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토양검정

날마다좋은날 2015. 7. 7. 07:56

목적

첨단 과학장비를 활용하여 토양, 식물체, 퇴비?액비 등을 정밀 분석하여 생산자와 소비자 욕구에 부응한 전문기술 서비스 강화하고 과학영농을 실천하여, 환경과 조화되는 안전농산물 생산

분석항목

토양정밀검정
  • 산도(pH), 염농도(EC), 유기물, 질소, 인산, 칼리, 칼슘, 마그네슘,
    양분보존능력, 석회요구량, 유효규산함량, 점토함량 등
토양오염성분분석
  • 수은, 비소, 카드뮴, 구리, 아연, 니켈, 6가크롬, 납 등
식물체분석
  • 질소, 유기물, 인산, 칼리, 칼슘, 마그네슘, 크롬, 납, 카드뮴, 구리 등

토양시료채취방법

  • 토양분석횟수 : 작물재배전(비료살포전), 재배후(수확후)
  • 한포장에서 5-10개 지점이상 일정한 간격으로 채취
  • 겉흙의 잡초, 자갈, 퇴비를 걷어내고, 논, 밭 10-15cm(과수원은 20cm) 깊이의 흙을 채취

토양검정의뢰방법

  • 채취한 흙을 골고루 섞어 비닐봉투(지퍼백)에 500g정도 담아 가까운 농민상담소나 농업기술센터 종합분석실에 의뢰
  • 정보기입항목 : 성명, 경작지 지번, 지적, 전화번호, 재배작물(과수는 몇 년생 등)

식물체 및 퇴ㆍ액비 분석 의뢰방법

  • 식물체 : 과수엽분석은 7월~8월 신초 중간부위에 2~3장 잎을 따서 5~10여 나무의 잎 100여장을 분석의뢰
    (주소, 성명, 지번, 수령, 품종 등 기재)

퇴ㆍ액비 분석 의뢰방법

  • 자가제조한 퇴ㆍ액비를 깨끗한 용기나 봉지를 이용하여 대표성있게 채취하여 분석 의뢰

식물체 생육 불량시

  • 이상이 있는 식물체(작물)와 정상적인 식물체를 각각 채취하여 시료봉투(비닐봉투)에 시들기 전에 담아 의뢰합니다.

시비처방서 활용 요령

시비처방서의 내용은?
  • 토양성분함량(산도외 10여성분), 질소, 인산, 칼리의 시비추천량, 토양개량제(석회,퇴비) 살포량이 제시 되어 있습니다.
시비처방서의 발부
  • 의뢰후 농업인께서 알아보기 쉽게 작성하여 15일 내에 발부해 드립니다.
시비처방서의 활용
  • 처방서에 권장된 대로 질소(요소), 인산(용성인비), 가리의 원료비료와 토양시비추천량에 따라 토양에 살포하시면 됩니다.
  • 분석 및 검정결과는 농업기술센터 주 전산망에 입력되어 있으므로 수시로 출력이 가능합니다.

pH

pH가 낮은 산성토양에서는 알루미늄, 망간 등 중금속의 용해도가 높으며, 인산, 칼슘, 마그네슘, 붕소 등의 유효도가 낮아져서 작물의 생육에 불리하다. pH가 높은 토양에서는 붕소, 철, 망간 등 미량원소의 용해도가 감소하여 결핍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전기전도도(EC)

전기전도도는 토양 용액 중에 녹아있는 모든 이온의 양과 관련된다. 시설재배지와 같이 비료가 많이 집적된 곳은 전기전도도가 높게 나타나며, 이는 비료 성분이 녹아서 높게 나타나는 것이므로 바닷물이나 관개수에 의한 염류집적과는 다르다.

토양 유기물

유기물은 토양의 물리성 개선과 미생물 활성에 영향을 미친다. 적정 유기물 시용은 토양의 입단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어 공극률 증가에 의한 물리성 개선효과가 있다. 유기물 중 부식물질은 비표면적이 커서 양분을 저장할 수 있는 능력이 크다.

