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월중핵심기술정보[과수] |
□ 품질향상 지도 o 적기에 알맞는 열매솎기로 균일과 생산 및 결실안정 - 꽃봉오리 또는 꽃솎기로 저장양분 소모를 줄여 과실의 품질과 꽃눈분화를 돕는 한편 열매솎기 소요노력을 분산 - 사과 후지품종은 마무리 적과시 경와부(꼭지부위) 평형과를 남기고 열매솎기를 실시 - 정화아의 중심과는 경와부 평형과 60%, 경와부 원형과 39% 점유 - 액화아의 중심과는 80% 이상이 경와부 원형과 - 경와부 평형과는 종자형성 양호 과실 - 낙화 후 20일경부터는 여과 형태구분이 가능<유과 형태에 따른 과실특성>( 95∼ 96 원예연구소)┌────────┬────┬────┬────┬───────────┐│구 분 │종자수 │과 중 │정형과율│과 실 등 급(%) ││ │(개) │(g) │(%) ├───┬───┬───┤│ │ │ │ │상품 │중품 │하품 │├────────┼────┼────┼────┼───┼───┼───┤│ 경와부 평형과 │9.1 │321 │55 │63 │33 │ 4 ││ │ │ │ │ │ │ ││ 경와부 원형과 │8.2 │241 │33 │ 8 │38 │54 ││ │ │ │ │ │ │ ││ 관행 적과 │8.5 │271 │43 │20 │56 │24 ││ │ │ │ │ │ │ │└────────┴────┴────┴────┴───┴───┴───┘ - 신고배는 열매에 꽃받침이 붙어있는 것을 열매솎기 하면 체와부 (배꼽부위) 돌출과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음 - 참다래 대과 생산을 위해서는 철저한 인공수분 및 m2당 40과를 남기고 열매솎기를 할 것 - 적과 대상 과실 : 병해충 피해과, 기형과, 측과 등 o 사과 후지 품종 약제 적과 - 중심꽃 만개 후 7∼10일에 나크수화제 700배액 살포 - 1차로 적과 대상 과실의 50∼70% 정도는 약을 뿌려 솎아주고, 2차는 사람 손을 이용하여 솎아줌 - 어린 나무나 세력이 약한 나무는 약제 적과 지양 - 꽃수가 적거나 약을 뿌릴 때 기상조건이 나쁘면 약제사용을 하지 않아야 함(나쁜 기상조건 : 많은 비가 올 때, 기온이 15℃ 이하일 때, 바람이 10m/초 이상 불 때) - 약제에 민감한 쓰가루, 육오, 세계일, 북두, 데리셔스 계통은 약제 적과 지양 - 나크수화제는 꿀벌,머리뿔가위벌 등에 피해가 크므로 주의 o 과종별 착과 정도와 시기┌────────┬──────────────┬─────────────┐│과 종 │착 과 정 도 │적 과 시 기 │├────────┼──────────────┼─────────────┤│ 사과(중과품종) │ 40∼50잎(3∼4화총)당 1과실 │ 꽃이 진 후 2∼4주이내 ││ (대과품종) │ 70∼80잎(5∼6화총)당 1과실 │ │├────────┼──────────────┼─────────────┤│배 │ 25∼30잎당 1과실 │신고 : 꽃이진후 10∼20일 ││ │ │장십랑등 : 6월 상·중순 ││ │ │ 이내 │├────────┼──────────────┼─────────────┤│복 숭 아 │ 20∼30잎당 1과실 │예비적과 : 만개 후 2∼3 ││ │ 단과지 2∼3개당 1과실 │ 주사이 ││ │ 중과지당 1∼2과실 │정리적과 : 만개 후 40일 ││ │ 장과지당 2∼3과실 │ 전후 │├────────┼──────────────┼─────────────┤│포 도 │ 1열매 가지당 │개화 전 7일∼개화기에 ││ │ 캠벨얼리 1∼2송이 │꽃송이다듬기, 송이솎기 ││ │ 델라웨어 2∼3송이 │개화 후 2∼3주에 송이솎기,││ │ 거봉 1.5송이 │알솎기 │├────────┼──────────────┼─────────────┤│단 감 │ 결과모지당 (20잎당 1과) │ ││ │ 새가지 3본 이하 1∼2과실 │적뢰 : 개화 10∼5일 전 ││ │ 새가지 4본 이상 2∼4과실 │적과 : 6월중∼7월상순 │├────────┼──────────────┼─────────────┤│감 귤 │ 25∼30잎당 1과 │1차 : 6월하∼7월하순 ││(조생온주) │ │2차 : 8월상∼9월상순 ││ │ │3차 : 9월하순∼수확 ││ │ │ (수상선과) ││ │ │ │└────────┴──────────────┴─────────────┘ o 포도 GA처리로 씨가 없고 알이 큰 포도생산 - 델라웨어 : 1차 만개14일전, 2차 만개 10일후 각각 100ppm - 거 봉 : 1차 만개시 25ppm, 2차 만개 10∼15일후 25ppm - 