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난감 하나로 10분도 집중하지 못하는 5살 조카,
그런데 스마트폰에서 나오는 영상에는 30분 집중도 거뜬합니다.
아이‧어른 할 것 없이 항상 ‘스마트폰 없이는 못살아!’를 외치는 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것 같아요.
특히 요즘 아이들은 어릴 때부터 스마트폰을 접하는 만큼 스마트폰 중독 증세가 심각하다고 하는데요.
최근 여성가족부와 교육부가 전국 1만1327개 초중고교의 156만 명을 대상으로 ‘2014년 인터넷, 스마트폰 이용습관 진단조사’를 실시했는데요. 초‧중‧고등학생 중 18만 명이 스마트폰에, 10만 명이 인터넷에 중독 증상을 보여 일상생활에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어요.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인터넷 중독 위험군은 10만5057명인데요.
이 중 고위험군은 9451명, 잠재적 위험군은 9만5516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스마트폰 중독은 연령이 낮을수록 심각했는데요. 중독 위험군 18만6599명 중 고위험군은 2만6296명, 잠재적 위험군은 16만303명으로 조사됐어요. 특히 초등학교 4학년은 작년과 비교했을 때 위험군 숫자가 20% 이상 증가했다고 합니다.
▶ 고위험군 인터넷, 스마트폰으로 인해 일상생활에서 심각한 장애를 겪고, 금단 현상을 보이는 수준
▶ 잠재적 위험군 사용기간이 점점 늘어나며, 일상생활에서 경미한 장애를 겪는 정도 |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도 높은 편인데요. 한국정보화진흥원이 조사한 스마트폰 중독 실태에 따르면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위험군이 성인보다 약 2.9배 높다고 해요.
스마트폰에 중독된 청소년들은 스마트폰의 지나친 사용으로 ▲학교성적이 떨어지거나 ▲계획한 일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장시간 사용으로 가족이나 친구들로부터 불평을 들은 적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가상세계’를 지향하는 모습도 보였는데요. 가족이나 친구들과 함께 있는 것보다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것이 더 즐겁고,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못하면 온 세상을 잃은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고 해요. 그러다보니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못하면 공황상태에 빠지거나 초조함을 느끼는 것입니다.
<스마트폰 · 인터넷 중독진단 해보기>
인터넷, 스마트폰 이용습관 진단조사를 해보고 싶은 분은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운영하는 '인터넷중독대응센터' 홈페이지에 들어가 보세요. 간단한 클릭으로 중독진단을 해보고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청소년은 물론 성인도 검사해볼 수 있어요.^^ ▶ 인터넷중독 자가진단 (www.iapc.or.kr/dia/survey/addDiaSurveyNew.do)
|
♣ 강렬한 자극에만 반응하는 '팝콘 브레인' 주의!
스마트폰 사용자가 많아지면서 카카오톡, 라인, 트위터, 페이스북 같은 SNS 이용도 급격하게 증가했죠. 그러다보니 일대일로 직접 만나서 관계를 이어나가는 것보다, SNS 상에서 대화하는 시간이 많아졌어요. 심지어 같은 공간에 있으면서도 카톡으로 대화할 때도 있잖아요.
이런 습관은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느끼게 하고, 현실적 관계 속에서의 소통에 있어 어려움을 호소할 가능성이 큽니다. 스마트폰 중독 부작용의 예는 주변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어요.
거리에서 스마트폰 영상을 보느라 신호등도 살피지 않고 길을 건너거나, 운전 중 스마트폰을 하다 사고가 나기도 합니다. 유치원생부터 고등학생까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게임에 빠지거나, SNS을 하느라 수업 시간에 집중하지 못하는 학생들도 많구요.
특히 모바일 메신저 연동 게임이 문제가 되고 있는데요.
2013년 미국 월스트리트 저널에서는 “애니팡이라는 게임이 한국인을 사로잡는다(Anipang grabs time, heart of South Koreans)”라고 소개하면서 모바일 메신저 연동 게임이 국내에서 널리 확산되고 있는 현상에 대해 보도한 바 있습니다.
▲ 2013년 당시 보도된 월스트리트 저널 기사 인터넷 화면 갈무리
이렇듯 스마트폰, 인터넷에 심각하게 빠지면 '팝콘브레인(Popcorn Brain)'이 될 수도 있어요.
팝콘브레인이란 스마트폰에 중독된 뇌가 팝콘이 터지듯 크고 강렬한 자극에만 반응하는 현상을 말하는데요. 한 마디로 뇌가 점점 무감각해져서 더 큰 자극에만 반응하는 일종의 '중독 현상'입니다. 뇌 발달이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아이들이 스마트폰, 인터넷에 중독되면 뇌 구조가 변화될 가능성이 크대요.