유효인산

유효인산은 작물이 이용할 수 있는 인산을 의미한다. 인산은 에너지 대사와 단백질합성에 필수적인 원소이고, 작물의 초기생육에 중요하기 때문에 밑거름으로 주며, 웃거름에 의한 효과는 질소, 칼리에 비해 크지 않다.

치환성 양이온

토양 입자의 표면은 음전하를 띠고 있는데, 여기에 전기적으로 흡착된 양이온을 말한다. 이 이온들은 다른 양이온에 의하여 교환될 수 있으며, 이들을 작물이 흡수할 수 있다.
칼륨
  • 토양의 칼륨 중에서 약 2% 정도가 치환성 형태를 띠며, 식물이 이용할 수 있는 형태이다. 칼리질 비료는 물에 잘 녹기 때문에 작물이 흡수하기 쉽고, 유실될 우려가 있으므로 웃거름으로 나누어 준다.
칼슘
  • 칼슘은 물에 의하여 흡수되는데, 식물체 내에서 이동이 어려운 성분이다. 부족할 경우에는 어린 잎이 시들고 과실이 썩는 증상이 나타난다. 칼슘은 토양의 pH 교정역할을 하는 석회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데, 석회를 많이 시용할 경우 인산이나 다른 이온들을 흡수하는데 어려움을 줄 수 있다.
마그네슘
  • 마그네슘은 엽록소의 구성 원소이며, 광합성에 필수적인 원소이다. 주로 기름을 짜기 위한 종자를 생산할 때 중요하다.

유효규산

작물이 이용할 수 있는 규산의 함량을 말한다. 주로 벼 재배시 유효규산의 함량을 고려하며, 벼가 규산을 흡수하여 쓰러짐에 강해질수록 무거운 이삭에도 견디는 힘이 생기기 때문에 토양 중 유효규산 함량이 많으면 질소비료의 추천량이 증가한다. 현재 유효규산은 157 mg/kg을 기준으로 규산질 비료를 추천하고 있다. 규산질 비료도 석회질 비료와 마찬가지로 토양의 pH를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한번에 300kg/10a 이상은 주지 않도록 한다

석회소요량

산성토양의 pH를 일정수준으로 중화하는데 필요한 석회물질의 양을 탄산칼슘으로 환산한 값이다. 주로 노지토양(밭, 과수)에 석회를 사용한다. 석회비료는 생석회, 소석회, 탄산석회, 석회고토, 부산소석회, 패화석 등 여러 종류가 있는데, 각각의 알칼리도가 다르므로 시용량이 다르다. 기준은 석회석(CaCO3)으로 하며, 다른 석회로 환산할 때는 다음 식에 의하여 구한다.
석회고토로 추천할 경우
  • 석회석 시용량(kg/10a) × 45(석회석의 알칼리도)/53(석회고토의 알칼리도) = 석회고토 시용량(kg/10a)
석회질 비료의 알칼리도
석회질 비료의 알칼리도
종류 생석회 소석회 석회석 석회
고토
부산
소석회
부산
석회
패화석
알칼리도
(%)
80 60 45 53 60 45 40


모든 석회질 비료의 최대 시용량은 300kg/10a(석회고토기준)을 넘지 않도록 한다.

벼(이앙재배)

구분 비료 사용량(kg/10a)
N P2O5 K2O 퇴비 규산
평야지 및 중간지
보통논
적기이앙 9 4.5 5.7 1,200 150
만기이앙 8 4.5 5.7 1,200 150
사질논 9 5.1 7.1 1,200 150
중간산지 및 냉조풍지 9 6.4 7.8 1,200 150
산간고랭지 9 7.7 9.3 1,200 150
염해답 11 5.1 5.7 1,200 150

