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평생교육의 동반자- 미국의 공공도서관
날마다좋은날
2009. 5. 4. 10:40
평생교육의 동반자- 미국의 공공도서관 2009년 04월 27일
|
도서관의 규모는 다양하다. 영화 ��섹스 앤 더 시티��에서 주인공인 캐리가 결혼식을 하고 싶어했던 장소인 뉴욕공립도서관처럼 그 규모와 아름다움으로 위용을 자랑하는 도서관도 있지만, 내가 살고 있는 아파트 앞의 공원 끝자락에 있는 헨더슨(Henderson) 도서관처럼 매일 공원에 가면서도 늘 보던 그 1층짜리 건물이 도서관인 줄 한참 동안이나 몰랐을 정도로 규모가 작은 도서관도 있다. 하지만 책이나 DVD자료를 빌리거나 앉아서 책을 읽기에는 전혀 부족함이 없다. 한국의 공립도서관은 보통 열람실, 문화교실을 포함하고 있어서-수영장이 있는 도서관도 있다-규모가 무척 큰데, 모든 공공도서관이 종합선물세트처럼 여러 시설물을 다 갖출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공공 도서관의 본연의 기능에 맞도록 책을 읽고 빌릴 수 있는 작은 공공도서관도 한국에서 볼 수 있다면 좋겠다. 주로 이용하는 도서관은 집 앞의 도서관이지만 한 개의 대출증으로 토랜스시 내의 6개의 공공도서관을 모두 이용할 수 있고, 한 곳에서 빌린 책은 다른 도서관에서도 반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6군데 모두를 이용한다. 매달 초 나오는 공공도서관의 행사계획표가 여러 도서관을 이용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행사의 종류는 다양하다. 사서 선생님이 책을 읽어 주고 이후 책과 관련된 만들기 활동을 하기도 하고, 외부 강사를 초청하여 재미있는 강연을 들을 수도 있다. 특히 기업체의 후원으로 이루어지는 강연이나 활동은 좀 더 규모가 크고 유익하다. 도서관마다 일정이 다르기 때문에 여러 도서관을 이용하면 거의 매주 활동에 참가할 수 있다. 한 번은 1학년인 작은 아이만 데리고 갔는데 도서관에 온 사람이 우리 밖에 없었다. 취소될 수도 있을 것 같아 기대하지 않았는데, 친절하게 한 아이만을 위해 읽어주시고 만들기 활동도 함께 해 주셨다. 걸음걸이도 편해 보이지 않는 할머니께서 수십 권씩 책을 빌려가는 모습은 흔한 모습이고 도서관 한 켠에서 체스를 두시는 할아버지들도 볼 수 있다. 공공도서관이 한국의 경로당 역할까지도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세월이 흘러 한국의 도서관 어느 작은 공간에서 동네 친구들과 함께 보드게임을 하고, 독서토론도 하는 할머니가 된 내 모습을 상상해보니 피식 웃음이 난다. 그렇게 늙을 수 있다면 할머니인 나 자신이 더 이상 신기한 것도 새로울 것도 없는 무료한 존재만은 아닐 것 같다. 김민정 사이언스커뮤니케이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