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신문을 보다가 의미 있는 글귀를 만나면
수첩에 곧잘 메모를 하는 습성이 있다. 그렇게 쓴
수첩만 하더라도 약 100여 권 된다. 지금은 그런
내용을 바탕으로 블로그에 자주 글을 올리기도
한다. 블로그에 글을 올리는 과정에서 더욱 개념이
명확해지고 나의 것으로 체화된다는 느낌을 가져
본다.
처칠도 책, 신문에서 좋은 표현을 엄선해 두었다가
상황에 맞게 윤색하고 그를 기반으로 연설을 하고
책을 쓰기도 했다고 한다. 힐러리도 늘 수첩을
가지고 다니면서 글쓰기 자료를 수집하였다고 한다.
일상의 삶에서 글쓰기 자료에 관심을 갖다보면
항상 신문, 잡지, 책 등을 보게 된다.
인터넷의 웹을 기반으로 하는 창의경제시대에
있어서 글은 더더욱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글은
순식간에 확산되는 가치를 지니고 있다. 리더가
되려면 글부터 쓰기 시작해야 된다는 말이 있다.
리더는 글로 말해야 한다는 것이다.
송숙희의 『워딩파워』에 리더의 글쓰기 중요성에
대해 이런 얘기가 니온다.
- 글은 말에 비해 월등안 권위를 가진다. 글쓰는 이
작가(auther)는 문자 그대로 권위(authority) 있는
사람이다. 리더는 보이지 않는 절대적인 힘,
권위를 확보하기 위해 글을 써야 한다.- (p220)
사실 글쓰기는 쉽자 않다. 무척이나 괴롭고
성가신 작업이기도 하다. 나는 칼럼을 부탁 받았을
경우에도 생각이 잘 나지 않아 시간에 쫓겨 막다른
골목에 몰려서야 겨우 쓰는 경우가 자주 있다.
하지만 글은 무조건 써야 된다고 생각한다. 쓰다
보면 새로운 생각이 난다. 마치 내면에 숨어 있는
보물을 끄집어내어 확인하는 것처럼 느껴진다.
그래서 막 써 내려가기도 한다. 그러 다음 읽다보면
자연적 정리가 된다. 그렇게 해서 글쓰기가 이루어
지는 것 같다.
글을 쓰는 것은 정신세계를 조직화하고 체계화
하는 작업이다. 자신이 이루고자 하는 것도
반복적으로 쓰면서 생각을 정리하면, 꿈과 생각이
더욱 명확해져 자기 안에 깊이 뿌리내리게 될
것이다.
그기고 글을 잘 쓰려면 많이 읽어야 한다. 그래서
글을 잘 쓰는 사람은 글을 많이 읽는 사람이라고
말한다. 많이 읽지 않으면서 잘 쓴다고는 볼 수
없을 것이다. 책이든 신문이든 잡지든 좌우간
많이 읽도록 해야 한다. 그런 다음 리뷰를 쓰면
더욱 좋을 것이다. 제대로 글을 쓰려면 확실히
책을 읽도록 해야 한다.
작가 송숙희는 책은 사서 읽는게 좋다고 그의
저서 『워딩파워』에서 이렇게 말하고 있다.
-책을 읽으려면, 책을 사서 읽어야 한다. 책
읽기에 관해 내가 양보할 수 없는 첫쨰 조건이다.
내 경험으로볼 때 책을 사지 않으면서 책을 많이
읽는다는 사람은 거짓말쟁이다. 읽고 싶은 책이면
사서 내 책으로 만들어 밑줄 치고 페이지 접어가며
메모도 하면서 그 안에 든 지식을 내 것으로
만들어야 한다. 책값이 비싸졌다고 하지만 세상에
책값만큼 싼 것도 없다. 책이라는 상품만큼 투자
대비 고효율 고수익상품이 없다. -(p211)
좌우간 좋은 글을 쓰기 위해서는 많이 읽어야
된다는 것이 대명제라고 볼 수 있다. 사실 독서
만큼 가치 있는 것이 없을 것이다. 책을 통해
시대를 초월하여 언제든 이미 세상을 떠난 사람과
대화할 수 있고 메시지를 들을 수가 있다. 과거
위대한 선인들의 혼과도 우리는 책을 통해 만날 수
있다. 정말 책은 신기한 물건이고 기적 같은
일이라고 여기지 않을 수가 없을 것이다.
그래 많이 읽고 많이 쓰자. 우리의 삶에서 진정한
부자가 되려면 직접 책을 써야 한다고 말한다.
자기가 쓴 책은 어떤 경우에도 훼손되지 않는
자신의 상징적 자본으로 평가된다는 것을 기억해
두자.
[출처] 많이 읽고 그리고 쓰자. |작성자 박영일
'자유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깨달음은 실천 깨달음은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실천하는 것입니다. (0) | 2015.10.23 |
---|---|
□ 농식품분야 벤처 창업지원, 농업의 6차산업화 등을 통한 농식품산업의 경쟁력 강화 (0) | 2015.10.22 |
정보를 지배하는 힘, 심력 * 매주 목요일은 부모님, 선생님을 위해 희망을 발송합니다. (0) | 2015.10.22 |
지구의 희망은 우리 뇌에 있다 지구에서 살아가는 모든 인류가 갖고 있는 것, (0) | 2015.10.21 |
유기농업기사 시행처 과목 등 (0) | 2015.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