖는 것은 어쩌면 무언가 모순이라는 생각이 들 수도 있지만, 그는 농약판매업이 이제는 친환경 농업을 흡수하여 함께 가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회원들이 친환경농자재라든지 비료 등에 대한 지식을 갖추고 우리의 것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생각에서였다. 특히 회원의 자격과 관련해서는 자격 기준을 엄격하게 두어 실력 위주로 평가를 해 외부에서 인정을 해야 한다고 생각 했다. 가만히 있으면 뒤처진다는 생각으로 농약판매업을 하는 회원도 현장에서 변화의 흐름에 맞게 준비를 해야 한다는 것을 특히 강조하였다.
협회는 회원이 서로 단결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고 회원의 권익신장 및 협회 자체에서 교육이나 세미나를 열어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해 주기를 바랐는데 이번 농약안전사용교육의 첫 시도는 아주 좋았다고 말했다.
“꿈을 잃지 말고 전력투구 하면 못 이룰 것이 없다”는 생각으로 지금까지 살아온 그는 앞으로도 자신의 도움이 필요한 일에는 적극 나설 계획이다. 하고 싶은 일을 하다보니 자연스레 실력이 쌓이고 돈까지 따라 온다는 그의 말에서 앞으로 얼마나 더 많이 발전한 모습을 보일지 기대가 되었다.
<황선애 기자>
'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년 5월 12일 오후 05:31 (0) | 2016.05.12 |
---|---|
2016년 5월 12일 오전 08:41 (0) | 2016.05.12 |
2016년 5월 10일 오전 11:35 (0) | 2016.05.10 |
2016년 5월 10일 오전 08:45 (0) | 2016.05.10 |
2016년 5월 9일 오후 02:59 (0) | 2016.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