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 미국 농무성법과 국제토양학회법에서 규정하는 점토의 입경구분은? ① 2 ㎜ 이상 ② 0.2 ㎜ 이하 ③ 0.02 ㎜ 이하 ④ 0.002 ㎜ 이하
문제36. 정답④ [해설] 점토의 입경구분 : 0.002㎜이하 미사의 입경구분 : 0.02~0.002㎜ 세사의 입경구분 : 0.2~0.02㎜
37. 토양의 완충작용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① 산이나 알칼리를 가하여도 산도가 잘 변하지 않는 성질을 완충작용이라 함 ② 토양의 완충능력은 양이온치환용량이 클수록 크다. ③ 토양의 완충능력은 점토함량이 많을수록 크다. ④ 토양의 완충능력이 큰 토양은 토양개량시에 석회의 필요량이 적게 필요하다.
문제37. 정답④ [해설] 토양의 완충작용이란? 외부에서 토양에 산 또는 염기성물질을 가할 때 pH의 변화를 억제하는 작용으로 양이온교환용량이 클수록 크다. 토양의 완충능력이 큰 토양은 토양개량시에 석회의 필요량이 크다.
38. 토양의 양이온치환용량(CEC)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① 비옥하고 수확량이 높은 토양일수록 CEC가 크다. ② pH가 증가함에 따라 CEC가 낮아진다. ③ 몽모리오나이트(montmorillonite)의 CEC는 카올리나 (kaolinite)의 CEC보다 높다. ④ CEC가 같은 토양이라도 염기포화도는 다를 수 있다.
문제38. 정답② [해설] 토양의 양이온치환용량(CEC)이란? 토양이 양이온을 흡착할 수 있는 능력을 양이온교환용량이라 한다. 1) 양이온친환용량이 클수록 비옥하다. 2) 몽모릴로나이트는 카올리나이트보다 크다. 3) CEC가 같은 토양이라도 염기포화도는 다를 수 있다.
39. 토양에서 용탈이 쉽고 지하수를 오염시키기 쉬운 질소의 형태는? ① 암모니아태질소 ② 유기태질소 ③ 질산태질소 ④ 요소태질소
문제39. 정답③ [해설] 질소의 형태 1) 암모늄태질소 : 수용성이며 작물에 잘 흡수된다. 토양입자에 잘 흡착되므로 물에 씻겨갈 염려가 적다. 2) 질산태질소 : 수용성이며 속효성이나 토양입자에 잘 흡착되지 않아 물에 씻겨내려가기 쉽다. 40. 알칼리성 토양에서 유효도가 증가하는 무기성분은? ① 망간(Mn) ② 철(Fe) ③ 몰리브덴(Mo) ④ 아연(Zn)
문제40. 정답③ [해설] 토양 pH와 양분의 유효도 1) 산성에 유효도 증가 : Fe, Mn, Zn 2) 알칼리에서 유효도 증가 : Mo
41. Carson 여사가 쓴 ‘침묵의 봄(silent spring)’에서 제기하고 있는 지구상의 문제는 무엇인가? ① 인구문제 ② 기상문제 ③ 환경문제 ④ 식량문제
문제41. 정답③ [해설] Carson의 "침묵의 봄"은 환경문제를 예견한 유명한 책이다.