피 오 네 : 1차 만개시 12.5ppm (하우스 25ppm) 2차 만개 10∼15일 후 25ppm o 포도 비가림재배 - 비닐피복시기 : 5월상순∼6월상순 - 비닐제거시기 : 수확 후 즉시 - 비닐두께 : 0.05mm이상 - 거봉품종은 8상순 지면에 0.03mm PE 필름 멀칭으로 열과 감소 및 당도향상 ※ 덕면과 피복재와는 30cm이상 확보하여 통풍을 좋게 한다□ 토양관리 및 시비 o 관수방법 및 시기 - 관수방법은 표면관수,살수관수,점적관수 등이 있으며 각각의 장단점이 있음 - 관수 시기는 토양의 수분이 부족할 때 적정 수분함량에 도달하도록 관수 - 일반적으로 10∼15일동안 강우가 없을 경우 30mm정도 관수 - 토양수분 감지센서에 의한 자동 관수방법 활용 → 관비 및 관수 시스템 o 토양 수분함량 계산에 의한 관수법 - 예를 들면 적정수분 함량이 25%인데 현재 토양수분 함량이 15%이면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음 - 면적은 3,000평(1ha)이며 토양 30cm 깊이까지 관수하면 3,000평은 10,000㎡이고 30cm는 0.3m이므로 3,000평의 부피는 3,000㎥임. - 이 부피는 10%가 부족하므로 3,000×0.1=300㎥가 물로 채워야 할 공간임(흙 가비중을 1로 가정) - 식으로 표현하면 (3,000평) (30cm) (25-15) 300톤 면 적 × 관수하고자 하는 토심 × 부족되는함량 = 관수할 물량 (10,000m2) (0.3m) (0.1) 300m3 o 토양수분 감지센서를 이용한 관수 - 토양수분 센서에서 토양의 적정수분 범위를 설정하여 토양수분에 따라 관수되는 방법임 - 토양 수분 센서는 뿌리가 제일 많은 지표 하 20∼30cm 부위에 설치 - 센서와 점적관수 핀의 위치는 양토에서 60∼80cm 떨어지도록 설치 - 물과 비료 자원절감 → 환경보전 → 지속농업 실천 o 수관하부 보온덮개 피복제초 - 보온덮개 피복은 5월 중순에 주간 양쪽으로 90∼100cm폭으로 덮고 피복되지 않은 곳의 풀이 20cm정도 자랐을 때 옮겨 풀을 제초하는 과정을 반복 - 한곳에 계속적으로 피복하여 두면 위에 잡초씨가 떨어져 잡초가 발생하면 피복덮개를 옮기기가 어려움 - 수확전 토양중의 적당한 수분함량을 유지하기 위하여 수확전 30일전 에 수관하부에서 골사이로 뒤집움 - 겨울에 수관하부에 계속 방치할 때는 쥐가 서식하여 나무의 지제부 를 갉아 먹을 염려가 있으므로 피복재료를 걷어 두어 다음해에 다시 사용 o 웃거름 주기 - 시 기 : 5하순 - 주는량 : 연간총거름줄 량에서 질소 15∼25%, 칼리 40∼50%를 나무 세력을 감안하여 세력이 강한 나무는 량을 줄이고 약한 나무는 약간 증량 시용□ 낙화후의 병해충 방제 o 과수의 낙화직 후 방제는 농가별 또는 과종별로 여러 가지 병해충의 발생정도가 다르고 과종별로 수정 착과된 어린 과실에 피해가 없는 시기를 고려해서 살포해야 함 o 사과의 병해충 방제 - 사과의 경우, 낙화후 방제대상 병해로서는 점무늬낙엽병, 흰가루 병, 붉은별무늬병, 흑점병, 검은별무늬병 등이 있다. 지역별로 보았을 때, 남부지역은 흰가루병과 점무늬낙엽병을 중점 방제해야 하고 중부이북 지방에서는 점무늬낙엽병을 중점 방제해야 함 - 사과의 낙화직후 방제대상 병해충┌──────────┬──────────┬──────────┐│ 병 │ 해 충 │ 중점방제 병해충 │├──────────┼──────────┼──────────┤│ 흰가루병 │ 사과응애 │ 점무늬낙엽병 ││ 검은별무늬병 │ 진디물류 │ 검은별무늬병 ││ 붉은별무늬병 │ 잎말이나방류 │ 진딧물류 ││ 점무늬낙엽병 │ │ ││ 흑점병 │ │ ││ │ │ │└──────────┴──────────┴──────────┘ o 배의 개화후 방제대상 병해충 - 배나무의 낙화후 방제대상 병해는 붉은별무늬병, 검은별무늬병, 콩가루벌레, 잎말이나방류, 진딧물류, 가루까지벌레 등이 있음. 농가 또는 지역에 따라 발생밀도가 다르므로 밀도가 높은 병해충 에 따라 중점방제를 해야 함 - 배 낙화후 방제대상 병해충┌───────┬────────┬──────────────┐│병 │해충 │중점방제 병해충 │├───────┼────────┼──────────────┤│ 검은별무늬병 │ 꼬마배나무이 │ 붉은별무늬병 ││ 붉은별무늬병 │ 콩가루벌레 │ 검은별무늬병 ││ │ 가루깍지벌레 │ 농가별 밀도가 높은 해충 ││ │ 진디물류 │ ││ │ 잎말이나방류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