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국제유기식품 관련규정]유기식품의 생산․가공․표시․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

날마다좋은날 2005. 11. 17. 16:05
File #1  
   CODEX가이드라인(2004년_개정판).hwp (152.0 KB)   Download : 58
File #2  
   Codex_유기식품지침.ppt (916.0 KB)   Download : 41
Subject  
   5. [국제유기식품 관련규정]유기식품의 생산․가공․표시․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2004. 12.

유기식품의 생산·가공·표시·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

(GUIDELINES FOR THE PRODUCTION, PROCESSING, LABELLING
AND MARKETING OF ORGANICALLY PRODUCED FOODS)

(GL 32-1999, Rev. 1-2001)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발간사

일반적으로 코덱스(Codex) 또는 CAC(Codex Alimentarius Commission)로 불리는 국제식품규격위원회는 1962년에 FAO 및 WHO가 합동으로 설립한  식품규격프로그램(Joint/FAO/WHO Standards Programme)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Codex는 라틴어로 법령(code), Alimentarius는 식품(food)을 의미하는 데 Codex Alimentarius는 식품법(food code)을 말하는 것입니다. 즉,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식품규격기준을 포함하는 식품법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Codex는 1990년부터 『유기식품의 생산‧가공‧표시‧유통에 관한 가이드라인』에 대하여 논의하여 왔으며, 이를 1999년의 제23차 총회에서는 식물분야에 2001년의 제24차 총회에서는 축산분야에 대하여 유기식품 가이드라인을 확정하였습니다. Codex가이드라인은 세계무역기구(WTO)가 출범 되기 전에는 회원국에서 식품관리의 권고기준으로 사용해왔으나,  SPS협정(위생 식물검역 조치의 적용에 관한 협정)과 TBT협정(무역의 기술적 장해에 관한 협정)을 통해서 식품관리기준을 국가간에 조화시키도록 규정하고 있으므로 유기식품의 무역 또는 통상에서 국제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그 동안 유기식품에 관심을 가지고 Codex 가이드라인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하여 우리말로 된 자료를 구하고자 하여도 찾을 수 없었습니다. 이에 농업인은 물론 관련산업에 관심이 있는 모든 분들이 Codex 가이드라인을 쉽게 이해하고, 산업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우리말로 번역하여 책자로 발간하였습니다. 아무쪼록 널리 활용되어 우리나라의 유기농업 발전에 보탬이 되었으면 합니다.

[차례]

서문        

제1장  적용 범위        

제2장  용어의 설명 및 정의        

제3장  표시        

제4장  생산 규칙        

제5장  부속서 2의 허용물질 포함요건 및 국별 물질목록 작성기준        

제6장  검사 및 인증제도        

제7장  수입        

제8장  가이드라인의 재검토        

부속서1  유기생산의 원칙
부속서2  유기식품 생산에 허용되는 물질        
부속서3  최소 검사요건 및 문제 예방 조치        
[참고] Codex Guideline(Engli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