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윤작의 기능 4가지
2. 호흡기 입 피부등에너 나타나는 급성 독성과 달리 1회 섭취로는 중독을 일으키지
않는 적은양의 약물이라도 강기간에 걸쳐서 계속하여 섭취하게된경우 나타나는것은??
3. 유기 종자가 갖추어야할 조건
4. 유기·무항생제사료 기준에 맞지 아니하는 사료를 먹인 농장 및 경축순환농법으로 사육 하지 아니한 농장에서 유래된 퇴비는 어떠한 요건을 충족시켜야 유기농림산물의 퇴비, 액비로 사용가능한가?
답: 퇴비화 과정에서 퇴비더미가 (55-75도)를 유지하는 기간이 (15일)이상
되어야하고, 이기간동안 (5회)이상 뒤집어야한다.
퇴비에 항생 물질이 포함되지 아니하여야하고, 유해 성분함량은 비료관리법 제4조에
따른 비료공정규격중 퇴비규격의 (1/2)을 초과하지 아니하여야함
5. 유기양돈에서 비육돈의 비육개시 체중이 30Kg이었고 비육종료 체중이 90Kg이었다. 이 비육돈의 비육기간동안 사료섭취량이 150Kg이 소요되었다면 이 비육돈의 사료요구 율은 얼마인가? (배점: 3)
계산식: 150/(90-30) = 2.5
답: 2.5 Kg
6. 인증업무범위
구분 인증업무범위
유기 농산물 ① 국내 유기농산물 및 유기축산물
무농약 농산물 ② 무농약 농산물
저농약 농산물 ③ 저농약 농산물
④ 전환기유기농산물 ④ 전환기유기농산물, 전환기유기축산물
7. 계산문제
작물을 토양 100키로그람의 용기에 파종하여 생장심키고자한다
길항 미생물 배양액을 이용하여 토양당 10에7승 개의 미생물을 처리하고자 할때
토양 100키로그램에 처리되어야할 미생물 배양액의 양은??
8. 현미경 검정 병원균 파악할수있는 병원균 조직또는 기관의 종류 2가지
포자(포자낭) 균사(균사체)
9 토양미생물 제재 기능 4가지
답 : 1. 토양속의 유기물을 분해하여 식물이 이용 가능한 형태로 변환
2. 흙속의 질소순환 원활
3. 토양의 염류중화 및 토질개량의 우수한 효과
4.경반층 감소 및 흙의 공기 접촉과 수분 유지능력 증가
5.토착미생물의 활성강화로 인한 병원성균에 대한 길항작용
10 친환경 농산물 표시 문자중
소비자에게 혼동을 초래할수있어 강조표시할수없는 용어 4가지?
11. 유기 농산물의 품질관리를 위하여 병해충 관리및 방제를 위해서 우선적으로 조치
하여야할 사항 3단계
12. 친환경 농산물의 시판품 조사를 하고자할때 조사내용3가지?
13. 가. 유기농업에서 잡초에대한 관점
나. 제어방법
14. 생물학적 방제의 장점 (천적의 이용 5가지)
장점 |
단점 |
약제저항성 문제가 없다. |
농약에 비하여 효과 불안정하다. |
해충 재돌발(resurgence)이 없다. |
도입 시 고려사항 많다. |
작물에 잔류가 없다. |
대상 해충이외에 효과가 없다. |
살포자가 피해를 받지 않는다. |
비용이 많이 든다. |
약제살포 노력이 적게 든다. |
다 발생 시 대응이 어렵다. |
소비자로부터 이미지가 좋다. |
항상 신경을 써야 한다.(장점?) |
작물을 잘 관찰하게 된다. |
환경 개선이 필요하다.(장점?) |
기술이 정착하면 지속적 이용가능 |
|
15. 가. 기지의 정의
나. 대책3가지
16. 유기농업에서 허용되지 않는 사료 수의약품에 의존하여
공업적 관리체계 또는 산업관리체계
답 : 공장형 농법
17. 농산물 인증제도 4가지
유기농산물 무농약농산물 저농약농산물 전환기유기농산물
18. 나방류 성적유인
명칭 : 페로몬
적용예 : 낮에 활동하는 나비는 시각을 이용하여 같은 종임을 확인하는 것
19. 유기농가가 유기농업 실천을 위해 할일 구체적으로 2가지
가. 환경 농업 생태계 보호 측면 2가지
나. 토양 비옥도 유지 증진 측면 2가지
다. 안전한 농축 임산물 생산 측면
20. 토양중의 수분 상태를 알기위한 토양수분 측정법 5가지
텐시오 메타법, 석고블럭법, 중성자법, TDR, 장력계법
21. 저농약 농산물 생산을 위해 다음과 같은 원칙을 지켜야 한다. 괄호 안을 채워라.
화학비료는 농촌진흥청장·농업기술원장 또는 농업기술센터소장이 재배포장별로 권장하는 성분량의 (1/2)이하를 사용하여야 한다. 유기합성농약의 살포 횟수는 농약관리법 제23조제2항에 따른 안전사용기준의 (1/2) 이하여야 하며, 사용시기는 안전사용기준 시기의 (2배수)를 적용한다. 다만, 안전사용기준상 살포횟수가 1회로 되어 있는 약제는 살포횟수를 적용하지 아니한다. 유기합성제초제는 사용하지 아니하여야 한다. |
22. 유기 농산물 병해충 관리를 위하여 사용가능한 자재중 식물과 동물의 제재 5가지?
'농업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원&귀농 (0) | 2008.05.06 |
---|---|
친환경농업과 (0) | 2008.05.06 |
채소 병충해 방지하는 10가지 무공해 재래농약 (0) | 2008.05.06 |
화제의 책]‘신이 내린 직장인’들의 자기혁신 (0) | 2008.05.05 |
: 인칼균 (0) | 2008.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