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천, 보신각종 33번 치는 이유
신라 선덕여왕은 “내가 죽으면 도리천에 묻어 달라”고 했다. 도리천이 어디인지 묻자 ‘(경주) 낭산(狼山)의 남쪽 봉우리’라고 했다. 도리천은 불교에서 세계의 중심인 수미산 꼭대기를 가리킨다. 중앙의 제석천이 사방 32성의 신을 지배하는 이 천상계를 33천이라 하는데, 33천의 인도어 음역이 곧 도리천이다. 이는 단순히 인도나 불교의 세계관에 그치지 않고 우리 문화 곳곳에 녹아 있다. 조선시대 과거의 문과 합격자 정원이 33명이고 3·1 운동 때 민족대표가 33명이며 해인사의 일주문에서 해탈문까지가 33계단이다. 보신각 제야의 종을 33번 치는 것도 이 때문이다. 보신각 종은 원래 조선 태조 5년(1395)부터 하루 두 차례 울렸다. 도성 문이 열리는 파루(오전 4시)에 33번, 문이 닫히는 인정(오후 10시)에 28번을 쳤다. 28은 불교의 28계와 하늘의 별자리 28수를 상징한다고 한다. 종은 원래 절에서 아침저녁으로 108번을 쳤는데 나중에 연례행사인 제야의 종으로 이어졌다. 한 해의 마지막 순간까지 107번을 치고 새해로 바뀐 직후에 한 번 치는 게 상례였다고 한다. 108번인 이유에 대해서는 1년의 12개월과 24절기 72후의 숫자를 합친 것이라는 설, 불교의 108번뇌를 하나하나 깨뜨린다는 설이 있다. 일본에서도 전국의 절에서 제야의 종을 108번 친다. 구리 료헤이의 ‘우동 한 그릇’에 나오는 가난한 어머니와 두 아들도 섣달 그믐밤 소바(메밀국수) 한 그릇을 나눠먹고 제야의 종소리를 들으며 서로를 위로했다. 1800년대에 조선을 방문한 여성 선교사는 “(서울의 종소리가) 대단히 부드럽고 엄숙하며 저음이지만 가슴 속을 깊이 파고든다”고 묘사했다. 종의 안쪽을 때려서 날카로운 소리를 내는 서양종에 비해 바깥을 때려 공명음을 길게 울리는 동양종의 느낌이 달랐을 것이다. 현대식 제야의 종소리는 1929년 경성방송국의 생방송에서 시작됐고 6·25가 끝난 1953년에 본격적으로 재개됐다. 1994년에는 광복 5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각계 인사 50명이 타종식에 참가하기도 했다. 올해는 축구선수 차두리를 비롯해 동작소방서 소방위, 명동 관광안내원 등 11명이 참여한다고 한다. 한 해의 마지막을 종소리로 마감하는 나라는 흔치 않다. 서양의 카운트 다운이나 불꽃놀이보다 훨씬 운치있다. 그 은은한 소리의 끝에 근심과 걱정, 아쉬움을 모두 실어 보내고 새해에는 산뜻하고 새로운 종소리의 울림을 기대해보자. 산스크리트 Trāyastriṃśa의 음역으로 의역해 33천이라고도 한다. 불교의 우주관에서 세계의 중심으로 간주되는 수미산의 꼭대기에 있다. 수미산 꼭대기에는 사방에 각 8천성(八天城)이 있으며, 중앙에는 제석천(帝釋天)이 머무는 선견성(善見城)이 있기 때문에 합쳐서 모두 33성이 된다. 그러므로 33천이라고 한다. 이곳의 천인(天人)들은 신장이 1유순(由旬)이고, 수명은 1,000세이며, 남녀의 구별이 있어서 신체가 서로 접근하면 음기와 양기가 만나서 아이가 태어난다. 처음 태어날 때 인간의 6세 된 아이와 같은 모습을 하며, 저절로 옷이 입혀진다고 한다. 이곳에는 뛰어난 누각·동산·연못·난간 등으로 장엄하고 화려하게 꾸며져 있다고 한다. 33천은 6재일(六齋日:매달 8·14·15·23·29·30일)마다 성밖에 있는 선법당(善法堂)에 모여서 법다운 일과 법답지 않은 일을 서로 논의한다. 이때에는 지상에 있는 중생들의 선한 행위와 악한 행위를 함께 다룬다 하여 6재일에는 특히 계율을 잘 지키고 하루 한 끼만을 먹는 습관이 있었다. 