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유기농업과 토양관리

날마다좋은날 2009. 3. 21. 10:10

유기농업과 토양관리

<환경농업이 정착되려면>

1. 안전한 농산물 생산 기술

2.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사람

3. 사람과 그 사람의 주변의 자연 자원을 최대한 활용

4. 꼭 필요한 유기농자재(종자·종묘)를 개발

5. 정책과 기술의 조화

6. 유기농업을 하는 특수한 몇몇 농민의 과제가 아닌 전 국민의 생활상의 과제로

<유기재배를 한다는 것은>

1) 생산농가의 건강(안전)

2) 먹거리의 안전성

3) 장기적으로 토양의 비옥도 유지

4) 지역 내에서 활용 가능한 모든 자원을 자체적으로 순환

5) 화석연료(석유)의 최소화

6) 자연계를 지배가 아닌 공생관계

7) 일에 대한 적절한 보답과 만족

<인증의 10가지 심사분야>

1. 사람(생산자) 2. 입지조건

3. 기록(생산이력) 4. 계획과 결산

5. 자재 6. 물 7. 흙

8. 농법 9. 시설, 장비 10. 수확, 관리

<Codex 유기농·축산물 생산기준 일반원칙>

○ 지역단위 농업시스템 속에서 지역 내 자원에 의존

○ 윤작 및 두과작물 재배를 도입한 작부체계 수립 실천

○ 작부체계 및 유기물 적정투입에 의한 토양비옥도 유지

○ 현대 농업기술에 의한 피해 최소화

○ 농업에 화석연료의 사용 최소화

○ 전체적으로 자연환경과 관계에서 공생보호적인 견지에서 실천

<유기농업의 정의>

□ 국제기준(Codex): 농업생태계의 건강, 생물의 다양성, 생물순환 및 토양 생물활동 증진을 위한 총체적 체계 농업

국내기준(친환경농업육성법): 화학비료, 유기합성농약, 가축사료첨가제 등 일체의 합성 화학 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유기물과 자연광물, 미생물 등 물리적, 미생물적으로 제조된 자재만을 사용하여 농축산물을 생산하는 농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