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식약청, 식품 중 자연발생하는 결합형 3-MCPD, 안전한 수준 !!
날마다좋은날
2009. 3. 31. 17:58
|
|
식품의약품안전청(경인지방청)은 결합형 3-MCPD가 3-MCPD로 일부 전환될 가능성이 있다는 2007년 12월 독일연방 위해평가원(BfR)의 정보에 따라 사전예방적 식품안전관리를 위해 2008년도 결합형 3-MCPD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 위해하지 않은 수준이라고 23일 밝혔다.
결합형 3-MCPD는 지방과 소금이 들어 있는 식품의 제조·가공시 생성되는 물질이며 결합형 3-MCPD의 위해성에 대해 아직까지 알려진 바는 없으나 3-MCPD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어 모니터링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3-MCPD(3-Monochloropropane-1,2-diol)는 간장, 식물성단백가수분해물 등의 식품제조과정 중 생성되는 물질로서 이들을 원료로 사용한 간장, 소스류, 스프류 등에서 검출된다.
결합형 3-MCPD는 3-MCPD에 지방산이 결합된 형태이며, 소스류 등 총 109건에 대해 3-MCPD 및 결합형 3-MCPD에 대해 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 3-MCPD는 식용유지, 절임류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소스류등(6건), 식육가공품(3건), 수산물가공품(1건) 및 스낵과자류(3건)에서 일부 검출됐으나 모두 간장의 허용기준인 0.3 ppm이하의 안전한 수준이라고 발혔다.


결합형 3-MCPD는 수산물가공품, 식용유지 및 절임류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소스류등(7건), 식육가공품(5건)에서는 일부 검출되었고, 스낵과자류(5건)에서는 0.174~0.945 ppm으로 검출 됐으나, 외국의 감자튀김 검출수준인 0.020~6.100 ppm과 비교시 낮은 수준이며 결합형 3-MCPD가 체내에서 대사되어 3-MCPD로 어느정도 바뀌거나 흡수 되는지 알려져 있지 않으나, 바뀔 가능성을 100%로 가정할 때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고 설명했다.
식약청은 "사전예방적인 식품안전관리를 위해 식약청에 산·학·관 합동으로 3-MCPD 저감화 TF를 구성해 결합형 3-MCPD의 생성량을 줄일 수 있는 지방, 소금의 사용량을 줄이도록 식품업체의 자율적인 저감화를 유도하고,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저감화 연구를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문의 : 신종유해물질과 02)380-1664~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