제석천이 머무는 곳으로서의 도리천은 원래 인도에 있던 것을 불교에서 취한 것이다. 석가모니의 어머니인 마야(摩耶) 부인이 죽은 뒤에 이곳에 다시 태어났으며, 석가모니는 도리천에 올라가 어머니를 위해 3개월 동안 설법했다고 한다. 예불에 깃든 인도(印度)적 우주관 "한편 예불(禮佛)의 전체 진행 속에서 우리는 ‘인도(印度)적 우주관’의 모습을 찾아볼 수 있기도 하다. 곧 종송 말미에 이어지는 범종(梵鐘)의 울림 그 숫자를 헤아려 보면 아침에는 28번이요 저녁에는 33번의 종을 치기도 하는 바, 이는 ‘인도 우주관’에 그 바탕을 두고 있는 것이다. 이제 이 28번 내지 33번의 종소리에 대한 숫자적 설명을 행하기 위해 우리는 ‘수미산(須彌山)을 중심으로 한 도리천(?利天)과 33천의 세계구조‘에 대한 개관을 행해 보아야 할 것이다.
"이에 인도(印度)의 전통적 우주관에 대한 포괄적 설명을 행하고 있는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魔俱舍論)』 「분별세품(分別世品)」에 의할 것 같으면, 세계는 수를 헤아릴 수 없는 작은 띠끌 즉 미진(微塵)으로서 이루어져 있다고 한다.
"그 세계의 밑바닥에는 거친 바람의 풍륜(風輪)이 둘러 싸여 있고 그 위에는 물로서 구성된 수륜(水輪)이, 그리고 그 위에는 금석(金石)의 둘레 금륜(金輪)이 쌓여져 있다. 한편 금륜(金輪) 위에는 9개의 큰산이 있는데, 수미산(須彌山:Sumeru의 음역<音譯>으로 소미로<蘇迷盧>라 표기되기도 한다. 한편 su는 묘<妙>라 번역되며 meru는 고<高>라 번역되어 묘고산<妙高山> 내지 묘향산<妙香山>이라 쓰이기도 하며, 일반적으로는 수미산이라 통칭된다)이 가운데 있고, 그 수미산을 중심으로 지쌍산(持雙山), 지축산(持軸山), 담목산(擔木山), 선견산(善見山), 마이산(馬耳山), 상비산(象鼻山), 어주산(魚珠山) 등 7개의 산(산맥)이 수미산을 둘러싸고 있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리고 각 산(산맥) 사이에는 8공덕수(八功德水), 즉 향수해(香水海)라 불리는 물(바다)이 차있으며, 8공덕수 밖으로는 남섬부주(南贍部洲)?동승신주(東勝身洲)?북구로주(北俱盧洲)?서우화주(西牛貨洲)라는 대륙[洲]이 사방을 둘러싸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 밖으로는 짠물이 둘러 있고, 또 그 밖에는 철위산(鐵圍山)이 둘러져 있어 그 전체는 마치 수레(원통) 모양의 구성을 이루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남섬부주(南贍部洲)의 중앙으로부터 북쪽에는 아홉 개의 흑산(黑山)이 있고 흑산 북쪽에는 설산(雪山)과 향취산(香醉山)이 있으며, 두 산 가운데는 ‘무열뇌지(無熱惱池: 또는 아뇩달지<阿?達池>)’가 있어 거기서부터 네 개의 큰 강(江)이 흘러나오는데, 그 무열뇌지 주변에는 달고 아름다운 과일이 열리는 높고 큰 ‘섬부(贍部)’라 불리는 나무가 심겨져 있는 관계로 그 나무의 이름을 따서 이곳을 섬부주(贍部洲)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이제 이상의 내용을 전제로 ‘수미산(須彌山) 중심의 우주구조’를 살펴본다면, 금륜(金輪) 위에 우뚝 솟은 수미산은 네 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어 밑으로부터 약차신(藥叉神)이 살고 있는 견수(堅手)의 층이, 그리고 지국, 증장, 광목, 다문 사천왕(四天王)의 층이 각각 구성되어 있는 바, 우리는 이 모두를 통칭 사천왕천(四天王天)이라 부르기도 한다.
