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수 수정 및 증진 방안
수정 불량 및 기형과 발생원인:
저장양분부족-수세약화
무기성분의 부족-수정에 영향
꽃가루 활력저하-수명저하
수분수 부족-자가불화합성
매개곤충-대부분 충매화
궂은 기상-주두 수명저하, 발아관 신장저하
수정불량과실의 문제점
-수확량 감소 수분수 宥 포장 12%, 수분수 無 50% 감소
해거리의 원인, 수세조절의 어려움
품질저하: 저장력 감소, 분질화로 정상에 비해 40%저하
기형과 발생, 낙과 多 발생-수정불량 과실
종자와 과실: 평균 종자수-기형과1.5개, 정상과 4.3개
씨앗에서 내생호르몬 발생, 세포분열이 왕성, 종자수가 많은 과실=Ca함량高
동녹발생억제, 저장력 증진(감모률, 생리장해과 억제)
종자와 과실 모양(배): 솎아버릴과-변형과, 유체과, 발육불량과, 무화과형
남길과실-명관형, 수세강-3~4번과, 수세약-2~3번과 남김
왜 생육초기가 중요한가? 대과생산(과실크기=세포수*세포크기)
숫배의 대책
원황-과실갈변, 과육괴사 수세 中
황금-동녹, 과실갈변, 돌배, 과육괴사 수세 中
화산: 바람들이, 유부과, 열과, 유체과 수세 强
신고: 돌배, 바람들이, 심부현상, 유체과, 열과, 과피흑변 수세 强
감천: 유체과, 유부과, 바람들이, 과심갈변, 수세 强
추황: 유부과, 과피흑변 수세 强 영산: 유체과, 과심갈변 수세 强
체와부 돌출과의 발생원인
나무세력 강하거나 유목에 결실, 개화기 고온, 가뭄, 개화직후 수분되거나 인공수분 반복실시, 강전정 및 절단전정이 심할 때, 화아내 지베렐린, 오옥신 함량이 高, 착과위치가 1~2번과(열매자루가 긴 것이 好), 유체과, 꽃가루의 영향이 과형, 과육, 과즙, 성숙기에 영양을 나타낸다고 보기엔 힘듬.
*대책
적정수준의 결실확보(수분수의 확보, 인공수분)
지나친 영양생장을 유기하는 재배적 조치 삼가
약전정(간벌, 큰가지 빼내기. 솎음전정, 유인 등)
안정된 유기물시용(C/N률이 10~15로 안정된 완전 발효된 유기물 시용)
초생재배
4종복비의 엽면시비(개화기-심한 일교차로 뿌리기능저하=>질소편중흡수로 칼리성분결여, 개화 수정할 때 세포분열 왕성한 초기에 붕소 부족현상 용이)
유체과 꽃받침 제거(만개 후 25~35일경에 제거, 일찍 제거, 꽃받침과 과육일부를 동시제거=>편형과 발생)
*숫배아웃(숫배 억제제): 수세강한 나무, 지베렐린, 싸이토키닌 적정수준유지, 화분활력증대, 질소과다흡수억제
주의-수세 약한나무 사용삼가=>소과우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