기타곡류

기타곡류
작뮬 구분 비료 사용량(kg/10a)
N P2O5 K2O 퇴구비 석회
보리 도복강 8.8 7.2 3.6 1,500 200
도복중~약 7.6 6.6 3.0 1,500 200
맥주보리 도복강 7.6 7.2 3.6 1,500 200
도복중~약 5.0 6.7 3.0 1,500 200
도복강 8.8 8.0 3.7 1,500 200
도복중~약 7.6 7.3 3.1 1,500 200
기경지 3.0 3.0 3.2 1,200 200
개간지 5.7 7.4 5.7 1,500 200
기경지 4.2 5.2 5.8 1,200 200
옥수수 보통옥수수 15.8 3.0 6.3 2,000 200
단옥수수 13.2 3.0 5.5 2,000 200

근채류

근채류
작뮬 구분 비료 사용량(kg/10a)
N P2O5 K2O 퇴구비 석회
생강 노지재배(점파) 17.3 3.5 10.3 2,000 200
당근 노지재배 20.0 9.6 12.2 1,500 200
노지재배 23.4 5.1 8.1 1,500 200
열무 시설재배 7.5 3.0 3.0 1,500 200
비트 시설재배 5.5 3.0 3.0 1,500 200

인경채류

인경채류
작뮬 구분 비료 사용량(kg/10a)
N P2O5 K2O 퇴구비 석회
양파 평난지 24.0 7.7 15.4 2,000 200
준고랭지
및 고랭지
23.3 3.0 15.5 2,000 200
마늘 노지재배 25.0 7.7 12.8 2,000 200

경영채소류

경엽채소류
작뮬 구분 비료 사용량(kg/10a)
N P2O5 K2O 퇴구비 석회
상추 노지재배 20.0 5.9 12.8 1,500 200
시설재배 7.0 3.0 3.6 1,500 200
양상추 평야지 5.7 3.0 4.8 1,500 200
고랭지 8.2 6.5 7.2 1,500 200
배추 노지재배 32.0 7.8 19.8 1,500 200
시설재배 17.8 3.0 7.3 1,500 200
시금치 노지재배 25.0 5.9 11.9 1,500 200
시설재배 6.5 3.0 4.7 1,500 200
쑷갓 노지재배 20.0 5.8 14.7 1,500 200
시설재배 6.0 3.0 4.2 1,500 200
대파 노지재배 25 6.6 14.0 1,500 200
시설재배 6.2 3.0 4.0 1,500 200
쪽파 노지재배 16.0 7.4 12.4 1,500 200
시설재배 6.2 3.0 4.0 1,500 200
잎들깨 노지재배 20.0 4.3 9.2 1,500 200
시설재배 6.4 3.0 6.8 1,500 200
양배추 노지재배 32 9.0 21.8 1,500 200
시설재배 18.4 3.0 8.0 1,500 200
부추 노지재배 38.0 10.7 20.8 1,500 200
시설재배 24.3 3.0 8.3 1,500 200
셀러리 노지재배 32.0 6.2 17.2 1,500 200
시설재배 13.7 3.0 6.4 1,500 200
치커리 노지시설 14.8 3.0 11.8 1,500 200
케일 시설재배 12.8 3.0 5.4 1,500 200
브로콜리 시설재배 6.2 3.0 4.0 1,500 200
콜리플라워 시설재배 6.2 3.0 5.2 1,500 200
삼엽채 시설재배 4.9 3.0 3.2 1,500 200
시선초 시설재배 21.6 3.0 6.7 1,500 200
밭미나리 시설재배 4.7 3.0 4.1 1,500 200
엔다이브 시설재배 16.8 3.0 8.9 1,500 200
오너멘탈케일 시설재배 23.2 3.0 6.2 1,500 200
스위트펜넬 시설재배 6.2 3.0 8.0 1,500 200
서양냉이 시설재배 5.4 3.0 3.8 1,500 200

