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C
CEC
1. 정 의
① 일정량의 토양 또는 교질물에 부착되어 있는 치환성 양이온의 총량을 하전(+)량으로 표시한 것
② 토양이나 교질물 100g이 보유하는 치환성 양이온의 총량을 mg 당량으로 나타낸 것(me/100g)
③ 토양 100g 당 수소이온이 양이온으로 치환할 수 있는 자리의 수 즉, 음전하의 수와 같으며 ㎎ 당량(mille equivalent)로 표시(me/100g)
④ 토양이나 교질물 1kg이 갖고 있는 치환성 양이온의 총량을 하전(+)량으로 하여cmolc=chage에 대한 centimoles으로 나타냄.(cmolc/kg)
2. 단 위
① 예전에는 me/100g으로 사용
② 요즘에는 cmolc/kg 또는 cmol(+)/kg으로 사용
☞ 1me/100g=1cmolc/kg(단위만 바뀌었을 뿐, 수치는 그대로 사용)
3. mol과 cmol의 차이점
① molc
- 의미 : 전하에 대한 몰수
- 공식 : 원자량(분자량)/원자가
- 예 : H+의 1molc=1g/1=1g
Ca2+의 1molc=40g/2=20g
② cmolc
- 의미 : chage에 대한 centimoles
- 공식 : centi=10-2
1cmolc=10-2molc
1molc=100cmolc=100× 10-2molc
- 예 : H+의 1cmolc=1molc× 10-2=1g× 10-2=0.01g=10mg
Ca2+의 1cmolc=1molc× 10-2=20g× 10-2=0.2g=200mg
☞ 수소 10mg을 완전히 대체하려면 칼슘 200mg이 필요
4. CEC(cmolc/kg)와 질량(mg)의 환산
① 공식 : CEC(cmolc/kg)× 특정 이온의cmolc = mg
② 예 : 토양 중 Ca2+의 양이 5cmolc/kg이라면 실제 존재하는 Ca2+의 질량은 5cmolc/kg× 200mg(Ca2+의 cmolc)=1000mg
5. 참고사항
① 토양조건에 따른 CEC 변화
- pH가 증가하면 CEC는 증가, pH가 감소하면 CEC도 감소
- 부식과 점토가 많을 수록 CEC가 높은 토양
② 작물생육과 CEC와의 관계
- CEC가 클수록 pH에 저항하는 완충력이 크고
- 양분을 보유하는 보비력이 크므로 비옥한 토양
- 작물을 안정적으로 재배가능
③ 완충력
- 산성 물질이나 알칼리성 물질이 가해질 경우 pH의 변화를 저지하는 능력
- 완충력이 클수록 토양 내 pH 변화가 적으므로 안정적인 pH에서 작물 재배가능