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토양분류

날마다좋은날 2007. 4. 12. 15:31
[토양의 분류와 조사]토양분류

1. 토양의 분류  2. 생성론적, 형태론적 토양분류  3. 주요 대토양군의 특성

-----------------------------
<b>1. 토양의 분류</b>

토양의 분류: 각 토양간의 제반 특성비교
   -상호 관련성 비교(공통성과 상이성)
   -체계적 이해와 합리적 관리
생성론적 분류
   -토양단면상의 토양생성인자 기준 분류
   -특징: 주관적, 정성적, 학자간 의견분분
형태론적 분류
   -토양단면상의 형태적 특성만을 기준
   -특징: 객관적, 정량적, 학자간 이견이 거의 없음
생성론적 분류체계
발달역사
   -1880년 러시아의 도쿠차브가 효시
   -1927년 미국의 마버트가 계승 발전,1936년 보완
   -1949년 도르프와 겔로그가 완성, 1960년까지 사용
 체계
-목(soil order)-아목(sub-order)-대토양군(Great group)-속(Soil family)-통(soil series),구(Type),상(Phase)
가장 중요한 분류단위: 목, 대토양군, 및 통


생성론적 분류: 목
목(Soil order): 5대 토양생성인자의 영향을 받은 정도에 따라  3목으로 구분
  -성대토양: 기후와 식생의 영향이 토양단면상
    에 우세하게 반영
  -간대토양: 모재, 지형,염류의 함량, 배수정도 등 지역적 조건의 영향이 토양단면상에 우세
  -무대토양: 토양생성기간이 짧아서 토양단면의 발달이 없는 토양
생성론적 분류: 아목
성대성 토양: 6개 아목
 -한대토양,건조지역의 담색토양, 반건조-반습윤-습윤초원의 암색토양, 산림초원 전이대토양, 산림지역의 담색 포드졸화토양, 온대-열대-아열대지역의 라테라이트성 토양
간대토양: 3개의 아목
  -염성토양: 건조지역의 배수불량지 염류,알칼리토양
  -수성토양:늪지대, 저지 함몰지에 나타나는 토양
  -석회성토양: 석회질 토양
무대토양: 아목 없음
생성론적 분류: 대토양군
성대토양: 22개 대토양군이 있음
  -툰드라, 포드졸토, 라토졸, 체르노젬, 프레이리, 율색토, 갈색토, 적색사막토 등
간대토양: 14개 대토양군이 있음
  -솔론착, 솔로네츠, 솔로트, 갈색산림토, 플라노졸,
    렌지나토, 소택지토 등
무대토양: 3개 대토양군이 있음
  -리고솔, 리토솔, 충적토(alluvial)
형태론적 토양분류
발달역사
   - 미 농무성 학자 중심 연구
   -1960년 국제토양학회에 제7차시안발표
   -1965년공식적 분류체계로 체택:토양분류-알기쉬운 분류체계
   -1975년 토양분류(soil taxonomy) 출간
분류체계
  -목(soil order)-아목(sub-order)-대군(Great group)-아군(Sub-group)-속/과(Family)-통(soil series) 등 6단계
      o 분류에 사용된 어원: 그리스어와 라틴어의 조합
      o 장점: 구성된 합성어의 접두어와 접미어를 알면 토양의 모든 특성을     유추할 수 있음.

형태론적 토양분류: 12개 목(1)
Entisol: 토양발달 초기단계, 층위미발달
Inceptisol: 층위발달이 시작된 젊은 토양, 뚜렷한 집적은 식별되지 않음
Vertisol: 팽창성 점토광물(몽모릴로나이트 등) 함유 토양, 건기에 깊고 넓은 균열, 한국에는 없음
Aridisol: 건조지토양, 용탈작용 없음, 염기함량이 높은 층을 가짐, 한국에는 없음
Spodosol:스포딕층(유기물과 Fe,Al의 산화물이 집적된 층)을 가진 토양, 한국에는 없음
Mollisol:두껍고 팽윤된 암색의 몰릭층(표층이 두껍고 검으며, 염기포화도가 높고 구조발달이 강한 층)을 가진 초지토양
형태론적 토양분류: 12개 목(2)
Alfisol: 35%이상의 염기포화도, 알질릭층(규산염점토광물의 집적층)을 가진 토양
Ultisol: 35%이하의 염기포화도, 알질릭층(규산염점토광물의 집적층)을 가진 토양
Oxisol: 가장 풍화가 많이 진척되어 Al과 Fe가 풍부하고, 1:1형 점토광물이 많은 적색 열대토양, 한국에는 없음
Histosol: 유기질토양, 점토함량 50%이상일 때 유기물함량 30%, 점토함량이 적을 때 유기물함량이 적어도 20% 이상인 토양, 물포화지역, 늪지대 분포
Andisol: 최근의 화산분출로 생성된 토양, 알로팬
Gelisol: 툰드라, 추운사막지, 영구동결층을 가진 토양, 한국 없음
주요 감식층위-표토 (Diagnostic horizone)
mollic: 표층이 두껍고 검으며, 염기포화도가 높고 구조발달이 강함
Umbric:몰릭과 거의 유사하나 염기포화도가 낮음(50%이하)
Ochric:밝은 색이며, 유기물함량이 낮음, 건조시 딱딱하고 큰 토괴 형성
histic:유기물함량이 매우 높고, 1년중 상당기간이 습한 상태 유지
 plaggen: 오랜세월동안 인위적 유기물 다량시비로 형성된 검고 뚜꺼운 표층
주요 감식층위-심토 (Diagnostic horizone)
argillic: 규산염 점토광물의 집적층
natric: argillic에 더하여 Na함량이 높고 주상구조를 이룸
spodic: 유기물과 Fe,Al의 산화물이 집적된 층
cambic:물리적 이동 또는 화학반응에 의하여 변성되어었거나 바뀐 층
agric:경작층 바로 밑에 유기물과 점토의 집적층
oxic: Al, Fe-산화물의 혼합체, 그리고 1:1형 점토광물
토양목에 따른 층위발달정도
                                 Aridsol                 풍
                                           Molisol                  화
Entisol       Inceptisol          Alfisol                   용
                                           Ultisol, Spodosol    탈
                                           Oxisol                   작
                                                                       용 

           층위발달 정도
페돈(pedon)의 개념
토양의 성질을 나타내는 범위와 토양층위의 특성이 충분히 조사될 수 있는 최소단위의 토양체적(three dimension unit)을 말하는 것
토양특성과 종류를 구분할 수 있는 최소한의 크기: 1-10m2
토양의 특성이 유사한 페돈의 집합체를 폴리페돈(poly-pedon)이라 함.
실제로는 개념만 다를 뿐 생성론적 분류의 통이나 형태론적 분류의 통과는 차이 없음
형태론적 분류의 사례: 연곡통
목(Order) -------- ------------------------Alfisol
아목(suborder) + ---------------------------Udalfs
대군(great group) + ---------------------Fragiudalfs
아군(subgroup) + -----------------Aquic Fragiudalfs
속(family) + --------------Fine silty, Aquic Fragiudalfs
통(series) + -------Yeongog, Fine silty, Aquic Fragiudalfs

명명: 라틴어와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말 또는 영어의 몇몇 어간으로된 음절의 조합으로 구성
 -토양분류이름: 자동적으로 그 토양의 형태적 특성을 알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