과수

과수
작물 구분 수령(년) 비료 사용량(kg/10a)
밑거름 웃거름 합계
N P2O5 K2O N P2O5 K2O N P2O5 K2O
사과 비옥지 1~4 1.2 1.0 0.6 0.8 0 0.4 2.0 1.0 1.0
5~9 1.2 1.0 1.2 0.8 0 0.8 2.0 1.0 2.0
10~14 3.0 2.0 1.8 2.0 0 1.2 5.0 2.0 3.0
15~19 6.0 5.0 4.8 4.0 0 3.2 10.0 5.0 8.0
20이상 9.0 8.0 7.2 6.0 0 4.8 15.0 8.0 12.0
척박지 1~4 1.2 1.0 0.6 0.8 0 0.4 2.0 1.0 1.0
5~9 2.4 2.0 1.8 1.6 0 1.2 4.0 2.0 3.0
10~14 4.8 5.0 3.0 3.2 0 2.0 8.0 5.0 5.0
15~19 9.0 8.0 7.2 6.0 0 4.8 15.0 8.0 12.0
20이상 12.0 12.0 12.0 8.0 0 8.0 20.0 12.0 20.0
비옥지 1~4 1.4 1.0 0.5 0.6 0 0.5 2.0 1.0 1.0
5~9 2.1 3.0 1.5 0.9 0 1.5 3.0 3.0 3.0
10~14 7.0 5.0 4.0 3.0 0 4.0 10.0 5.0 8.0
15~19 11.9 8.0 7.5 5.1 0 7.5 17.0 8.0 15.0
20이상 14.0 13.0 10.0 6.0 0 10.0 20.0 13.0 20.0
척박지 1~4 1.4 1.0 0.5 0.6 0 1.5 2.0 1.0 1.0
5~9 4.2 4.0 2.5 1.8 0 2.5 6.0 4.0 5.0
10~14 4.5 8.0 6.0 4.5 0 6.0 15.0 8.0 12.0
15~19 14.0 13.0 10.0 6.0 0 10.0 20.0 13.0 20.0
20이상 17.5 18.0 12.5 7.5 0 12.5 25.0 18.0 25.0
포도 비옥지 1~2 1.2 1.0 0.5 0.8 0 0.5 2.0 1.0 1.0
3~4 1.8 2.0 1.0 1.2 0 1.0 3.0 2.0 2.0
5~10 4.2 4.0 2.5 2.8 0 2.5 7.0 4.0 5.0
11이상 7.8 7.0 5.0 5.2 0 5.0 13.0 7.0 10.0
척박지 1~2 1.2 1.0 0.5 0.8 0 0.5 2.0 1.0 1.0
3~4 3.0 4.0 2.0 2.0 0 2.0 5.0 4.0 4.0
5~10 6.0 6.0 4.0 4.0 0 4.0 10.0 6.0 8.0
11이상 10.8 10.0 7.5 7.2 0 7.5 18.0 10.0 15.0
복숭아 비옥지 1~2 1.4 1.0 0.6 0.6 0 0.4 2.0 1.0 1.0
3~4 2.1 2.0 1.2 0.9 0 0.8 3.0 2.0 2.0
5~10 4.9 4.0 3.6 2.1 0 2.4 7.0 4.0 6.0
11이상 9.1 7.0 6.0 3.9 0 4.0 13.0 7.0 10.0
척박지 1~2 1.4 1.0 0.6 0.6 0 0.4 2.0 1.0 1.0
3~4 3.5 3.0 2.4 1.5 0 1.6 5.0 3.0 4.0
5~10 7.7 6.0 5.4 3.3 0 3.6 11.0 6.0 9.0
11이상 12.6 10.0 9.0 5.4 0 6.0 18.0 10.0 15.0
매실 1~2 1.0 1.8 0.6 2.0 0 1.5 3.0 1.8 2.1
3~4 1.7 3.4 0.9 3.9 0 2.2 5.6 3.4 3.1
5~6 2.5 5.0 2.0 5.8 0 4.5 8.3 5.0 6.5
7~8 3.6 6.0 2.3 8.3 0 5.3 11.9 6.0 7.6
9이상 4.3 7.1 2.6 10.1 0 6.0 14.4 7.1 8.6
1~2 1.3 1.5 1.0 1.2 0 1.0 2.5 1.5 2.0
3~4 3.0 2.0 2.3 3.0 0 2.2 6.0 2.0 4.5
5~6 5.0 4.0 4.0 5.0 0 4.0 10.0 4.0 8.0
7~8 7.5 6.0 6.0 7.5 0 6.0 15.0 6.0 12.0
9~10 9.5 8.0 8.0 9.5 0 7.5 19.0 8.0 15.5
11이상 12.5 12.0 12.0 12.5 0 12.0 25.0 12.0 24.0
