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약의 약해
□ 농약의 약해
약해란 병해충 및 잡초로부터 농작물을 보호가기 위하여 사용한 농약이 의외로 농작물의 생리작용에 영향을 주어 정상적인 생육을 저해.
- 약해는 급성약해와 만성약해로 구분하는데 급성약해는 농약 살포수 3 ~ 4일 이내 에 낙엽 된다든가 엽소 낙과 잎의 위조 발아 및 발근 불량 등의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우리들이 육안적으로 그 증상을 인지할 구 있은 것을 말하고 만성 약해는 약해증상을 육안적으로는 관찰 할 수 없으나 약제처리 이후 새로운 잎의 전개가 늦어지거나 전개된 잎이 기형으로 되며 과실의 발육부진 생육의 억제와 탄수화물, 유기산 , 왁스, 향기 등 체내성분의 증감 등으로 수량이 감소되거나 품질이 저하되는 경우를 말한다.
- 약해는 토양에 농약이 잔류하여 후작물에 약해를 주는 2차적 약해를 유발하기도 한다.
  
□ 약해의 원인
- 농약자체의 이화학적 특성
- 시상조건
- 농작물 자체의 조건
- 농약사용방법에 따라 약해가 발생 된다.
  
□ 농약의 이화학적 특성에 따른 약해
- 무기화합물의 약제가 유기화합무의 약제보다 약해가 일어나기 쉽다. 무기 화합물은 유기화합물에 비해 쉽게 물에 녹아 작물체내에 침투하기 쉽다.
- 농약이 분해물에 의하여 약해가 유발된다. 작물 또는 토양에 처리된 농약이 작물체내에서 대사, 분해, 증발, 광분해, 용탈 등의 작용을 받고 토양 중 미생물에 의해 분해된 산물에 의하여 농작물에 피해를 주기도 한다,
예로 생고등 미숙퇴비를 다량으로 시용하여 강한 환원상태의 토양에 치오벤카브(사단)를 처리하면 탈염소화되어 벼가 왜화작용을 받게된다.
도열병 방제를 위하여 PCBA로 방제한 짚을 이용하여 퇴비를 만들어 쓰면 PCBA 분해물은 박과채소에 심한 약해를 일으킨다.
이와 같은 것을 2차 약해라 한다.
- 유제의 유화성 불량, 수화제의 수화성 불량이 약해를 일으킨다.
- 증기압이 높은 농약은 살포 대상작물 이외의 작물에 약해를 일으키기도 한다.
  
□ 농작물 자체의 감수성 차이
- 농악에 의한 작물의 감수성은 일정하지 않고 작물의 종류 생육시기 재배방법, 기상조건, 토양조건, 환경조건에 따라 감수성이 달라진다.
- 석회보르도액은 복숭아, 살구, 자두 등에 약해를 받기 쉽다.
어린 오이는 유기염소계 농약에 약해를 받는다.
- 동일한 작물에서도 약해가 다르게 나타난다. 사과는 품종에 따라 약해가 다르게 나타난다.
- 작물 생육시기에 따라 약해가 나타난다. 대체적으로 약해는 유묘기 생식생장기, 영양생장기, 휴면기 순으로 약해에 약하다.
  
  
□ 기상에 따른 약해 발생
- 기온
일반적으로 약해는 고온에서 많이 일어난다. 고온에서는 농약 흡수가 많이 일어나며 특히 수도의 트리아졸계 제초제에 많이 나타난다.
. 2 4D 페녹시계 제초제는 저온하에서 약해가 나타나며 저온하에서는 수도의 벼의 생육이 지연되어 약해에 대한 저항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 습도
. 농약살포시 습도가 높으면 살포농약이 마르기 어려워 과실표면에 부착한 농약이 장시간 젖어있어 약액의 체내 침투가 많아서 약해가 발생된다. 습기가 많을 때 복숭아에 캡탄을 살포하면 약반이 나타난다.
. 다습조건에서 생육한 식물도 약해를 받기 쉬운데 다습조건에서는 표피의 큐티큘층이 엷고 기공과 세포간극이 크고 기공수도 많아 약해를 받기 쉽다.
- 일조
농약살포 전 약광, 농약살포 후에는 강광의 경우에는 약해가 나타날 우려가 많다
약광 하에서 생육한 작물은 조직이 연약하고 농약이 체내에 침투하기 쉬워 약해가 발생하기 쉽고 일부 농약은 강광이 되면 산화되어 약해를 발생한다( 강광하에서 석회유황합제 --아황산가스로 변함)
  
□ 토양조건에 따른 약해
토양의 흡착정도에 따라 약해가 달라진다, 토성, 유기물함량, 입단구조, 토양수분 등으로 흡착이 클수록 약해가 적게 난다.
토심이 얕게 되면 약해가 우려된다.
□ 농약 살포방법에 따른 약해 발생
- 혼용 및 근접 살포에 따라 약해가 심하게 발생된다.
불합리한 혼용은 약제 주성분의 가수분해 금속염 치환, 등과 유화성, 현수성을 악화시켜 약해가 난다. 예를 들어 유제 농약과 수화제 농약의혼용은 약해 발생이 우려되는데 이는 유제 농약의 기름성분이 수화제 농약의 증량제에 흡착 응집되어 약해 원인이 된다., 침투성 농약의 경우 작물체내에 농약 침투가 많아서 피해가 나타난다.
- 2종이상의 농약을 수일 간격으로 처리하는 것을 근접 살포라 하는데 이럴 경우 약해가 발생되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