42. 친환경 농업과 관련된 용어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① BOD ―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 ② COD ― 화학적 산소 요구량 ③ DO ― 용존산소량 ④ SS ― 환원물질량
문제42. 정답④ [해설] SS(Suspended Solid) : 부유물질 물속에 부유하는 물질의 량
43. 환경친화형 농업의 형태가 아닌 것은? ① 보전형 농업 ② 저투입 농업 ③ 집약농업 ④ 지속농업
문제43. 정답③ [해설] 집약농업 : 고투입 고수량을 목적으로 재배하는 농업형태를 뜻함
44. 대기 온난화 효과가 가장 큰 물질은? ① CO2 ② N2O ③ CH4 ④ NH3
문제44. 정답② [해설] 대기온난화 효과 석유 및 석탄 등의 화석연료 사용량 증가와 산림훼손으로 인하여 지구표면의 온도가 점점 상승하는 것을 말한다. CO2에 비하여 CH4는 21배, N2O는 270배의 효과가 있음
45. 시설재배지 토양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① 수질오염 ② 염류집적 ③ 대기오염 ④ 농약잔류
문제45. 정답② [해설] 시설재배지 토양 : 염류집적이 가장 큰 문제가 되고 있음
46. 작부체계상 전후작(前後作)배열에 가장 유리한 일반적인 품종개발의 목표는? ① 다수성 품종 ② 단기성 품종 ③ 저온 저항성 품종 ④ 병충해 저항성 품종
문제46. 정답② [해설] 단기성 품종이란? 조기재배에서 만식재배까지 어느 시기에 재배하여도 일반재배의 수량성을 유지하면서 생육일수가 짧은 단기생육성 조숙성의 특성을 가진 품종을 말함. 47. 우리나라 작부체계의 발전방향으로 볼 때 합리적인 방법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① 광에너지 이용효율을 극대화하는 작부체계 ② 사료작물을 조합하는 작부체계 ③ 식량작물을 조합하는 작부체계 ④ 원예작물을 조합하는 작부체계
문제47. 정답④ [해설] 작부체계의 발전방향 1) 경지이용율의 증대 - 식량작물, 사료작물을 포함 2) 광에너지 이용효율 증대 3) 지력의 유지 및 증진 4) 농업경영의 안정성과 농업소득의 증대 5) 기지현상의 예방
48. 병충해 방제의 실시에 있어서 피해예상액과 방제비를 고려한 경제적 피해 허용 수준을 의미하는 것은? ① CT ② EIL ③ IPM ④ INM
문제48. 정답② [해설] 병충해의 경제적 피해 허용기준(EIL) : 피해예상액과 방제비를 고려한 경제적 피해 허용수준
49. 논토양에서 용탈손실을 가장 적게 하는 시비방법은? ① 측조시비 ② 표층시비 ③ 심층시비 ④ 전량시비
문제49. 정답① [해설] 논토양에서 질소시비방법 1) 표층시비 : 손실이 심함 (유출, 휘산, 탈질, 용탈) 2) 심층시비 : 손실이 적다.
50. 친환경농업기술로서 IPM과 LISA의 차이점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① IPM은 토양보전적 차원에 중점을 두었으나, LISA는 병충해 관리의 시기 적절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 ② IPM은 생산자를 중심으로 LISA는 소비자를 중심으로 수직적으로 통합되어 있다. ③ IPM은 날씨, 병충해 등에 따라 적절한 대처를 필요로 하나, LISA는 토양, 기후 등의 정적, 역사적 조건에 근거하므로 반응을 하지 않는다. ④ IPM은 연례적으로 농장에서 토양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진 반면에, LISA는 거의 매주 농장에서 평가가 이루어진다.
문제50. 정답③ [해설] IPM과 LISA의 차이점 1) IPM : 이 프로그램은 병충해 관리의 시기 적절성에 중점을 두고 있음. 전문인이 매주 농장을 방문하여 평가한다. 날씨, 작물, 병충해 밀도 등에 따라 시기적절한 동적인 대처를 필요로 한다. 2) LISA : 토양보전적 차원에 중점을 둠 연례적인 농장평가, 토양․기후․입지 등의 정적, 역사적 조건에 근거하므로 시기적절한 반응을 필수로 하지 않는다.
51. 병충해의 전멸을 목표로 하기보다는 일정수준의 병충해 존재와 병충해의 피해하에서도 수익성이 있고 질 좋은 상품의 생산이 가능하도록 돕는데 목표가 있는 친환경 농업기술은 무엇인가? ① IPM ② INM ③ CT ④ LISA
문제51. 정답① [해설] IPM은 병충해의 전멸을 목표로 하기보다는 일정수준의 병충해의 존재와 병충해의 피해 하에서도 수익성 있고 질 좋은 상품의 생산이 가능하도록 돕는데 있다.