"한편 수미산 꼭대기에는 제석천왕(帝釋天王)이 다스리고 있는 도리천(刀利天)이 펼쳐져 있다. 그 도리천에는 중앙의 제석천왕 머무는 선견궁(善見宮)을 중심으로 각각 사방에 네 봉우리가 형성되어 있고 그 4개의 봉우리마다에 8개씩의 하늘 궁전이 널려져 있어, 이렇게 하여 도리천에는 선견궁을 포함한 33개의 하늘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즉 ‘도리천 33천(三十三天)’이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수미산 꼭대기, 도리천 33천 위에는 각각의 하늘이 허공 가운데 형성되어 있어, 사천왕천, 도리천과 함께 야마천, 도솔천, 화락천, 타화자재천 등을 포함한 욕계 6천(欲界六天)의 세계며, 초선천(初禪天), 이선천(二禪天), 삼선천(三禪天), 사선천(四禪天) 등을 포함한 색계 18천(色界十八天)의 세계, 공무변처천, 식무변처천, 무소유처천, 비상비비상처천 등을 포함한 무색계 4천(無色界四天)의 세계 등이 각각 펼쳐져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금륜(金輪) 위에 형성된 수미산(須彌山)을 중심으로 수직적으로는 28천의 하늘이, 수미산 꼭대기 도리천을 중심으로는 수평적으로 33천의 하늘이 조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과 도표를 통해 우리는 예불의 진행 속에 깃든 인도(印度)적 우주관의 모습을 찾아볼 수 있게 된다. 곧 종송 말미에 이어지는 범종의 울림, 아침에 28번의 종을 치는 것은 수미산을 중심으로 ‘수직적 28천’의 하늘에 각각 종이 울려 퍼짐을 기원하는 것이요, 저녁에 33번의 종을 치는 것은 도리천을 중심으로 ‘수평적 33천’의 하늘에 종소리 골고루 울려 퍼지게 하고자 하는 염원이 담겨 있다는 것이다. 즉 우주 법계 전체에 범음(梵音) 가득 담겨지기 바란다는 뜻이 거기에는 내재해 있다. 그런데 그 범종(梵鐘)의 울림, 범음(梵音)이 우리에게 전달해 주는 메시지는 무엇인가?
"옛부터 인도인들은 범종(梵鐘)의 울림, 종소리를 ‘옴(A-U-M)’이란 의성어(擬聲語)로서 인식해 왔다. 즉 ‘옴(A-U-M)’이란 소리 속에는 우주 창조의 진리(A)며, 우주 보존의 진리(U), 우주 파괴의 진리(M)가 동시에 담겨져 있어, 범종의 울림 ‘옴(A-U-M)’ 소리 울려 퍼지는 가운데 끊임없이 생성?변화하는, 즉 ‘무상(無常)한 삶의 진리’를 인간들 및 하늘의 천신들을 포함한 만유의 생명체들에게 일깨워 주고자 하는데 종소리의 근본 정신이 담겨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듯 온 우주법계에 범음(梵音) 가득 울려 퍼지는 가운데, 이후 예불은 예경(禮敬)이란 또 다른 부분으로 옮아가게 된다. 곧 본래적 의미에서의 예불이 시작되는 바, 범종의 울림으로 말미암아 ‘무상(無常)한 삶의 진리’를 깨닫게 된 개개인은 진정 존재의 참모습을 발견코자 하는 마음가짐으로 예불(禮佛)에 임하게 되는 것이다.
