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생태공동체
날마다좋은날
2009. 5. 5. 19:03
![]() |
생태공동체는 현대문명이 가져온 생태계의 파괴와 인간상실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대안사회의 한 형태입니다. 생태공동체에서 인간은 다른 모든 생명체와 함께 지구 생태계의 동등한 참여자로서 공동체의 일원임을 자각합니다. 생태공동체는 다음 세 가지 범주에서 지금까지 존재했던 대부분의 사회형태와 구별됩니다. | |
![]() | |
생태공동체에서는 살아가는 데 필요한 모든 것을 - 집짓기, 옷 만들기, 먹을거리 마련하기, 의료, 문화, 교육, 에너지 등 - 생태주의 원리에 근거하여 해결합니다. 즉, 생태계 안에 존재하는 생명형태의 다양성을 존중하고 이 다양한 개체들의 조화와 일치 속에서 균형 있는 삶을 추구합니다. 오로지 인간만을 위한 물질적 풍요와 편리함보다 공생 순환하는 자연을 닮고자 노력하는 것이 더 인간적이고 행복한 삶이라는 것을 자각합니다. | |
![]() | |
생태공동체에서 사람들은 서로의 다름을 이해하는 가운데 공동체적 가치를 구현하기 위하여 협력합니다. 공동체 안에서 모든 사람은 성이나 신분, 직업, 학력, 출신, 신념, 나이, 피부색, 재산 등에 의해 차별 받지 않으며 오히려 그 차이로부터 서로 배웁니다. 생태공동체에서는 의사결정과정, 일과 놀이, 분배, 분쟁 등의 문제를 공동체(민주주의)적 방식으로 해결합니다. 공동체는 그 자체가 최고의 교육 기능을 지닙니다. | |
![]() | |
생태공동체는 단순히 살림을 위한 시스템이나 하드웨어에 그쳐서는 안 됩니다. 생태공동체의 중심에 영성이 자리하고 있지 않으면 그 내용이 아무리 생태적이고 공동체적이라 할지라도 다른 사회 시스템과의 차별성은 없어지고 맙니다. 인간의 물질문명은 19세기의 산업혁명 이래로 폭발적인 발전을 거듭하여 이제 스스로의 존재 기반인 지구생태계를 위협하기에 이르렀습니다. 더 이상의 외적인 성장은 모두의 불행이요 파멸일 뿐입니다. 21세기는 영성의 시대입니다. 이제 우리의 관심을 내부로 돌려 공동체적 영성, 생태적 영성, 더 나아가 우주적 영성에까지 자아를 확장시킬 수 있어야 합니다. 공동체는 영성수련을 위한 최적의 장소입니다. | |
그렇다면 생태공동체를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요? 생태공동체는 문맥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쓰이고 있기 때문에 한 마디로 말하기 어렵습니다. |
1. 이념, 사회시스템, 또는 생활양식의 의미 2. 지역공동체(Local Community) 또는 지역사회의 의미 3. 촌락공동체(Village Community) 또는 생태마을(Eco-Village)의 의미 4. 의도적인 계획공동체(Intentional Community)의 의미 |
이와 같이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그것이 무엇을 뜻하는지는 문맥을 통하여 이해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넓은 의미의 생태공동체는 위의 개념을 다 포괄하며, 좁은 의미의 생태공동체는 계획공동체를 뜻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