감귤 화산회토양 온주 5 5.7 10.0 2.6 5.7 0 6.2 11.4 10.0 8.8
10 7.4 14.0 3.7 7.4 0 8.5 14.8 14.0 12.2
15 1.3 17.5 5.1 10.2 0 11.9 20.5 17.5 17.0
20이상 11.5 20.0 5.7 11.5 0 13.3 23.0 20.0 19.0
만감류 5 6.5 20.0 3.9 6.5 0 9.1 13.0 20.0 13.0
10 10 35.0 6.0 10.0 0 14.0 20.0 35.0 20.0
15 12.5 40.0 7.5 12.5 0 17.5 25.0 40.0 25.0
20이상 12.5 40.0 7.5 12.5 0 14.5 25.0 40.0 25.0
유자 화산회토양 5 4.8 3.0 3.9 11.2 0 7.0 9.1 10.0 13.0
10 6.6 4.2 5.4 15.4 0 9.8 12.6 14.0 18.0
15 9.3 5.4 7.5 21.7 0 12.6 17.5 18.0 25.0
20이상 10.5 6.3 8.4 24.5 0 14.7 19.6 21.0 28.0
비화산회토양 5 3.9 2.4 2.7 9.1 0 5.6 6.3 6.3 7.4
10 4.5 3.3 3.9 10.5 0 7.7 9.1 9.5 11.2
15 5.7 4.2 4.8 13.3 0 9.8 11.2 12.6 14.9
20이상 7.5 4.8 6.0 17.5 0 11.2 14.0 15.8 18.4
대추 1 0.8 0.7 0.5 0.5 0 0.3 1.3 0.7 0.8
2 1.6 1.3 1.0 1.1 0 0.6 2.6 1.3 1.6
3 3.1 2.6 1.9 2.1 0 1.3 5.2 2.6 3.2
4 4.7 3.9 2.9 3.1 0 1.9 7.8 3.9 4.8
5 6.2 5.2 3.8 4.2 0 2.6 10.4 5.2 6.4
6이상 7.8 6.5 4.8 5.2 0 3.2 13.0 6.5 8.0
밤나무 1 0.9 0.6 0.5 0 0 0 0.9 0.6 0.5
2 5.2 5.1 4.8 0 0 0 5.2 5.1 4.8
3 5.2 5.1 4.8 0 0 0 5.2 5.1 4.8
4 10.1 5.5 7.9 0 0 0 10.1 5.5 7.9
5~6 7.9 5.5 5.3 5.3 0 5.3 13.2 5.5 10.6
7~9 10.7 10.6 7.9 7.0 0 7.9 17.7 10.6 15.8
10~14 16.0 16.2 10.8 10.5 0 10.8 26.5 16.2 21.6
15~19 21.3 26.8 16.1 14.2 0 16.1 35.5 26.8 32.2
20~25 26.7 32.3 21.4 17.7 0 21.4 44.4 32.3 42.8
참다래 1 1.9 1.0 0.8 1.3 0 0.5 3.2 1.0 1.3
2~3 3.8 2.1 1.6 2.6 0 1.1 6.4 2.1 2.7
4~5 5.7 3.1 2.4 3.8 0 1.6 9.5 3.1 4.0
6~7 7.6 4.2 3.2 5.1 0 2.2 12.7 4.2 5.4
성목 9.5 5.2 4.0 6.4 0 2.7 15.9 5.2 6.7
자두 2 2.1 1.5 1.4 0.9 0 0.9 3.0 1.5 2.2
4 4.2 3.1 2.7 1.8 0 1.8 6.0 3.1 4.5
6 6.3 4.5 4.0 2.7 0 2.7 9.0 4.5 6.7
8 8.4 5.9 5.4 3.6 0 3.6 12.5 5.9 9.0
8이상 10.5 7.4 6.7 4.5 0 4.5 15.0 7.4 11.2
무화과 2 1.8 1.2 0.6 0.8 0 0.8 2.6 1.2 2.0
4 3.6 2.3 1.3 1.6 0 1.6 5.2 2.3 4.1
6 5.5 3.5 1.9 2.3 0 2.3 7.8 3.5 6.1
8 7.3 4.6 2.5 3.1 0 3.1 10.4 4.6 8.2
10이상 9.1 5.8 3.1 3.9 0 3.9 13.0 5.8 10.2
살구 1~2 1.4 1.0 1.5 1.5 0 0.6 2.0 1.0 1.5
3~4 2.5 2.5 3.0 3.0 0 1.0 3.5 2.5 3.0
5~7 4.9 4.0 5.0 5.0 0 2.1 7.0 4.0 5.0
8~10 7.7 5.5 6.5 6.5 0 3.3 11.0 5.5 6.5
11이상 10.8 6.9 8.6 8.6 0 4.6 15.4 6.9 8.6