불교의 세계- 33천 세계 도표
//
1. 지옥 : 잔인함,살생 화생
사악취(四惡) 2. 아귀 : 인색함, 집착 화생 악업보계
(악업보계) 3. 축생 : 어리석음 태,란생
4. 아수라(분노): 투쟁의 세계 화생
인취 5, 인간 : 욕망의 세계 태생 욕망의 계
(욕망의 세계) (동승신주.서우화주.남섬부주.북구로주)
1. 욕계 중음계(바르도) 49界(7x7)
(慾,物,心) 1. 사왕천: 넷의위대한 왕- 동지국천,서광목천,
윤회계 육욕천(地居天, 남증장천,북다문천(4천왕-8부신장)
下天) 2. 도리천(33천): 동8천,서8천,남8천,
(감각적 쾌락) 북8천, 중앙제석천-33천의 하늘나라 신. 천상의 욕계
3. 염마천 : 축복받은 신. (化生)
4. 도솔천 : 만족을 아는 신.
5. 화락천 : 창조하고 기뻐하는 신.
6. 타화자재천:자신이 만든존재를 지배하는 신.
5가지 장애소멸(1.감각적욕망 2.성냄 3.혼침과 졸음 4.들뜸과 회한 5.회의적 의심)
1. 범중천: 하나님의 권속 신.
제1静慮處 2. 법보천: 아나님의 보좌 신.
삼계(三界) (初禅) 3. 대범천(범천왕): 위대한 하나님 나라 신.
(空居天) 1. 소광천: 작게 빛나는 신.
업보계 제2정려처 2. 무량광천: 한량없는 신.
(총 33천) (二禪) 3, 광음천: 빛이 흐르는 신.
1. 소정천: 작은 영광의 신.
제3정려처 2, 무량광천: 한량없는 신.
2. 색계 (三禪) 3. 변정천: 영광으로 충만한 신.
(物,心) 1. 무운천: 번뇌의 구름이 없는 신.
2. 복생천: 공덕이 생겨나는 신. 범천계
3. 광과천: 위대한 경지로 얻은 신. (化生)
제4정려처 4. 승자천(무상유정천):지각을초월하는 신.
(四禪) 5. 무번천: 성공적으로 타락하지 않는 신.
6. 무열천: 괴롭힘이 없는 신.
7. 선현천: 선정이 잘 이루어 지는 신.
8. 선견천: 관찰이 잘 이루어 지는 신.
9. 색구경천: 긍극의 미세물질로 이루진 신.
형상소멸
1. 공무변처천: 무한한 공간이 하나인 신.
2. 식무변처천: 무한한 의식이 하나인 신.
3.무색계 4처(무형상) 3. 무소유처천: 나와 대상이 없는 하나의 신.
(心) 4. 비상 비비상처천: 지각하는것도 아니고
지각하지 않는것도 아닌 하나인 신.
* 6바라밀을 실천함으로 8정도를 진보시켜 최상의 목적이 正을 성취,구족하는 길.
불교의 우주관에 비추어 본 열반, 성불의 위치 및 성격
성 불
부 처
위 없는 바른 깨달음을 얻어 모든 번뇌에서 해방되었을 뿐 아니라,
모든 지혜와 복덕과 능력을 완전히 갖춘 인간 완성자 생명완성자
↑부처의 지혜를 완성함
열 반
아라한과 그 이상의 성자 (아라한, 벽지불, 원행지 이상의 보살)
삼독과 모든 번뇌를 뿌리째 다하여 생사윤회에서 벗어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