여성가족부에서는 인터넷·스마트폰을 과다하게 사용하는 청소년들에게 치유서비스를 제공하는데요.
다양한 프로그램 중에서 '인터넷 치유학교'를 소개해 드릴게요~
♣ 인터넷치유학교
인터넷치유학교는 인터넷과 단절된 청소년 수련시설에서 11박 12일간 기숙형태로 운영하는치료 프로그램이에요. 인터넷중독 전문가에게 개인상담과 집단상담을 받기도 하고요. 수련활동 전문가에게 대인활동을 지원받을 수 있는 전문치료 프로그램입니다.
인터넷치유학교는 국내에서 이루어지는 인터넷중독 치료프로그램 중 가장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 평가받고 있어요. 올해에도 전국적으로 총 17회에 걸쳐 운영할 예정이니 운영일정과 기관을 보시고, 각 기관에 신청하시면 돼요.
- 2014 인터넷치유학교 운영 일정 (11박 12일) -
권역 |
운영기관 |
운영일자 |
캠프장소 |
대상 |
연락처 |
서울 |
서울특별시립 청소년미디어센터 |
7/30~8/10 |
남양주종합촬영소 |
남자 중학생 |
02-793-2000 |
부산 |
부산광역시 청소년종합지원센터 |
8/2~8/13 |
함지골 청소년수련원 |
남자 중학생 |
051-303-9675 |
대구 |
대구광역시 청소년상담복지센터 |
8/11~8/22 |
대구청소년수련원 |
남자 중학생 |
053-659-6240 |
인천 |
인천광역시 청소년상담복지센터 |
8/11~8/22 |
여주중앙 청소년수련원 |
남자 중학생 |
032-721-2308~9 |
광주 |
광주광역시 청소년상담복지센터 |
7/21~8/1 |
강진다산수련원 |
남자 중학생 |
062-1388 062-226-8181 |
대전 |
대전광역시 청소년상담복지센터 |
8/18~8/29 |
대전 학생해양수련원 |
남자 중학생 |
042-257-2000 |
울산 |
울산광역시 청소년상담복지센터 |
8/11~8/22 |
경주국민 청소년수련원 |
남자 중학생 |
052-227-2000 |
세종 |
세종특별자치시 청소년상담복지센터 |
7/21~8/1 |
상상마당 논산 |
남자 중학생 |
044-867-2000 |
경기 |
경기도 청소년상담복지센터 |
7/21~8/1 |
국립중앙청소년수련원 |
남자 중학생 |
031-248-1318 |
강원 |
강원도 청소년상담복지센터 |
8/6~8/17 |
치악산 황둔수련원 |
남자 중학생 |
033-256-2000 |
충북 |
충청북도 청소년종합지원센터 |
8/11~8/22 |
음성군 청소년수련원 |
남자 중학생 |
043-257-4834 |
충남 |
충청남도 청소년진흥원 |
7/21~8/1 |
국립중앙 청소년수련원 |
남자 중학생 |
041-554-2130 |
전북 |
전라북도 청소년상담복지센터 |
8/2~8/13 |
부안군청림 청소년수련시설 |
남자 중학생 |
063-274-1388 |
전남 |
전라남도 청소년미래재단 |
7/22~8/2 |
해남 우수영유스호스텔 |
남자 중학생 |
061-280-9025 |
경북 |
경상북도 청소년진흥원 |
8/4~8/15 |
구미시해평 청소년수련원 |
남자 중학생 |
054-850-1031 |
경남 |
경상남도 청소년종합지원본부 |
8/6~8/17 |
통영시 청소년수련관 |
남자 중학생 |
055-711-1320 |
제주 |
제주특별자치도 청소년상담복지센터 |
7/22~8/2 |
제주시 청소년수련원 |
남자 중학생 |
064-1388 |
[참고자료: 여성가족부, 국가건강정보포털, 한국정보화진흥원 ‘2013 인터넷중독 실태조사’, 인터넷중독대응센터]
'생활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본인부담금상한액 넘는 의료비 되돌려드립니다! (0) | 2014.08.01 |
---|---|
[스크랩] 여름휴가지, ‘네티즌 선정 베스트 그곳’ 어떠세요? (0) | 2014.08.01 |
[스크랩] 위식도 역류질환으로 고생하고 있나요? (0) | 2014.08.01 |
[스크랩] 독버섯과 식용버섯 구분법 (0) | 2014.08.01 |
[스크랩] "우리 양파 많이~ 드세요!" - 양파로 만든 별미 요리법 (0) | 2014.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