악용작물

악용작물
작물 구분 비료 사용량(kg/10a)
N P2O5 K2O 퇴구비 석회
백하수오 8.0 4.0 4.0 2,000 200
적화수오 14.0 12.0 8.0 2,000 200
지황 신품종
(지황1호)
16.0 14.0 20.0 2,000 200
재래종 12.0 12.30 16.0 2,000 200
길경 12 10.5 9.0 1,500 200
반하 35.0 30.0 50.0 1,500 200
구약감자 15.0 12.0 15.0 1.000 200
황금 6.0 9.0 6.0 1,500 200
맥문동 20.0 18.0 18.0 1,500 200
복분자 1년 8.4 6.8 6.8 1,500 200
2년이상 14.7 11.9 11.9 2,000 200
30.6 21.7 26.7 2,500 200
오미자 1년 4.3 2.2 2.7 1,000 200
2년이상 6.4 3.2 4.1 1,500 200
3년이상 10.7 5.4 6.8 1,500 200
구기자 14.0 14.0 14.0 3,000 200
황기 6.0 7.0 8.0 1,500 200
백지 12.8 12.0 6.1 1,200 200
황련 6.0 6.0 10.0 1,500 200
스테비아 10.0 10.0 10.0 1,000 200
박하 12.0 6.0 5.0 1,500 200
맥문동 20.0 18.0 18.0 1,500 200
율무 18.0 6.0 6.0 1,500 200
향부자 8.0 6.0 10.0 700 200
더덕 6.0 6.0 6.0 1,500 200
산수유 성목
(50년이상)
6.8 3.0 4.2 1,500 200

하훼류

화훼류
작물 구분 비료 사용량(kg/10a)
N P2O5 K2O 퇴구비 석회
장미 58.0 58.0 48.0 6,000 200
국화 온실절화 22.0 22.0 20.0 2,000 200
노지재배 50.0 17.0 17.0 2,000 200
카네이션 32.0 39.0 78.0 3,000 400
구근류 20.0 12.0 12.0 1,000 400
1년초 절화재배 12.0 9.0 12.0
노지재배 20.0 20.0 15.0

기타

기타
작물 구분 비료 사용량(kg/10a)
N P2O5 K2O 퇴구비 석회
뽕나무 신규조성 25.0 11.0 15.0 2,000 200
밀식기성 30.0 13.0 18.0 2,000 200
목초 조성용 8.0 20.0 7.0 2,000 200
관리용 21.0 15.0 18.0 0 0
청예옥수수 20.0 15.0 15.0 2,000 200
연초 황색종 9.8 5.3 18.8 1,500 200
버어리종 17.6 9.5 33.8 1,500 200
차나무 1년 12.0 4.0 6.0 1,500 200
2년 30.0 10.0 15.0 1,500 -
3년 36.0 12.0 18.0 1,500 -
4년 42.0 14.0 21.0 2,000 200
5년 48.0 16.0 24.0 2,000 -
6년 54.0 18.0 27.0 2,000 -
7년이상 60.0 20.0 30.0 2,500 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