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생리장애
날마다좋은날
2015. 12. 17. 16:33
마그네슘(Mg)결핍

증상 : 성엽의 엽맥사이가 황화되는 현상
대책 : 대유마그네겐 또는 대유더블엠지 살포 하거나 관주
꿀들이 현상(밀병)

증상 : 과육부에 꿀 같은 반투명한 액체가 함유된 수침상 조직이 생기는 현상
대책 : 대유베스트칼 살포 또는 대유관주칼플러스, 대유칼맥스 관주
엽소(葉燒)현상

증상 : 엽의 선단부나 한쪽 가장자리 또는 직사광선을 직접 받는 부분의 엽조직이 흑갈색으로 괴사하고 심해지면
잎자루만 남고 잎조직의 대부분이 흑색으로 말라 죽으면서 결국 조기에 낙엽된다.
대책 : 대유탄칼겐, 대유베스트칼 엽면살포 또는 대유관주칼플러스, 대유칼맥스 관주
철(Fe)결핍

증상 : 신초나 도장지의 어린 잎에서 주로 발생하며 황백화되는 현상
대책 : 대유미리근 또는 대유미리근알파 엽면살포 하거나 관주
돌배현상- 칼슘(Ca)현상

증상 : 과실의 과육이 딱딱하게 경화되는 현상으로서 물기가 적어 심한 것은 먹을 수가 없을 정도임.
대책 : 대유베스트칼 엽면살포, 대유관주칼플러스 관주
과육붕괴증

증상 : 작은 괴사부분을 중심으로 과육이 수침상조직이 되는 경우(왼쪽)와 관다발의 괴사한 부분이 갈변하여
공동화된 경우(오른쪽)가 있다.
대책 : 인공수분을 하여 결실률을 높이고 질소비료의 사용량을 적정히 한다.
대유미리근 또는 대유미리근알파 살포,
대유업그레이드칼 또는 대유베스트칼 살포
잎일소현상(엽소현상)

강한 햇볕에 연약한 잎이 타는 증상
대책 : 대유베스트칼 또는 대유탄칼겐 엽면살포
붕소(B)결핍

붕소가 부족하거나 토양에 석회과다시비등으로 붕소성분의 흡수가 잘 되지 않아 발생
대책 : 대유미리근 또는 대유미리근알파 살포, 대유미레엄에프 또는 대유테라톤 살포
망간(Mn)결핍

증상 : 엽맥부근에 녹색을 남기고 황록색으로 퇴색한다.
석회과잉으로 토양중의 망간이 불용화되는 것이 원인.
대책 : 대유미리근 또는 대유나르겐 살포 하거나 관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