52. 정밀농업에 대한 용어설명이 잘못된 것은? ① GIS ― 지리정보시스템 ② GPS ― 지구위치측정시스템 ③ RS ― 원격탐사기술 ④ VRA ― 포장정보센싱기술
문제52. 정답④ [해설] GIS : 지리정보체계, GPS : 지구위치 확정시스템 RS : 원격탐사, VRA : 변량적용기술
53. 다음 중에서 가장 수준높은 환경친화적인 농업기술은? ① 정밀농업 ② INM ③ IPM ④ LISA
문제53. 정답① [해설] 정밀농업은 한 필지 농경지 내에서 소구역 단위별 토양과 작물의 변이성에 맞추어 투입농자재의 종류와 양을 가변적으로 투입하여 작물을 최적상태로 관리함으로써 환경편익과 경제적 이익을 최적화하려는 종합작물관리체계라고 정의된다.
54. 질소의 형태 중 암모늄태질소가 들어있는 비료를 알칼리성 비료와 혼합하면 어떻게 되는가? ① 암모니아가 휘산되어 불리하다. ② 토양반응의 교정효과가 있다. ③ 불용성 질소가 가용성으로 되어 유리하다. ④ 질소가 불용성으로 변해서 불리하다.
문제54. 정답① [해설] 암모늄태질소가 포함된 질소비료를 알칼리성비료나 토양에 혼합하면 암모니아가 휘산되어 불리하다.
55. 사람이 일생을 통하여 매일 섭취하여도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 약량을 나타내는 농약의 평가용어는? ① MRL ② ADI ③ LD50 ④ TLm
문제55. 정답② [해설] ADI : 사람이 일생을 통하여 매일 섭취하여도 아무런 형향을 주지 않는 약량
56. 미나마타(minamata)병의 원인물질로 알려진 오염물질은? ① As ② Cd ③ Hg ④ Pb 문제56. 정답③ [해설] 미나마다병의 원인물질 : 수은(Hg)
57. 토양의 반응(pH)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① 토성 ② 염기포화도 ③ 토양수분 ④ 토양의 구조
문제57. 정답② [해설] 토양의 반응과 밀접요인 : 염기포화도
58. 농약의 독성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① 우리 나라 유통 농약 중에는 맹독성은 없다. ② 우리 나라 유통 농약 중에는 저독성 농약이 가장 많다. ③ 모든 농약은 아스피린 보다 독성이 약하다. ④ 술의 원료인 주정보다도 독성이 낮은 농약도 있다.
문제58. 정답③ [해설] 농약의 독성 1) 우리 나라에서 사용 중인 농약은 대부분 저독성 농약 2) 고독성 농약은 20품목 3) 농약의 64%가 해열제인 아스피린보다 독성이 낮다. 4) 농약의 26%가 술의 원료인 주정보다 독성이 낮다.
59. 오존층 파괴의 주범은? ① CFC ② CO2 ③ NH3 ④ N2O
문제59. 정답① [해설] 오존층의 파괴 주범 : CFC(염화불화탄소)
60. 1970년대와 비교할 때 1980년대 이후 급격히 재배면적이 감소한 작물의 작부체계 유형은? ① 벼 ― 두류 ② 벼 ― 유채 ③ 벼 ― 서류 ④ 벼 ― 맥류
문제60. 정답④ [해설] 벼 + 맥류 작부체계 1945 ~ 1960년 → 80% 1970년대 → 83.7% 1980년대 → 4%
61. 고온의 여름철에 대기냉각효과가 가장 큰 밭작물은? ① 초지 ② 옥수수 ③ 육도 ④ 참깨
문제61. 정답② [해설] 작물별 고온여름철 평균 최대 증발산량 1) 초 지 : 3.19㎜/day 2) 육 도 : 3.12㎜/day 3) 옥수수 : 4.46㎜/day 4) 고 추 : 2.58㎜/day 5) 참 깨 : 2.15㎜/day
62. 저위생산답 중에서 사질답의 개량방법으로 적절치 못한 것은? ① 퇴비시용 ② 심경 ③ 토양의 입단화 ④ 객토
문제62. 정답② [해설] 사질답의 개량 : 퇴비, 입단화, 객토 63. 최적시비를 위한 적정질소 시비방법이 아닌 것은? ① SPAT ② PPNT ③ PSNT ④ Nmin method
문제63. 정답① [해설] 최초의 적정 질소시비 방법 Nmin method(독일) 미국 - PSNT, PPNT (토양진단 최적시비법)
64. 식물체 안에서 이동이 잘 되지 않는 무기성분은? ① S ② Mg ③ K ④ Ca
문제64. 정답④ [해설] 이동이 잘 되지 않는 무기성분 : Ca
65. 농약의 어류 독성을 표시하는 것은? ① LC50 ② LD50 ③ LF50 ④ LA50
문제65. 정답① [해설] 농약 독성 표시법 1) LD50 : 5㎝ 자란 잉어를 사용하여 48시간후의 반수치사농도 2) TLm : 일정한 농도의 약제농약 중에서 48시간 후에 어류가 치사하는데 필요한 농도를 ppm으로 나타낸 것.
66. 농약으로서의 구비조건이 옳지 않는 것은? ① 대량으로 약효가 확실해야 한다. ② 인축 및 생태계에 안전해야 한다. ③ 농약이 쉽게 변질되어 약효저하나 약해발생의 원인이 되지 않도록 안전한 물질이어야 한다. ④ 농약은 사용에 편리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할 때 더욱 효과적이다.
문제66. 정답① [해설] 농약으로서의 구비조건 1) 소량으로 약효가 확실할 것 2) 인축 및 생태계에 안전할 것 3) 농작물에 약해를 유발하지 않도록 안전할 것 4) 가격이 저렴할 것 5) 농약이 쉽게 변질되어 약효저하나 약해발생의 원인이 되지 않도록 안전한 물질이어야 함.
67. 대기오염 물질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다양하다. 그 중에서 배출원이 많아 대기오염에 의한 식물피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유해가스는? ① HF ② H2S ③ SO2 ④ Cl2
문제67. 정답③ [해설] SO2(아황산가스)는 배출원이 많아 대기오염에 의한 식물피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68. 식물체의 성장에 필수원소는 아니지만 사용시 효과가 기대되는 유용원소는? ① Mn ② Cu ③ Mo ④ Si
문제68. 정답④ [해설] 유용원소 : 필수원소는 아니나 사용시 효과가 기대되는 성분으로 Si, Na, Co, Se가 있다.
69. 비료의 3요소 중 2성분 이상의 합계량이 10%이상이고, 미량성분 2종 이상을 수용성으로 함유한 복합비료는? ① 제1종 복합비료 ② 제2종 복합비료 ③ 제3종 복합비료 ④ 제4종 복합비료
문제69. 정답④ [해설] 복합비료 제1종 비료 - 무기질 3요소 중 2가지 이상을 함유한 것으로 성분의 합계가 20% 이상인 복합비료 제4종 비료 - 비료 3요소 중 2성분 이상의 합계량이 10% 이상이고 미량성분 2종 이상을 수용성으로 함유한 것
70. ‘오존층구멍’이란 오존층의 정상적인 농도를 기준으로 해서 어느 정도 파괴된 것을 의미하는가? ① 10% 이상 ② 30% 이상 ③ 50% 이상 ④ 70% 이상
문제70. 정답③ [해설] 오존층구멍이란 오존층이 50% 이상 감소 또는 파괴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